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수업설계요소에 대한 인식과 실행간 차이연구

A Surve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structional Planning Elements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업설계 요소들의 인식과 실행에 대한 차이를 알고, 설립유형과 담당 유아연령에 따른 차이도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측정도구의 Cronbach ${\alpha}$는 수업설계요소 인식도 0.92, 실행도 0.94로 모두 신뢰도가 높았으며, 영역은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acute{e}$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인식도와 실행도의 4점 척도에서 각 각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인식이 높을수록 실행도가 높았다. 그리고 실행도는 인식도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기관유형에 대한 인식도와 실행도는 국 공립유치원에서 가장 높았고, 민간어린이집에서 가장 낮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담당연령에 대한 차이는 만 5세에게서 가장 높았고, 만3세에게서 가장 낮았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들의 수업설계요소에 대 한 인식과 실천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강화체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gaps between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structional planning ele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1 teachers who worked in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one-way ANOVA - test. The alpha coefficients of the instruments were 0.92 and 0.94 respectively, which showed the instruments were both reliable. The teachers investigated scored high when a four-point scale was utilized, but they scored lower in implementation than in recognition. In conclusion, teachers were well aware of instructional planning elements and performed well, but they had more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than in recognition. When their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were evaluated by the type of institution and preschooler age in charge, the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rated highest, and those who were in charge of five-year- olds in Western age were rated highes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it's necessary to take actions to boost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s in relation to instructional planning el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I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 고후순(1997). 유아교육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경성교육연구, 3(2), 65-85.
  3. 김두열(1996). 교육공학이론가와 교육실천가의 교육공학적 신념 및 실천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지혜(2006). 유치원 교원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영옥(2001).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한국교사교육, 18(1), 15-43.
  6. 김신자(1998). 효과적인 교수설계. 서울: 문음사.
  7. 박기용(2007).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23(4), 1-30.
  8. 박기용(2010).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6(3), 21-52.
  9. 박미희(2003).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을 통한 유아 영어 수업모형 개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변영계(1997).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의 동향. 서울: 문음사.
  11. 박영희(1997).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및 실천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호철(2003). MBTL 수업 절차 모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성용혜, 문미옥(2003). 유아 국악 장단수업모형의 개발 및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24(4). 89-102.
  14. 손원경(2011). 남아와 영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상호작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211-148.
  15. 엄기영(2002). 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절차모형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267-291.
  16. 오숙현(2004). 유아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및 활용 실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49-79.
  17. 이영석(2003).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유아수업모형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167-206.
  18. 이정화(2002). 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절차 모형 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267-291.
  19. 이혜정(2010).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정숙경(1996). 수업설계 모형 비교 준거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아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학생연구, 제24집, 87-106.
  21. 정숙경, 윤관식, 윤현상(1995). 교사를 위한 효과적 수업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22. 정영희, 서영숙(2005). 이야기 나누기 수업절차모형 적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59-385.
  23. 조부월(2004). 유아 수업절차 모형 개발 연구: SIM-DAP 모형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17-249.
  24. 정한호(2009).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25(3), 157-191.
  25. 최미숙, 박영미(2002). 유아교육기관의 주간 교육계획안 운영 평가. 한국교사교육학회지, 19(3), 267-285.
  26. 황보영란, 이해영(2011).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6(2), 29-52.
  27. Corey, S. M. (1971). The nature of instruction. NJ: Prentice-Hall.
  28. Dick, W. & Carey, L. (1990). The systematic design of insrruction (3rd ed.). Glenview, IL: Scott, Foresman & Company.
  29. Dick, W., & Reiser, R. A. (1989). Planning effective instruction,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0. Edmonds, G. S., Branch, R. C., & Mukherjee, P. (1994).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ar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ETR & D, 42(4), 55-72. https://doi.org/10.1007/BF02298055
  31. Glaser, R. (1962). Psychology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 R. Glaser (Ed.), Train and educational.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32. Grelach, V. S., & Ely, D. P. (1980). Teaching and media : A Systematic approach(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33. Kemp, J. H. (1985).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34. Mims, C. (2003). Authentic Learning: A practical introduction & guide for implementation. Meridian, 6(1). Retrieved June 11, 2011,fromhttp://www.ncsu.edu/meridian/win2003/authentic_learning.
  35. Reigeluth, C. M. (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6. Richey, R. (1986).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es of instructional design. London: Kogan Pages.
  37. Rosenshine, B. V., & Furst, N. F. (1973). The use of direct observation to study teaching, In R. M. Travers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Stokie, IL: Rand McNally.
  38. Visscher-Voerman, J. I. A. (1999). Design approaches in training and education : A reconstructive stud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Twente, Enschede, the Netherlands.
  39. Visscher-Voerman, J. I. A. & Gustafson, K. L. (2004). Paradigms i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Development, 52(2), 69-89. https://doi.org/10.1007/BF02504840
  40. Wedman, J., & Tessmer, M. (1993). Instructional designer's and priorities: A Survey of design practic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6(2), 43-57.
  41. Winer, L. R., & Vazqez-Abad, J. (1995). The present and future if ID practic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8(3), 5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