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Landslide-Risk Prediction Model thorough Database Construction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산사태 위험도 예측식 개발

  • Lee, Seung-Woo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 ;
  • Kim, Gi-Hong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 ;
  • Yune, Chan-Young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 ;
  • Ryu, Han-Joong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 ;
  • Hong, Seong-Jae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
  • 이승우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기홍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윤찬영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유한중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홍성재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2.04.0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Recently, landslide disasters caused by severe rain storms and typhoons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Due to the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Korea, considerable portion of urban area and infrastructures such as road and railway have been constructed near mountains. These infrastructures may encounter the risk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highly risky locations of landslide and to prepare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landslid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planning. In this study, a landslide-risk prediction equa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423 landslide data set obtained from field surveys, disaster reports on national road, and digital maps of landslide area. Each dataset includes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soil properties, rainfall information, forest properties and hazard history.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 of proposed equa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landslide shows 92 percent in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Since the input for the equation can be provided within short period and low cost, and the results of equation can be easily incorporated with hazard map, the proposed equation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analysis of landslide-risk for large mountainous area.

최근 들어 집중호우 및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국내 지형특성상 산지 인근에서 도시가 발달되고 도로 철도 등의 기간시설물이 건설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이러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설계획 단계부터 산사태 위험이 높은 지역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형학적 특성, 토질의 특성, 강우 정보, 나무의 종류 정보 등의 자료를 재해대장 분석, 항공사진 분석,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구축한 423 지점의 산사태 데이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산사태 위험도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예측식으로 예측된 결과와 실제 산사태 발생여부를 비교해 본 결과 약 92%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예측식에 필요한 입력치들은 단 시간 내에 저비용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예측결과의 경우 재해지도 형식으로 표현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제안된 산사태 위험도 예측식은 광범위한 지역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산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건택, "국토지리정보원, 산사태 피해 항공사진 촬영", 연합뉴스 2011. 08. 16일자.
  2. 김경수, 송영석, 조용찬, 김원영, 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6, No.2, pp.201-214.
  3. 김원영, 채병곤, 김경수, 기원서, 조용찬, 최영섭, 이사료, 이봉주 (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과학기술부.
  4. 류주형, 김성호, 유병오, 김종찬, 서수안, 김준섭 (2011), "항공사진 DB자료를 활용한 제5차 임상도 제작, pp.17-28.
  5. 마호섭, 정원옥 (2007),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제96권 제6호, pp.611-619.
  6. 부산대학교 (2006), "GIS를 이용한 도로 접도 사면 재해 위험도 작성 연구보고서", pp.124-132.
  7. 산림청 (2010), "산불연보", pp.415-465.
  8. 소방방재청 (2009), "재해연보", pp.724-781.
  9. 원주지방국토관리청 (2009), "한계령(인제-양양) 수해 복구 공사지", p.39.
  10. 양인태, 천기선, 박재국, 이상윤 (2007),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5권 제1호, pp.39-46.
  11. 윤찬영, 전경재, 김경석, 김기홍, 이승우 (2010),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 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제10호," pp.2-10.
  12. 이문세, 김경수, 송영석, 류제천 (2009), "강우 및 식생에 의한 토질 특성 분석", 대한 지질공학회, 지질공학, 제19권 제1호, pp.33-41
  13. 이종학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위험지 관리시스템" 한국산림공학기술연구회, 제3권 제3호, pp.245-255.
  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pp.124-132.
  15. 다음지도 (2009), http://local.daum.net/.

Cited by

  1. Debris flow in metropolitan area — 2011 Seoul debris flow vol.10, pp.2, 2013, https://doi.org/10.1007/s11629-013-2518-7
  2. Review of Landslide Forecast Standard Suitability by Analysing Landslide-inducing Rainfall vol.14, pp.3,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3.299
  3. A GIS-Based Framework for Real-Time Debris-Flow Hazard Assessment for Expressways in Korea vol.7, pp.3, 2016, https://doi.org/10.1007/s13753-016-0096-3
  4. Comparing Potential Unstable Sites and Stable Sites on Revegetated Cut-Slopes of Mountainous Terrain in Korea vol.7, pp.11, 2015, https://doi.org/10.3390/su71115319
  5. 2011년과 2012년의 사면재해 유발강우 및 지질특성분석 vol.13, pp.6,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6.179
  6. 우면산 산사태 발생 지점의 지형분석 vol.32, pp.1,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4.32.1.55
  7. Random Walk Model을 활용한 우면산 토석류 거동 분석 vol.32, pp.5,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4.32.5.515
  8.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전국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지도 개발 vol.14, pp.6,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117
  9. Hotelling의 T-square 통계량을 이용한 강우유발 사면붕괴 예측 vol.25, pp.3, 2015, https://doi.org/10.9720/kseg.2015.3.331
  10. Study for assessment of rainfall duration inducing landslides vol.169, pp.2, 2012, https://doi.org/10.1680/jmuen.14.00028
  11.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Regions in Korea vol.53, pp.1, 2012, https://doi.org/10.14397/jals.2019.53.1.61
  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Disaster Risk Assessment Database System in South Korea vol.11, pp.1, 2020, https://doi.org/10.3390/info110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