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rom a viewpoint of housewives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 강성호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
  • 임병인 (충북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5.23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Our study examines if the existence of a housewife in a family increases private education fees or not, which have continued to burden the family expenditure in Kore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ce of a housewife in a family have an positive impact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rrespective of the model. Second, the higher decile the less the effect of the housewife on the private education cost. However, the first decile is an exception. Third, the housewife effect of a laborer family is stronger than that of a non-laborer family. It implies that laborers who earn the income regularly expend more money o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han nonlaborers.

본 연구는 가계지출 부담을 주고 있는 사교육비의 증가원인을 여성 전업주부의 영향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사교육비 정의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형별 모형에 관계없이 여성전업주부는 가구의 사교육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5분위 소득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분위를 제외하고는 2분위 이상 소득계층에서는 소득이 많을수록 가구의 교육비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유형을 근로자 가구와 비근로자 가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사교육비 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비근로자 가구보다 근로자 가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규칙적으로 소득을 벌어들이고 있는 근로자 가구가 비근로자 가구에 비해 전업주부를 통해서 사교육비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욱, 김부용, 홍주희 (2010). 로지스틱모형에서 그래픽을 이용한 회귀와 모형평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21-32.
  2. 강명욱, 신은영 (2012). 로지스틱회귀모형의 변수선택에서 로그-오즈 그래프를 통한 로그-밀도비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 99-111. https://doi.org/10.7465/jkdi.2012.23.1.099
  3. 권혁철 (2010). <색다른 통계로 보는 한국: 교육비 부담>, 자유기업원, 서울.
  4. 김진영 (2007).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한국경제의 분석>, 13, 1-72.
  5. 김진영 (2011). 사교육 의존도의 심화와 교육기회 불균등문제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응용경제>, 13, 191-239.
  6. 김호일, 전희주 (2010).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 영향 분석 - 안양시 사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1009-1020.
  7. 김희삼 (2009).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과 교육의 역할. <제10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자료집>, 163-193.
  8. 김희삼, 이삼호 (2008). 고등교육의 서열과 노동시장의 선별. <제9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자료집>, 3-38.
  9. 변윤언, 이광호 (2011). 사교육 소비자로서 한국엄마의 자녀교육 특성에 나타난 청소년교육 연구. <청소년학연구>, 18, 255-274.
  10. 성낙일, 홍성우 (2008).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응용경제>, 10, 183-212.
  11. 안종범, 전승훈 (2008). 교육 및 소득수준의 세대간 이전. <재정학연구>, 1, 119-142.
  12. 여유진, 김수정, 구인회, 김계연 (2007). <교육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13. 윤형호, 김성준 (2009). 부의 대물림? 가계소득과 사교육이 자녀소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1, 49-67.
  14. 전승훈, 임병인, 강성호 (2006). 개인연금 가입 결정 및 가입상태 변화 분석. <보험개발연구>, 17, 137 167.
  15. 조장식 (2011). 학생정보를 이용한 대졸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849-856.
  16. 통계청 (2008). <가계동향조사>, 통계청, 대전.
  17. 통계청 (2011). <2010년 사교육비 조사결과>, 통계청, 대전.
  18. 한국통계진흥원 (2009). <2009 통계로 보는 대한민국>, 한국통계진흥원, 경기도 성남.
  19. 홍종선, 정민섭 (2011). 신용평가에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미결정자 추론,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149-157.
  20. Lee, J. and Rhee, S. (2003). Logistic model for normality by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4, 119-129.
  21. Scrucca, L. (2003). Graphics for studying logistics regression models. Statis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11, 371-394.

Cited by

  1.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vol.26, pp.1, 2015, https://doi.org/10.7465/jkdi.2015.26.1.123
  2. 일반계 고등학생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베이지안 분위회귀모형 분석 vol.28, pp.6, 2017, https://doi.org/10.7465/jkdi.2017.28.6.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