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roject Method on the Key Competencies on the unit of "Making Model by Architecture"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특성화 고등학교 '건축모형제작'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을 적용한 수업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2.02.02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applied with a project method for the 'Making Model by Architecture' unit in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improvement of the Key competences. With this aim, the stud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hird graders in two classroom in G vocational High Schools in Goyang, Gyeonggi-do. Aiming at the select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tudy conducted a pre-test of their Key competences; thu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n, the study offered a class applied with a project metho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ffering a traditional instruction to the control group. After offering the class, the study undertook a post-test, and verified the effect. In order to prove the test result, the study carried out a Hest using the SPSSWIN 12.0 statistical program, while the significance level being ${\alpha}$<.05.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All the six selected areas including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resource utilization competence', 'mathematical competence', 'interpersonal management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which were supposed to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among the sub-areas of Key competences, were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a project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post-test of the two groups. I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lass using a project method for the 'Making Model by Architecture' unit was discovered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Key competences. In particular, it may be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six areas greatly relevant to the project method among various sub-areas of Key competence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건축모형제작'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을 적용한 수업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고양시 G특성화고등학교 3학년 2개반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고 실험집단에는 프로젝트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alpha}$=.05로 하였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영역 중 이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선정한 6개 영역, 즉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활용능력', '수리능력', '대인관리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통해 프로젝트법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건축모형제작'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에 의한 수업은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직업기초능력의 다양한 하위영역 중 프로젝트법과 많은 관련이 있는 6개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령 (2005). APA 논문작성법. 양서원.
  2.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서울 :웅보출판사.
  3. 김진모, 정철영, 나승일 (2002), 재직근로자 대상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우송대학교 연구보고서.
  4. 나승일 외 (2003).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과 표준 개발. 중앙고용정보원 .
  5. 문대영, 류창열(1998). 21세기 사회에서 필요한 직업기초능력.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원 논문집, 21(1), 3-15.
  6. 박동열 외 (2006).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모듈개발과 가중치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박동열 외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박은주(2004).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회계원리 교과의 수업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9. 박현미 (2004). 컴퓨터 그래픽 교과의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적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마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0. 배은영 (2003).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상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구성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11. 이동임 (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이무근(1990). 실기교육방법론- 서울:상조사.
  13. 이무근, 이용환, 정철영, 배진한, 최애경, 이종성, 정태화, 나승일(1997). 직업기초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14. 이미란 (2008).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의 직업기초능력 관련 내용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15. 이미영 (2010).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승희 (2008).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7. 이종성 외 (2002).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임호권 (2005).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담당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19. 정성봉(2002). 실과수업방법론. 서울: 교학사.
  20. 정진철(1999).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1. 정철영 외(1998).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분류 및 하위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17(2).
  22.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조성하(2009). 실과(기술.가정) 프로젝트법 적용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Hyland, T. (1994). Competence, education and NVQs: Dissenting perpectives. London: Cassell.
  25. Kilpatrick, W. H. (1918). The project method; Its vocational education origi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26. Stevenson, J. A.(1921). The Project Method of Teaching. New York;McMillan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