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Suitability Light Intensity and Introduction Plan under the Indoor Lighting for the Native Evergreen Daphniphyllum macropodum

자생 상록 굴거리나무의 실내조명 하에서 적정광도 분석 및 도입방안

  • Shin, Hyeon-Cheol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un, Jae-Gill (Dept. of Horticul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oi, Kyoung-Ok (Dept. of Horticul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신현철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윤재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 최경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Received : 2012.02.10
  • Accepted : 2012.02.26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light-adaptability under indoor lighting for Korean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to provide an introduction plan for indoor spa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experimental plants, Daphniphyllum macropodum were purchased from a farmhouse in Jejudo as anannualplant, and it was acclimatized in the glass-green house of the general farm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40 day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February 15, 2010 to November 15, 2010. First, in the case of the fluorescent lamp,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the 100lux to 500lux, but the condition under 1,000lux was good In the aspects of the number of leaves, form of the tree, photosynthesis rate in its body, and the value of sight, the best ligh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the 1,000lux. Second, in the case of the LED l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condition was poor because the plants withered, or the leaves fell off under 100lux to 1,000lux, but the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was done under a more light intensity.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Third, in the case of the three-wave light, the withering was serious by 1,000lux,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worst amongst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therefore, growth under the three-wave light was incongruous.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condition was under 2,000lux. Fourth,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ver, the withering did not existed under 100lux and growth was possible.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amongst in the four introduced lighting systems. Generally, in the more light intensity, more growth was observed, but the value of sight was higher under 1,000lux than under 2,000lux because the falling rate of leaves and the form of the tree was stable. The most effective light was under 1,000lux due to the high photosynthesis in its body. When Daphniphyllum macropodum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landscaping space considering the light, the optical fiber,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are suitable to introduce. The three-wave light is unfit. The most proper light intensity by the light source, in the case of the optical fiber, and fluorescent lamp, is 1,000lux, and, in the case of LED light, is 2,000lux. The wild Daphniphyllum macropodum is the species of tree to substitute the Schefflera actinophylla which is the introduced speci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 as the central tree in indoor spac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종 굴거리나무에 대한 실내조명 하에서 광적응성을 조사해 보고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도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수종인 굴거리나무는 제주도 농가에서 1년생을 구입한 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종합농장 유리온실에서 40일간 순화시킨 후 2010년 2월 15일에서 2010년 11월 15일까지 실험하였다. 첫째, 형광등의 경우, 100lux에서 500lux까지 식물이 고사하거나 잎이 지는 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좋지 못하였으며, 1,000lux부터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엽수나 수형, 체내 광합성률, 관상가치 등을 토대로 살펴볼 때, 형광등 1,000lux에서 가장 양호한 생장을 하여 최적광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LED등의 경우,100lux에서 1,000lux까지 고사현상을 보여 생육상태가 불량하였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원활한 생장을 보였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셋째, 삼파장의 경우,1,000lux까지 고사현상이 심하여 도입한 4개의 광원 중 생육상태가 가장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삼파장은 굴거리나무 생육에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lux에서 가장 원활한 생육 및 생장을 하였다. 넷째, 광섬유의 경우 100lux하에서도 식물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은 보이지 않아 생육이 가능하여 도입광원 중 생육 및 생장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대체적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생장률이 높았으나,2,000lux보다 1,000lux하에서 엽수의 출엽률 및 수형이 흐트러지지 않아 관상가치가 더 좋았으며, 체내 광합성률도 높아 1,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적응성을 고려하여 굴거리나무를 실내조경공간으로 도입할 때, 광섬유, 형광등, LED등의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며, 삼파장 등은 부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광원별 최적광도는 광섬유와 형광등을 도입할 경우 1,000lux, LED등을 도입할 경우 2,000lux를 조명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생종 굴거리나무는 외래종인 대엽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수종으로 실내조경식물로 도입이 가능하며, 중심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화, 김인자(1969) Saintpaulia와 Hypoestes의 광도차에 의한 생장반응과 감상가(鑑賞價)에 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6: 75-79.
  2. 곽병화(1994) 화훼원예총론. 서울: 향문사.
  3. 김정엽(1984) 광섬유. 한국공학회지 6:148-155.
  4. 김정태(2000) 야간조명에 있어서 광섬유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진, 이종석(2005) 몇가지 자생식물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반응. 한국 원예학회 2005추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65.
  6. 구경아, 공우석, 김종규(2001)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 요소. 대한지리학회지 36(3): 247-257.
  7. 박상헌, 심경구(1989) 우리나라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7(1): 43-54.
  8. 박소홍, 이용연(1997) 관엽식물의 광합성활성에 미치는 광순화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1): 71-76.
  9. 방광자, 박혜경, 최경옥(2000) 인공광의 광원에 따른 실내지 피식물의 생육반응. 한국조경학회지 27(5): 114-119.
  10. 방광자, 주진희, 한승원(2004a) 차광정도에 따른 자생더부살이고사리의 생육변화.한국조경학회지 31(6): 73-76.
  11. 방광자, 주진희, 권민훈(2004b) 실내에서 광질이 도깨비고비와 가는쇠 고사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6): 49-53.
  12. 손관화, 염도의(1988) 실내 및 베란다의 광조건에 따른 몇 가지 관엽식물의 엽면적 및 엽육조건의 차이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29: 30-37.
  13. 손기철, 김민경(1998) 실내 광, 온도, 절대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변화가 파키라의 증산 및 광합성량에 미치는 영향과 통계적 모델. 한국원예학회지 39(5): 605-609.
  14. 윤평섭(1989) 한국원예식물도감. 서울: 지식산업사.
  15. 이경재, 송기선, 정영숙, 윤택승, 홍성권, 김재현, 이상우, 김종진(2010) 가을철 차광 처리에 따른 진달래와 영산홍의 생리적 반응. 원예과학기술지 28(3): 403-408.
  16. 이월희(1995) 대형건물 실내조경식물의 하자원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종석, 방광자, 김순자(2002) 신실내조경학. 경기도: 도서출판조경.
  18. 이소원, 이유정, 김현진, 이종석(2005) 차광정도가 적자색잎식물의 생육과 엽색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005추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pp.65.
  19. 이창혁(1994) 실내조경학. 서울: 명보문화사.
  20. 임시규(1997) 차광정도 및 재배장소의 변화가 맥문동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정학, 김영진(1983) 광도의 차가 실내장식용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농시보고(農試報告). 25 :131-136.
  22. 주진희, 방광자(2003) 차광처리가 자생상록양치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내조경협회지 5(1): 33-39.
  23. 최경옥, 방광자(2002) 광섬유 조명체계가 실내조경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29(6): 92-100.
  24. 최경옥(2007) 자생 상록양치식물의 광도에 따른 생육반응 및 광합성 활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4): 1-8.
  25. 최종인, 선정훈, 백기엽, 김태중(1998) 9종의 관엽식물에 있어서 광양자 속밀도와 온도가 광합성과 기공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9(2): 197-202.
  26. Faria, T. J., J. S. Pereiraand M. M. Chaves(1996) Diurnal changes in photoprotective mechanism inleaves of cork oak(Quercussuber) during summer. Tree Physiol. 16: 115-123. https://doi.org/10.1093/treephys/16.1-2.115
  27. Kimura, K., H. Ishino, J. Tanimoto, J. Tanimoto and S. Kato(1991)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evaporation from foliage on the indoor moisture environment. Part2.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 789-790.
  28. Reddy, V. R., K. R. Reddy and H. F. Hodges(1995) Carbon dioxide enrichment and temperature effects on cotton canopy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water-use efficiency. Field Crops Research 4: 13-23.
  29. Reyes, T., T. A. Nell, J. E. Barrett, and C. A. Conover(1996) Irradiance level and fertililizer rate affect acclimation of Chamaedores Mart. Hort Science 31: 839-842.
  30. Terashima, I. and K. Hikosaka (1995) Comparative ecophysiology of leaf and canopy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18: 1111-1128. https://doi.org/10.1111/j.1365-3040.1995.tb0062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