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 연구

A Study of Eco-friendly Practices Regarding Meals and Snacks at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 권신영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에 대해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 취사부의 실천정도가 어떠하며, 어린이집과 보육교직원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Boise(2010)의 친환경개념을 적용하여 급 간식의 친환경의 개념을 재 정의하여 보육교직원의 실천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 200개소에 근무하는 원장118명, 보육교사 363명, 취사부 102명 총 583명의 질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안전성, 기능성, 지속가능성 세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취사부의 실천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원장, 보육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들의 급 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어린이집의 유형, 규모,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보육교직원의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practice levels of child-care directors, child-care teachers, and the cooking staffs in terms of practicing eco-friendly rules regarding meals and snacks provided to the children. It also sought out to see which determinants makes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groups, if there are in fact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group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selected 200 child-car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nd surveyed a total of 583 members of these child-care institutions including 118 child-care directors, 363 child-care teachers and 102 workers in the cooking staff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summary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ovision of eco-friendly meals and snacks for the children, the practice levels got lower in the order of cooking staffs, child-care directors and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child-care teachers' practice level of providing eco-friendly environment to feed eco-friendly meals and snacks to the children is relevant to the type, number of teachers, position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However, it is shown that the experience of the child-care teacher is not relevant to the practice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희, 장연집, 박혜원(1997). 아동문제 및 행동수정. 서울: 양서원.
  2. 곽동경(2006). 효율적인 유치원 급식운영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최종보고서.
  3. 김경철, 김안나(2009). 유치원 기관평가의 이해와 실무. 서울: 학지사.
  4. 김민서(2007). LOHAS를 위한 생활 웹사이트에서의 그린디자인 발전방향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성혜(2007). 보육시설의 친환경 디자인 요소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76-85.
  6. 김영명(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 쉽게 준비하기. 서울: 창지사.
  7. 김영명, 이주현(2005). 보육시설 급간식의 인력 및 비용 현황과 질 개선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 영유아보육학, 41, 87-110.
  8. 김태연(2009). 유치원 친환경 급식 실태와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의 급식 만족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현진(2005). 교토의정서 발효이후의 기업경영.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0. 노정옥, 이은파, 이진숙(2009). 전북지역 보육시설의 시설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관리 실태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1), 74-83.
  11. 류왕효, 박영주(2002). 부천시 보육시설 급식관리 실태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31, 91-110.
  12. 박영주(2003). 영유아 보육시설의 조리실 시설 현황 및 조사 및 조리실 시설모델 개발.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형수, 이경미, 설혜린, 박기환, 류경(2009). 보육시설 및 유치원 급식 관리자의 위생관리 인식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4(1), 88-99.
  14. 박혜원(2008).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파주: 양서원.
  15. 보건복지부(2012). 보육사업안내.
  16. 송덕희(2009). 친환경 식재료 사용여부에 따른 학교급식 만족도와 식생활 행동비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신운식(2009). 친환경농산물 사용 학교급식의 학부모 인식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은숙, 강금자, 유희정(2009). 영.유아를 위한 영양과 건강 교육. 서울: 창지사.
  19. 오호영, 허승욱(2005). 보육시설 친환경농산물 급식에 대한 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 13(4), 375-388.
  20. 유정수(2006). 쓰레기로 보는 세상,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1. 윤연주(2010). 경기도 일부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친환경 농산물 이용에 따른 영양 (교)사 인지도 및 만족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미정(2007). 초등학생 어머니의 학교급식 운영과 친환경 농산물 사용에 대한 인식.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연승, 한경수(2007). 보육종사자의 관련변인에 따른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회지, 11(1), 257-272.
  24. 이윤주(2003). 인천지역 단체급식소별 조리종사자의 위생실천도 및 위생지식 비교.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9(1), 22-31.
  25. 이은정, 한경수(2000). 위탁급식경영업체의 영양사, 조리사의 고용형태 및 학력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4), 241-251.
  26. 이성희, 이명희, 엄정애, 김정현(2001).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급식 관리 운영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24, 83-103.
  27. 이지은, 허승욱(2005).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 및 추가 비용규모 추정. 한국유기농업학회, 13(2), 145-159.
  28. 임재택(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29. 장명림, 김양분(2003). 유치원 급식 운영 실태 조사 및 요구 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261-284.
  30. 장혜자, 박영주, 고은선(2008).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4(3), 229-242.
  31. 정미라, 이영미, 이기완(2000). 유아교육기관의 간식 공급 현황 및 영양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8(4), 99-113.
  32. 정미희(2011). 제주지역 친환경 급식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상렬, 이혜상(2001). 경북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쓰레기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5), 837-847.
  34. 조채영, 김은주, 임재택(2007).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식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25-150.
  35. 최기영, 이학선, 김은희(2005).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과 유아 식습관 지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337-360.
  36. 통계청(2010). 경제활동 인구조사.
  37. 하정연(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일과운영과 환경구성에 관한 실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95-118.
  38. 하정연, 임재택(2006). 유아를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15-240.
  39.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환경친화적 외부공간 조경설계 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
  40. 한기순(2006).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3(3), 59-87.
  41. 한미라, 임재택(2005). 유기농급식이 아이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및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93-212.
  42. 한유미, 이영환, 이진숙, 오연주, 권정윤, 안경온, 박은숙(2004). 스웨덴과 한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급식 지도 태도 비교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9(6), 706-715.
  43. 한인숙(1999). 유치원의 간식 및 급식운영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함정도, 노정선(2003). 친환경건축의 이해. 서울: 기문당.
  45. 홍상표(1999). 초등학교 급식시설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실태 평가. 환경영향평가, 8(2), 65-71.
  46. 환경부(2008). 보육시설의 실내 공기질 유지관리 매뉴얼.
  47. 황해익(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48. Juhu Kim, Yeung-suk lee, Hoi Suen, and Kyung-sun Lee (2002). A delphi study of young children's readiness in korea: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chooling.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9(4), 345-355.
  49. Betsy Lozoff (1989). Iron and learning potential in childhood. Bull N Y Acad Med. 65(10), 1050-1088.
  50. Phil Boise (2010). Go Green R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Settings, Redleaf Press.
  51. Rudolf Steiner (2008). Nutrition : Food, Health, and Spiritual Development, Rudolf Stein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