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golf skills to average score in PGA

PGA 선수의 경기능력이 평균타수에 미치는 영향력

  • Kim, Sae-Hyung (Lab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 Lee, Jun-Woo (Department of Golf, Hoseo University) ;
  • Lee, Mi-Sook (School of Community Sport,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 김세형 (한국체육대학교 체육측정평가실) ;
  • 이준우 (호서대학교 골프학과) ;
  • 이미숙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Received : 2012.04.09
  • Accepted : 2012.05.17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study is for effectiveness of golf skills to average score using path analysis in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that seven independent variable were driving accuracy, green in regulation, driving distance, sand save ratio, scrambling, putting average, and two endogenous variables were birdie average, bogey average, and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ing average. To analyze these variables, path analysis was used through AMOS 18.0 program and Alpha level sets at.05. As the result, the final model had significant goodness-of-fit (GFI=.989, RMSEA=.044, TLI=.991, CFI=.998) and showed that green in regulation, driving distance, sand save ratio, scrambling, and putting average significantly affected average score directly. Especially, the scrambling was the highest affectation to average score and the sand save ratio was the lowest affectation to the average score.

이 연구는 미국남자프로골프협회 (PGA)가 제공하는 경기기록을 통해 경기능력이 평균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에 의해 규명하였다. 즉 PGA 선수의 경기능력을 나타내는 6개의 변인(드라이브 정확도, 드라이버 거리, 그린 적중률, 샌드세이브, 스크램블링율, 평균퍼팅수)이 평균타수에 미치는 영향을 (1) 드라이버 정확도, 드라이버 거리, 그린적중률이 버디평균과 평균타수에 주는 영향과 (2) 샌드세이브, 스크램블링, 평균퍼팅수이 보기평균과 평균타수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드라이브 정확도가 버디평균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그린적중률과 드라이브 거리가 직접적으로 평균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샌드세이브율, 스크램블링율, 평균퍼팅이 보기평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평균퍼팅이 평균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그린적중률, 드라이브거리, 샌드세이브율, 스크램블링율이 평균타수에 영향을 미치면서 상대적으로 스크램블링율이 가장 높게, 샌드세이브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일 (2011). 연도별 PGA 투어대회의 경기력 기술요인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0, 1159-1171.
  2.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티케이션북스, 서울.
  3. 김찬룡 (2008). 지니계수를 이용한 PGA 선수들의 대회 상금 소득 불평등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 173-186.
  4. 민대기 (2011). 2010 미국프로골프협회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통한 경기력의 평균타수에 미치는 영향력비교.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22, 65-71.
  5. 민대기, 현무성 (2009). 신경망을 이용한 우승자 예측모형.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20, 1103-1111.
  6. 성태제 (2010).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서울.
  7. 손승범, 김용규 (2010). 2008 PGA, LPGA Tour 기록통계를 이용한 경기력 결정요인. <코칭능력개발지>, 12, 151-160.
  8. 송병주 (2009). 한국남자 PGA투어대회의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차이 특성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8, 563-572.
  9.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서울.
  10. 이준우, 박주영 (2008). 골프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 151-165.
  11. 이용구 (2000). <통계학원론>, 율곡출판사, 서울.
  12. 최대혁, 최희남, 김동진 (2008). <골프바이블>, 대한미디어, 서울.
  13. 허천, 조규권, 정우진, 최성범 (2006). 프로골프 선수의 경기력 관련 기술 요인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7, 647-656.
  14. 허명회, 이용구 (2008). <데이터마이닝 모델링과 사례>, 한나래, 서울.
  15.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 161-177.
  16. 황규영 (2009). 남자프로골프 선수의 기술통계 분석. < 한국체육과학회지>, 18, 1285-1294.
  17. Browne, M. W. and Cudeck, R. (1993). Single sample cross-validation indices for covariance struct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4, 445-455.
  18. Martino, R. (2002). The PGA manual of golf , Warner Books, NY.

Cited by

  1. An exploration of tour skill factors influential to game results of LPGA players vol.24, pp.2, 2013, https://doi.org/10.7465/jkdi.2013.24.2.369
  2. Effectiveness of golf skills to average score using records of PGA, LPGA, KPGA, KLPGA : Multi-group path analysis vol.24, pp.3, 2013, https://doi.org/10.7465/jkdi.2013.24.3.543
  3. The study of changes in performance in KLPGA using growth curve analysis vol.25, pp.4,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4.847
  4. Validation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scale of amateur golf players: Rasch rating scale model vol.24, pp.6, 2013, https://doi.org/10.7465/jkdi.2013.24.6.1319
  5. 국내프로골퍼의 경기기술과 성적 간의 관계 비교분석 vol.29, pp.4, 2012, https://doi.org/10.7465/jkdi.2018.29.4.915
  6. 골프 퍼팅 시 자세 흔들림과 퍼터 헤드의 운동학적 변인 간 상관성 분석 vol.30, pp.3, 2020, https://doi.org/10.5103/kjsb.2020.30.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