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영화 <월-이(Wall-E)>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the Animation Wall-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강신영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
  • 조은래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 발행 : 2012.02.29

초록

본 연구는 만화영화 <월-이(Wall-E)>의 의미를 분석하여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Wolcott(1994)의 개념에 근거한 질적 자료 분석 방법 중 해석적 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구는 오염되고 파괴되어 버려진 땅으로 나온다. 액시엄은 지구를 파괴한 주체인 나태한 사람들의 안식처로, 선장실은 각성과 변화의 실마리를 얻는 공간이 된다. 둘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시엄은 귀환도구로 역할을 하며, 지구는 고향, 터전으로 인식되어 인간이 돌아왔을 때는 희망의 땅이 된다. 셋째, 캐릭터 중 <월-이>는 변화의 주체가 되어 자신뿐 아니라 인간들까지도 변화시킨다. 인간의 욕심은 지구에서의 생태적인 삶을 파괴하였다. 그러나 사람들과 서로 관계 맺고, 지구를 살리는 노력을 한다면 인류를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끌 수 있다. 본 영화를 분석한 결과 생태적 미디어가 가지는 특성인 자연친화 및 예찬, 자연파괴 및 현대문명 비판, 생명의 존엄성, 생태의식 함양, 공존, 공생, 상생의 원리 등의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고, 유아들의 생명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movie WALL-E shows the Earth which has been overrun with garbage and devoid of plant and animal life, and humans who try to restore the eco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children's education with a detailed analysis of the movie's theme. The analysis method is the interpretive analysis model that is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of data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 of Wolcott. First, the Earth is an abandoned planet covered in trash: the Axiom is a haven for morbidly obese and indolent people. The main area of the earth's destruction, and the captain's cabin is the place to find a clue to awakening and change. Second, with the lapse of time, the Axiom becomes a ship allowing their return to earth. The Earth, recognized as their homeland, turns in to the land of hope when people return. Third, the cleaning robot Wall-E, as a main agent of change, has changed humans as well as itself. The results showed that we found nature-friendly development, destruction of nature, the criticism of modern civilization, the sanctity of life, ecological consciousness, coexistence, symbiosis and a win-win principle in our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정연(2008). 라캉의 시각이론이 입각한 영화비평, 독일어문화권연구, 17(1), 258-278.
  2. 구인회(2002). 생명윤리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3. 김남석(2007). 미야자키 하야오의 장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한국언어문화, 34, 45-82.
  4.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종태(2010).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한국문예비평연구, 32, 349-373.
  6. 나성식, 구수연(2011). 우리나라 아동영화에 나타난 아동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547-559.
  7. 네이버 백과사전(2011.07.28인출). 인상주의.[http://http://100.naver.com/100.nhn?docid=725634]
  8. 맥스무비(2011.10.28인출). <월-E> 앤드류 스탠튼 감독 "아이디어가 중요하다"[http://www.maxmovie.com/movie_info/sha_news_view.asp?newsType=&page=&contain=&keyword=&mi_id=MI0078089698]
  9. 박이문(1998). 자연, 인간, 언어. 서울: 철학과 현실사.
  10. 생태유아교육 홈페이지[http://www.ecoece.or.kr]
  11. 송명규(2004). 현대 생태사상의 이해. 서울: 따님.
  12. 송용구(2000). 에코토피아를 향한 생명 시학. 서울: 시문학사.
  13. 송인욱(2008). 유아기 발달을 위한 유아용 애니메이션의 적합성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송주연, 정명숙, 유수경(2009). 그림책 '강아지 똥'에 나타난 생태주의. 아동교육, 18(1), 143-156.
  15. 심재성(2001).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안지성, 조희숙(2010). 라캉(Lacan)으로 읽는 <벼랑위의 포뇨>. 어린이미디어연구, 9(1), 43-62.
  17. 위키피디아(2011.07.28인출). 지속가능사회 [http://ko.wikipedia.org/wiki/%EC%A7%80%EC%86%8D_%EA%B0%80%EB%8A%A5%ED%95%9C_%EB%B0%9C%EC%A0%84]
  18. 유안진(2003).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 윤소영(2007). 라캉으로 읽는 <나니아 연대기>. 동화와 번역, 14, 157-178.
  20. 이귀영(2004). 생태중심적 유아환경교육 현황과 교사의 인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병래(2004). 유아기 생명존중교육의 의미와 방향.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43-163.
  22. 이형식(2006). 영화의 이해.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23. 이효원, 조희숙(2011). 시각디자인 문법으로 읽는 레오 리오니 작품의 집단 역학: 자아 성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5-24.
  24. 임부연, 오정희(2009).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71-396.
  25. 임예지, 김민진(2011). 생태 그림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85-107.
  26. 임재택(2010). 생태유아교육개론. 경기: 양서원.
  27. 장혜정(2005). 아동문학 작품 속의 환경 이데올로기 분석: 초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18(2), 44-54.
  28. 정대련, 이춘희(2003).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자아 정체성 연구.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3(2), 75-100.
  29. 조채영, 임재택(2006).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145-168.
  30. 조희숙(2004). 생태유아교육과 아동문학. 생태유아교육연구, 3(1), 103-121.
  31. 황의웅(1997).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서울: 예솔.
  32. Bordwell, D., & K. Thompson. (2001). Film Art an introduction. (6th ed.) New York: McGraw-Hill.
  33. Kupetz, B. N. & Tweist, M. M. (2000). Nature, literature, and young children: A natural combination. Young Children, 55(1), 59-63.
  34. McGowan, T. Kunkle, S.(2008). Lacan and Contemporary Film. 라캉과 영화이론(김상호 역). 경기: 인간사랑. (원저 2004 출판).
  35. Postman, N.(2005). Technopoly: The Surrender of Culture to Technology. 테크노폴리(김균 역). 서울: 궁리. (원저 1993 출판).
  36. Shaffer, D. R.(2008). Social Personality Development. 사회성격발달. (송길연, 이지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5 출판).
  37. Wolcott. H, F.(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 Sage.
  38. Zastrow, C., & Kirst-Ashman, K.(2002).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김규수, 김인숙, 박미은, 박정위, 설진화, 우국희, 홍선미 역). 서울: 나눔의 집. (원저 1997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