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oplankton Community in Reservoirs of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Korea

영산강.섬진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 Na, Jeong-E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Myoung-Hw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In-Soo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Hwan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 Hwang, Kyung-Sub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 Song, Hyo-Jeong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 Lim, B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
  • La, Geung-Hw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W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ak-You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나정은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정명화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조인숙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박종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황경섭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송효정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라긍환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
  • 김현우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
  • 이학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Received : 2012.01.09
  • Accepted : 2012.02.25
  • Published : 2012.03.01

Abstract

The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re investigated from 29 reservoir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Korea. As a microalgal flora, a total of 424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They were 157 Chlorophyceae, 161 Bacillariophyceae, 39 Cyanophyceae, and 67 other algal taxa. The phytoplankton diversity were low in stream type reservoirs such as Kumho, Youngsan and Youngam Reservoirs. The population density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29 cells $mL^{-1}$ to 53,161 cells $mL^{-1}$.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more than 20% of total standing crops were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granulata$, $Cyclotella$ sp., $Synedra$ $acus$, $Coelastrum$ $reticulatum$, $Pandorina$ $morum$, $Scenedesmus$ $arcuatus$, $Aphanothece$ $clathrata$, $Microcystis$ $aeruginosa$, $Phormidium$ s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ranged from 0.41 mg $m^{-3}$~220.72 mg $m^{-3}$, and showed highest concentration in Gaecho-je.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have no clear relationships with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2011년 영산강 섬진강 수계 29개 호소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161종, 녹조강 157종, 남조강 39종, 기타 67여종으로 총 424종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4차 조사시기에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대동호, 대동제, 소포제, 군곡제, 개초제, 둔전제 지점에서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였고, 영산호를 비롯한 하천형 호소에서는 비교적 빈약한 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점에서 20% 이상의 우점율을 보인 종은 대부분 규조류였고 2차와 3차 조사에서 녹조류와 남조류도 우점의 빈도가 높아졌다. 개체군 밀도는 조사 호소나 시기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없었고 특정 종의 성장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의 농도는 조사호소와 시기에 따른 편차가 매우 컸으며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와 클로로필-$a$의 농도 사이에는 매우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숙찬, 김한순. 2004. 영천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의 동태. Algae 19:227-234. https://doi.org/10.4490/ALGAE.2004.19.3.227
  2. 김용재. 1996. 팔당호의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찰과 지표종을 이용한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29:323-345.
  3. 김용재. 1999. 덕동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LTSI에 의한호소의 영양상태평가. Algae 19:227-234.
  4. 김용재, 이정호. 1996. 낙동강 수계의 6개 댐호의 식물 플랑크톤 군집구조 비교. 한국육수학회지. 29:347-362.
  5. 김용재, 최재신, 김한순. 1997. 임하호의 식물 플랑크톤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307-324.
  6. 김종원, 이학영. 1991. 낙동강 하구 저수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4:143-151.
  7. 김지환, 김영환, 이인규. 1998. 충주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동태. 한국조류학회지. 13:339-354.
  8. 김현우, 라긍환, 정광석, 박종환, 허유정, 김상돈, 나정은, 정명화, 이학영. 2010. 국내 남서부지역 호수 및 저수지 생태계의 플랑크톤 동태 변화. 환경생물. 28:86-94.
  9. 김호섭, 최은미, 박주현, 황하선, 김범철, 공동수, 황순진. 2008.농업용 저수지 수질과 경험적 인자들과의 관계. 수질보전한국물환경학회지. 24:333-339.
  10. 김호섭, 황순진. 2004. 부영양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제한영양염과 질소/인 비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7:36-46.
  11. 나정은, 정명화, 박종환, 김상돈, 임병진, 김현우, 이학영. 2011.영산강∙섬진강 수계 호소의 규모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분포. 환경생물. 29:107-112.
  12. 박정훈, 문병렬, 이옥민. 2006. 수원시 수계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및 영양단계. Algae 21:217-228. https://doi.org/10.4490/ALGAE.2006.21.2.217
  13. 서정관, 유재정, 이재정, 양상용, 정익교. 2003. 운문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 영양단계평가. Algae 18:135-143.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35
  14. 신재기, 황순진, 강창근, 김호섭. 2003.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의 육수학적 특성: 수문과 수환경 요인. 한국육수학회지.36:242-256.
  15. 윤태광, 윤태일, 김창균, 박세진. 2000. 부영양화 인공호소의수질관리를 위한 초고속응집침전(URC) 공정의 적용. 대한환경공학회. 22:2025-2036.
  16. 이 경, 윤숙경. 2002. 임진강 수역의 자연 하적호 장좌못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한국육수학회지.35:103-110.
  17. 이 경, 윤숙경, 한명수. 1997.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토쿄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III. 부착규조. 한국육수학회지. 30:253-279.
  18. 이옥민, 송호영. 1995. 주암호의 연간 ('93) 식물플랑크톤의분포 및 현존량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8:427-436.
  19. 이은주, 조규송. 1994. 소양호 식물성플랑크톤의 연간변화.한국육수학회지. 27:9-22.
  20.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Algae 17:275-281. https://doi.org/10.4490/ALGAE.2002.17.4.275
  21. 이학동, 강병찬, 김민영. 1994. 예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에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7:219-226.
  22. 정 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출판사. 서울. 496 pp.
  23. 최민규, 김백호, 정연태, 위인선. 1994. 주암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출현과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27:79-91.
  24. Butchart SHM, M Walpole, B Collen, AV Strien, JPW Scharlemann, REA Almond and JEM Baillie. 2010. Global biodiversity: indicators of recent declines. Science 328:1164-1168. https://doi.org/10.1126/science.1187512
  25. Graham LE, JM Graham and LW Wilcox. 2009. Algae. Benjamin Cummings, New York.
  26. Hampton J, JR Sibert, P Kleiber, MN Maunder and SJ Harley. 2005. Fisheries: Decline of pacific tuna populations exaggerated? Nature 434:E1-E2, https://doi.org/10.1038/nature03581
  27. Hirose HM, T Akiyama, K Imahori, H Kasaki, S Kumana, H Kobayasi, E Takahashi, T Tsumura, M Hirano and T Yamagishi. 1977. Illustration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932 pp.
  28. Jaenike J. 2007. Comment on "Impacts of Biodiversity Loss on Ocean Ecosystem Services". Science 316:1285.
  29. John DM, BA Whitton and AJ Brook. 2002. The Freshwater Algae Flora of the British Isles: An I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and Terrestrial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The Natural History Museum, Cambridge. 720 pp.
  30. Kalff J. 2002. Limnology. Prentice Hall, New Jersey.
  31. Myers RA and B Worm. 2003. Rapid worldwide depletion of predatory fish communities. Nature 423:280-283. https://doi.org/10.1038/nature01610
  32. Odum EP. 1971. Fundamentals of Ecology.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3rd Ed.). p. 574.
  33. Patrick R and CW Reimer.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1.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Philadelphia. 688 pp.
  34. Patrick R and CW Reimer. 1975.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II part 1.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Philadelphia. 213 pp.
  35. Prescott G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Otto Koeltz Science Publisher, Germany. 976 pp.
  36. Quiros R. 1990. Factors relating to the variance of Residuals in chlorophyll-total phosphorus regressions in lakes and reservoirs of Argentina. Hydrobiologia 200/201:343-355. https://doi.org/10.1007/BF02530352
  37. Reynolds CS. 1984. The ecology of freshwater phytoplankton. Cambridge Univ. Press, London. 384 pp.
  38. Sibert JR, J Hampton, P Kleiber and M Maunder. 2006. Biomass, size, and trophic status of top predators in the Pacific Ocean. Science 314:1773-1776. https://doi.org/10.1126/science.1135347
  39. Walters CJ. 2003. Folly and fantasy in the analysis of spatial catch rate data. Can. J. Fish Aquat. Sci. 60:1433-1436. https://doi.org/10.1139/f03-152
  40. Wetzel RG and GE Likens. 1991. Limnological Analysis. Sprin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