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Factors of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Developmental Level -Center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rs -

대인관계 발달 단계에 따른 온라인기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를 중심으로 -

  • Heo, Song-Ji (Dept. of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Ja-Young (Dept. of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 Jang, Hee-Jin (Dept. of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 Ko, Hye-Young (Dept. of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 Park, Su-E (Dept. of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허송지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
  • 김자영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
  • 장희진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
  • 고혜영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
  • 박수이 (서울여자대학교 콘텐츠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4.17
  • Published : 2012.04.20

Abstract

In this paper, the correlation which is at work between affecting fact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mension depend on developmental level has been studied to search for clues about how to develop the online 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fundamental aims of SNS related services- efficiently. People who'd ever entered into a relation through the 'online-based generated relationship' by S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development level. They were conducted a survey,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PLS statistics. As the result, 7 kinds of factors as social attraction, physical attraction, reciprocity, content quality, coexistence percep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similarity had an impact on the initial level of relationships, and 6 kinds of factors as social attraction, physical attraction, reciprocity, content quality, web appearance and coexistence perception had an impact on the developed level of relationships.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the service design for facilita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iciently by their level of development.

본 논문은 대인관계 형성과 발달에 근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SNS 관련 서비스에서 효율적으로 온라인 기반 대인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한 단서를 찾기 위해, 대인관계의 발달 단계에 따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SNS를 통해 '온라인 기반 생성 관계'를 경험해본 사람들을 관계 발달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PLS 통계법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관계에서는 사회적 매력, 육체적 매력, 호혜성, 컨텐츠 퀄리티, 공동공간감, 정보 게시성과 유사성 등 7가지 요인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발달된 관계에서는 사회적 매력, 육체적 매력, 호혜성, 컨텐츠 퀄리티, 웹외양과 공동공간감 등 6가지 요인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온라인 대인관계 발달의 특성을 통해 SNS 관련 서비스에 대인관계 촉진을 위한 서비스 설계의 기반 연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2011.09.29, 2016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전망,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 삼성경제연구소, "2011년 국내 10대 트렌드", CEO Information, 제787호, 2011.1.12
  3. 삼성경제연구소, "2000-2010년 히트상품 베스트 10", 제789호, 2011. 1. 26.
  4. 김미진 외,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의 동기-행동구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2011
  5. 한혜원 외, "소셜 게임의 사용자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2010
  6. 박현아 외,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2011
  7. 전경란, "소셜 게임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2011
  8. 남고은 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미디어 크리에이티비티", 기초조형학 연구, 12권, 1호, pp.171-182, 2011.
  9. 안범준,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특성요인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Pod 브랜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강명수,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과 유지에 관한 연구: 규범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18권, 1호, pp.67-87, 2005.
  11. 허송지 외, "SNS 사용자의 온라인기반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 12권, 제2호, 2012
  12. Altman, I. & Taylor, D, "Social penetration: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inehart, & Winston, New York, Holt, 1973, pp.25-27.
  13. 윤여록, "온라인 의견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메시지 수용자 인식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4. Culnan, M. J., & Markus, M. L. "Information technologies", In F. Jablin, L. L. Putnam, K. Roberts, & L. Porter (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Newbury Park, CA, 1987, pp. 420-443.
  15. Walther, J. B,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vol. 23 no. 1 3-43, Communication Research, pp.3-43, 1996.
  16. Katelyn Y. A. McKenna, Amie S. Green and Marci E. J. Gleason, "Relationship Formation on the Internet: What's the Big Attra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2002.
  17. AN Joinson, "Self‐disclosur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role of selfawareness and visual anonymity",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001.
  18. Parks, M. R., and K. Floyd, "Making Friends in Cyberspace.", Volume 46, Issue 1, Journal of Communication , pp.80-97, 199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6.tb01462.x
  19. HH Kelley, E Berscheid, A Christensen, JH Harvey, TL huston, george levinger, evie mcclintock, letitia anne peplau, and donald R. petterson, "Close relationships", New York, W, pp.1-109. 1983.
  20. Merstein, "A clar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SVR Theory of Dyadic Pair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49, No 4, 1987.
  21. Miller, L. C., & Read, S. J., Why am I telling you this? Self-disclosure in a goal-based model of personality. In V. J. Derlega & J. H. Berg (Eds.), Self-disclosur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35-58, New York: Plenum, 1987.
  22. Parks, M. R., & Adelman, M. B,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romantic relationships: An expansion of uncertainty reduction theor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0, p. 55-79, 198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3.tb00004.x
  23. Heider, 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book, pp.196-197, 1958.
  24. 박유진, "자기표현 도구로써 미니홈피 꾸미기 아이템의 이용동기와 행태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 25권, 3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4.
  25.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1
  26. Barclay, D., Higgins, C. and Thompson,R.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2(2): 285-309.
  2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 ceErlba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