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 analysis on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Lee, Hyo-Jin (Department of Language, University of New Mexico) ;
  • Oh, Hee-Hwa (School of Administration, Jeonju University) ;
  • Choi, Kyoung-Ho (Department of Basic Medical Science, Jeonju University)
  • 이효진 (뉴멕시코 주립대학교 언어학과) ;
  • 오희화 (전주대학교 경영학부) ;
  • 최경호 (전주대학교 기초의과학과)
  • Received : 2012.02.29
  • Accepted : 2012.03.30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using meta-analysis method. The authors synthesized 70 studies regarding reading comprehension conducted during 2001 through 2011. The analyses revealed that 1)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reading development program yielded.763, which is regarded considerably large, 2) th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group was the biggest, 1.03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school levels, 3) the average effect size of published journal articles was 1.250,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dissertation's.700, 4) regarding the methods to measure the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effect size of reading method was larger, and 5) the effect size of Korean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as statistically larger than that of English reading development program. This study has limitation as it didn't include unpublished manuscripts, conference presentations, and the lik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that it tried to draw integrated conclusion about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s using meta-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연구된 독해력 관련 연구 70편을 종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는 0.763으로 큰 편이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1.030으로 가장 큰 가운데, 학교 급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술지의 평균 효과크기가 1.250으로 학위논문의 평균 효과크기인 0.70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읽기방법의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다섯째, 적용언어에 대해서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발표된 연구결과물을 포함시키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려는 시도는 나름대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은, 최기헌 (2010). 메타분석을 이용한 대두의 항-고지혈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651-667.
  2. 신임희 (2008). 메타분석의 이해. <병원약사회지>, 25, 283-287.
  3. 안지혜 (2007). ,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4. 오성삼 (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서울.
  5. 윤아름, 최기헌 (2011a). 녹차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717-726.
  6. 윤아름, 최기헌 (2011b). 메타분석에서 평균차를 이용한 마늘의 항-고지혈증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413-421.
  7. 윤준채 (2009).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적 접근. <새국어교육>, 81, 213-229.
  8. 장성구, 안양옥 (2006). 줄넘기 운동의 체력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2, 147-170.
  9. 정재영, 신인수 (2009). 미국 차터스쿨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7, 101-122.
  10. 조재윤 (2005). 질문생성전략 훈련이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어교육>, 116, 126-149.
  11. 조재윤 (2005). 국어교육학 실증적 연구의 종합을 위한 메타분석 방법론. <국어교육학연구>, 22, 275-302.
  12. 조진남 (2011). 변량계수모형을 이용한 체지방 실험자료에 관한 통계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287-296.
  13. 주진희 (2011).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텍스트 수정이 학습장애 학생의 일기 동기 및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청북도.
  14. 최경호, 조미경 (2011). 독서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3, 1091-1100.
  15.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 3-8.
  16. Jacson, G. (1980). Methods for integrative review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438-484.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3438

Cited by

  1.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parenting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vol.27, pp.4,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4.1101
  2.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 vol.28, pp.2, 2017, https://doi.org/10.18209/iakle.2017.28.2.113
  3.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Physical Therapy Method about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The Cases of Domestic Research vol.32, pp.5, 2020, https://doi.org/10.18857/jkpt.2020.32.5.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