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일부광역시의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 Oh, Han-Na (Dep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
  • Park, Young-Nam (Dept. of Dental hygiene, Jeonbuk Science College)
  • 오한나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박영남 (전북과학대학 치위생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and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4 students who were in the three-year-cours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in another four-year-course non-dental hygiene department in G college in the city of Gwangju.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general awareness about dental hygienist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knew 97.5%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knew 80.6% about dental hygientist as a jo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In regard of awareness about status in medical law, medical technician was the highes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52.8%), and medical assistant was the highest in the non-dental hygiene students(48.8%) 2. As a result of awareness about the main tasks of dental hygienists X-ray and scaling were the highes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42.3%), and treatment assistance was the highest in the non-dental hygiene students(32.9%). 3. In regard to awareness about image of dental hygienists, both groups were the highest in professionalism and were the lowest in negative image. All variable were differences statistically between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p<0.05).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학생활 중에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G대학의 3년제 치위생과와 J 대학의 4년제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과위생사라는 직업에 관해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은 97.5%, 일반대학생들은 80.6%가 인지하고 있었고(p<0.001), 치과위생사의 의료법상의 위치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의료기사가 52.8%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대학 학생들은 의료보조자가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2. 치과위생사의 주요 업무에 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치위생과 학생들은 X-ray촬영과 스켈링이 42.3%로 가장 높았고, 일반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주요업무는 치과의사의 진료보조 업무가 3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인식은 치위생과 학생들은 '전문직이다'라는 인식(4.05)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3.05)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반학과 학생에서도 '전문직이다'라는 인식(3.43)이 가장 높았고, 부정적 이미지(2.9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치위생과 학생과 일반대학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치위생과 학생들과 일반대학 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의료법상 위치에 관한 인식과 주요 업무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대학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정립하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업무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 및 교육이 모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원균 등: 일부지역사회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인지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4(6): 403-417, 2006.
  2. 이은숙 등: 치과위생학 개론. 5차 개정판, 고문사, 서울, pp.93-113, 2010.
  3. 한지형: 환자 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치과위생사 관련요인분석[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해, 2002.
  4. 치과위생사협회: 연도별 치과위생사 면허 취득현황. 서울: 치과위생사협회 내부자료, 2012.
  5. 장현숙: 고령화 사회에서의 치과위생사의 역할. 서울: 대한치위생학과 교수협의회, 2010.
  6. 신경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이미지 조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용인, 2009.
  7. 최은미, 송윤신, 이선희: 서울.경기지역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 조사연구. 경복논총 8: 399-414, 2004
  8. 유미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전주, 2003.
  9. 박성숙, 조평규: 치과내원환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0(3): 191-197, 2010.
  10. 조수희: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천안, 2000.
  11. 강재경, 김경미: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4): 263-269, 2006.
  12. 황미영, 이선미: 치위생과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관한연구.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21(2): 117-125, 2009.
  13. 윤현서 등: 일부 병원 종사자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 선호 경향. 치위생과학회지 10(4): 211-218, 2010.
  14. 라수연: 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관한 인식도 조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용인, 2006.
  15. 한경순: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전문화에 대한 치과의사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치과연구 44(5): 55-68, 1998.
  16. 이재현: 치과위생사의 교육제도.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아사랑 20(봄): 2-5, 1995.
  17. 임혜경: 치과위생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