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일부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을 대상으로-

  • Seo, Eui-Gyeong (Dep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 Kim, Soon-Duc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June-Young (Dept. of Biostatist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Rim, Jae-Suk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 서의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
  • 김순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
  • 임재석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
  • Received : 2012.04.20
  • Accepted : 2012.06.22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업무형태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업무 시 노출되는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 내 악습관이 측두하악장애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아 보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으로부터 편의 추출된 45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3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하악사용에 관한 구강 내 악습관,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문지의 양성응답 수의 빈도에 따라 무증상인 1단계에서 양성응답 수가 가장 많은 4단계 까지 총 4그룹으로 나누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여러 요인들 간의 연관성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및 경향성 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은 75.4%였고,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주관적 증상으로는 관절잡음이 56.4%로 가장 주된 증상 중 하나였으나 남녀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두통이나 목의 통증이 36.5%이었고, 귀, 관자놀이, 볼 주위의 통증이 22.1%로 높았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 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증상이 없는 경우 여성에서 19.1%, 남성에서 36.6%로 여성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그룹보다 20 - 30대그룹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악 사용과 관련된 악습관 및 직무스트레스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악 사용과 관련된 습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개수도 많아졌고, 습관이 한 가지씩 늘어날수록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없는 1단계보다 3단계가 될 위험이 1.45배, 4단계가 될 위험이 1.57배 높아졌다.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하위단계에서 한 단계 높아지면 측두하악장애 1단계에서 4단계가 될 위험이 2.49배, 두 단계 높아지면 3.43배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측두하악장애와 업무특성에 따른 연관성은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개수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업무형태 보다는 심인적인 부분이 더 중요한 인자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측두하악장애 평가 시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행동적, 심리 사회적 문제로 예측인자를 폭넓게 인식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발생된 경우 임상적 치료뿐 아니라 행동요법 및 심리 치료와 자가 관리 등이 함께 수반되어 기여요인 조절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Dimitroulis 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linical update. BMJ 1998:317(7152):190-194. https://doi.org/10.1136/bmj.317.7152.190
  2. Fricton JR, Kroening RJ, Hathaway KM. TMJ and craniofacial pain: Diagnosis and Management. 1st ed., St. Louis:Ishiyaku EuroAmerica, Inc.; 1988:1-10.
  3. Chang SJ, Koh SB, Kang D,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4):297-317.
  4. von Onciul J. ABC of work related disorders. Stress at work. BMJ 1996;313(7059):745-748. https://doi.org/10.1136/bmj.313.7059.745
  5. Ariens GA, Bongers PM, Hoogendoorn WE, et al. High quantitative job demands and low co-worker support as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Spine 2001;26(17):1896-1901. https://doi.org/10.1097/00007632-200109010-00016
  6. Mongini F, Ciccone G, Ibertis F, et 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accompanying symptoms in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headache, and facial pain. J Orofac Pain 2000;14(1):52-58.
  7. Torp S, Riise T, Moen BE. The impact of psychosocial work factors on musculoskeletal pain: a prospective study. J Occup Environ Med 2001;43(2):120-126. https://doi.org/10.1097/00043764-200102000-00010
  8. Viikari-Juntura E, Martikainen R, Luukkonen R, et al. Longitudinal study on work related and individual risk factors affecting radiating neck pain. J Occup Environ Med 2001;58(5):345-352. https://doi.org/10.1136/oem.58.5.345
  9. Lee YO, Lee SW. A study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using SCL-90-R. J Craniomandib Disord Facial Oral Pain 1989;3(1):25-34.
  10. Schulte JK, Anderson GC, Hathaway MK, et al. Psychometric profiles and related pain characteristic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J Orofac Pain 1993;7(3):247-253.
  11. Butterworth JC, Deardorff WW. Psychometric profiles of craniomandibular pain patients: Identifying specific subgroups. J Craniomand Pract 1987;5(3):225-232.
  12. Dahlstrom L. Psychometric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 overview. Acta Odontol Scand 1993;51(6):339-352. https://doi.org/10.3109/00016359309040585
  13. Yap AU, Cha EK, Hoe JK. Clinical TMD, pain related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status of TMD patients. J Oral Rehabil 2002;29(4):374-380. https://doi.org/10.1046/j.1365-2842.2002.00822.x
  14. McNeil C.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Chicago:Quintessence Publishing Co.; 1993:62.
  15. Sohn DE, Ahn YW, Park JS, et al.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tients by screening questionnaire. Korean J Oral Med 2004;29(4):341-351.
  16. Miyake R, Ohkubo R, Takehara J, et al. Oral parafunctions and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J Oral Rehabil 2004;31(6):518-523. https://doi.org/10.1111/j.1365-2842.2004.01269.x
  17. Rantala MA, Ahibeng J, Suvinen TI, et al. Temporomandibular joint related painless symptoms, orofacial pain, neck pain, headache,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non-patients. Acta Odontol Scand 2003;61(4):217-222. https://doi.org/10.1080/00016350310004089
  18. Carlsson GE. Epidemiology and treatment need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ofac Pain 1999;13(4):232-237.
  19. Nilsson IM, Thomas L, Mark 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reported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in in adolescents. J Orofac Pain 2006;20(2):138-144.
  20. Okese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6th ed., St Louis: Mosby Co.;2007:152-153.
  21. De Kanter RJAM, Truin GJ, Burgersdijk RCW, et al. Prevalence in the Dutch adult population and a meta-analysis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Dent Res 1993;72(11):1509-1518. https://doi.org/10.1177/00220345930720110901
  22. Dworkin SF, Huggins KH, LeResche L, et al. Epidemiology of signs and controls. J Am Dent Assoc 1990;120(3):273-281.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90.0043
  23. Kim YR. Epidemiolog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or Korean[Doctor's Thesis]. Seoul: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24. Cho MS, Yi SJ. Self-report symptoms for teporo-mandibular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the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iene 2011;11(6):853-862
  25. Feteih RM.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ral parafunctions in urban Saudi Arabian adolescents: a research report. Head Face Med 2006;2:25. https://doi.org/10.1186/1746-160X-2-25
  26. Kim ME. A study on TMD and stress of first children. J Korean Soc Dent Hygiene 2010;10(4):683-693
  27. Cooper BC, Kleinberg I. Examination of a large patient population for the presence of symptoms and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ranio 2007;25(2):114-126. https://doi.org/10.1179/crn.2007.018
  28. Im YH, Baek HS, Kim BG. Correspondence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ymptoms and clinical examination findings. Korean J Oral Med 2010;35(1):83-91.
  29. Chung SC, Lim YH. Functional disorder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he masticatory system. Korean J Oral Med 1982;7(1):32-40.
  30. Farsi NM. Symptoms and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ral parafunctions among Saudi children. J Oral Rehabil 2003;30(12):1200-1208. https://doi.org/10.1111/j.1365-2842.2003.01187.x
  31. Dao TT, LeReshe L. Gender differences in pain. J Orofac Pain 2000;14(3):169-184.
  32. Nassif NJ, Al-Salleeh F, AlAdmawi M.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needs of symptoms and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mong young adult males. J Oral Rehabil 2003;30(9):944-950. https://doi.org/10.1046/j.1365-2842.2003.01143.x
  33. Gold S, Lipton J, Marbach J, et al. Sites of psychophysiological complaints in MPD patients: II. Areas remote from the orofacial region. J Dent Res 1975;54:165
  34. Um BY, Chung SC. A study on the symptom severity and the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of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Korean J Oral Med 1988;13(1):71-84.
  35. Bonjardim LR, Gavao MB, Pereira LJ,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t J Prosthodont 2005;18(4):347-352.
  36. Butler JH, Folke LA, Bandt CL. A descriptive survey of sign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J Am Dent Assoc 1975;90(3):635-639.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75.0147

Cited by

  1.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exam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in allied health students vol.16, pp.5,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5.791
  2.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 건조감, 턱관절 증상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vol.13, pp.1,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136
  3. 20-30대 일부 성인의 스트레스, 구강악습관 및 턱관절 증상의 연관성 vol.14, pp.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739
  4. 일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구강 악습관과의 관련성 vol.15, pp.6,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6.721
  5. 턱관절 장애 자각증상 및 관련요인 vol.17, pp.4,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4.589
  6. 성인의 턱관절장애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17, pp.4,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4.601
  7.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측두하악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 vol.39, pp.3, 2012, https://doi.org/10.14347/kadt.2017.39.3.187
  8. 여대생의 측두하악장애에 따른 T-scan I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및 구강행동유형과의 관련성 vol.19, pp.2,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16
  9.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구강악습관과의 연관성에 관한 융합 연구 vol.10, pp.11, 2012,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1.247
  10. 일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증상과 구강악습관 및 턱관절 기능장애의 관련성 vol.42, pp.3, 2020, https://doi.org/10.14347/jtd.2020.42.3.254
  11. 턱관절장애 유무에 따른 깨물근, 목빗근의 두께 및 근긴장도, 최대 입벌림 범위의 비교 및 상관성 연구 vol.8, pp.3, 2020, https://doi.org/10.15268/ksim.2020.8.3.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