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래사서의 역할 및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ourses and Librarians' Role for Educating Future Librarians

  • 투고 : 2012.03.10
  • 심사 : 2012.04.11
  • 발행 : 2012.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교과목, 현장 사서들의 미래기술 응용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해외대학 교과목 조사 및 설문조사방법을 통해서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신규과목은 '웹정보원 조직 및 관리실습', '도서관 기획.마케팅 및 평가', '디지털 장서관리를 위한 정보기술이해', '디지털시대의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 교과목을 핵심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신규교과목 요인분석 결과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영역 및 웹정보자원의 조직과 활용 영역이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세부학문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그 외 관종별 및 담당업무별로 요구하는 과목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propose and develop library science courses required in the digital age by investigating overseas LIS courses and surveying field librarians. Such courses must help the future librarian develop familiarity and skill with emerging technologies. As a result, required courses in the digital era were found to be: 'Design and Management of Databases', 'Library Planning, Marketing, and Assessment',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in that order, and should therefore be offered as core courses. In addition, 'Servic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Users' and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Web resources' were derived. The study also recommends different required courses based on different librarian types and du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택천. 2009a. 웹3.0 시대의 미래 기술의 방향. Issue Inside. [online]. [cited 2010. 9. 3]. .
  2. 김택천. 2009b. 웹3.0과 미래. KT 오픈세미나, 2009. 5.
  3. 구본영, 박미영. 1998.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 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211-235.
  4. 구본영. 2000.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정보관리학회지, 17(3): 93-108.
  5.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5-29.
  6. 노영희. 2008. 도서관마케팅전문사서의 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69-194.
  7. 노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283-307.
  8. 엄영애. 2002. 문헌정보학과의 정보기술 교과목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415-430.
  9. 이경일. 2008. 시맨틱웹: 기술을 넘어 서비스 플랫폼으로. 정책리포트, 31-46.
  10. 장혜란, 홍현진, 노영희, 오의경. 2009. 대학도서관 사서 전문 재교육 과정 개발. 서울: 한국학술정보.
  11. 최상기, 안인자, 노영희, 김주섭. 2011.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교과 영역별 개설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145-167.
  12. 한복희. 1999.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2): 179-198.
  13. Brevik, Thomas. 2006. "Library 2.0=MyLibrary." [online]. [cited 2010. 10. 1]. .
  14. Wallis, Richard. 2006. "Library 2.0 = Library + Librarian + Web 2.0." [online]. [cited 20101. 10.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