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tress on Salivary Cortisol Level of Some of the Dental Hygienists

일부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가 타액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ung-Hwa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Pohang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정화 (포항대학교 치위생과)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ork-concerned characteristic, health behavior, life stress, psychosocial stress,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dental hygienists and to find their effects on cortisol level in saliva. The target of this study is 219 dental hygienists registered in Daegu and Gyeongbuk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s of February 2010. For life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years of current job(p<0.05), self health status and regular meal(p<0.01). For psychosocial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p<0.05), daily working hours(p<0.01), self health status, sleeping hours, regular meal and hobby and leisure activity(p<0.01). For job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p<0.05), job experience, position, man power appropriateness in department and working years of current job(p<0.05). For cortisol level in saliva, extra working days(p<0.05) and self health status(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job stress and cortisol level in saliva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p<0.01). Health behavior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life stress by path coefficient -36.807(p<0.05) and that to psychosocial stress by path coefficient -5.209(p<0.001). And health behavior also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self-esteem by path coefficient 0.561(p<0.05). Life stress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psychosocial stress by 0.012(p<0.05) with self-esteem to psychosocial stress by -2.437(p<0.001) and psychosocial stress to job stress by 0.523(p<0.001). Job stress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cortisol level in saliva by -0.060 (p<0.05). It was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cortisol level in saliva was job stress, b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t can be assumed that chromic job stress cause shortage in cortisol excretion, and caused lower cortisol level in saliva.

연구는 설문지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관련 특성, 건강행태와 생활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을 조사하고 이들이 타액 내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2월 현재 대구 경북 치과 위생사 협회에 등록된 219명의 치과위생사로 하였으며, 타액 채취는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전후 30분까지 하였으며, 타액채취와 설문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날짜를 선정, 2010년 3월 12일부터 3월 26일까지 실시하였다. 생활스트레스에서는 현재직장 근속년수(p<0.05), 자가 건강상태, 규칙적인 식사(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연령(p<0.05), 일일 근무시간(p<0.01), 자가건강상태, 수면시간, 규칙적인 식사, 취미여가활동(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학력(p<0.05), 직무경력, 직급, 같은부서의 인력 적절성, 현재직장 근속년수(p<0.05)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자가건강상태(p<0.01), 수면시간(p<0.05), 취미여가활동(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타액 코티졸 농도에서는 정규시간 외 근무일(p<0.05), 자가건강상태(p<0.05)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와 타액 코티졸 농도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건강행태가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경로계수는 -36.807(p<0.05)로, 건강행태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5.209(p<0.001)로, 건강행태가 자아존중감 0.561(p<0.05)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생활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0.012(p<0.05)로, 자아존중감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2.437(p<0.001)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직무스트레스 0.523(p<0.001)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티졸농도 -0.060(p<0.05)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티졸 농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음의 상관성을 보여 만성적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코티졸 농도의 고갈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Reissman DB et al.: Downsizing, role demands, and job stress. J Occup Environ Med 41(4): 289-293, 1999. https://doi.org/10.1097/00043764-199904000-00011
  2. Folkow B: Man's two environments and disorders of civilization: aspects on prevention. Blood Press 9(4): 182-191, 2000. https://doi.org/10.1080/080370500439065
  3. Grossi G et al.: The morning salivary cortisol respone in burnout. J Psychosom Res 59(2): 103-111, 2005.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05.02.009
  4. Schulz P et al.: Increased free cortisol secretion after awakening in chronically stressed individuals due to work overload. Stress Med 14(1): 91-97,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9-1700(199804)14:2<91::AID-SMI765>3.0.CO;2-S
  5. Steptoe A et al.: Job strain and anger expression predict early morning elevations in salivary cortisol. Psychosom Med 62(2): 286-292, 2000. https://doi.org/10.1097/00006842-200003000-00022
  6. 박은주: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주, 2003.
  7. 손경옥: 광주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광주, 2008.
  8. 최미숙: 치과위생사의 직무환경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아산, 2006.
  9. 오혜승: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근로생활의 질(QWL)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익산, 2009.
  10.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84.
  11. Stevens SS: A metric for the social consensus. Science 151(710): 530-541, 1966.
  12. Goldberg DP, Hillier VF: A scaled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Psychol Med 9(1): 134-145, 1979.
  13. 대한예방의학회: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계축문화사, pp. 144-181, 2000.
  14. 장세진: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용역 보고서, 2004.
  1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6. William J, Laurice B: A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dfing program for hospital-based health care personnel. Health Soc Work 18(2): 149-156, 1993.
  17. 성민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체위 및 체성분 조성, 혈청지질, 건강관련 행동과의 상관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천, 2008.
  18. 한세영: 치과의원에 종사하는 일부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만족도 및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08.
  19. 이미숙: 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대구, 2009.
  20. 이동수, 김지혜: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학회지 40(2): 217-229, 2001.
  21. 박금숙 등: 임상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제의학회지 22(1): 171-180, 2001.
  22. 장세진 등: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38(1): 25-37, 2005.
  23. Boscarino J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xposure to combat, and lower plasma cortisol among Vietnam veterans: findings and clinical implications. J Consult Clin Psychol 64(1): 191-201, 1996.
  24. 손병민: 작업부하와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르티솔농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2004.
  25. Vining RF et al.: Salivary cortisol a better measure of adrenal cortical function than serum cortisol. Ann Clin Biochem 20(6): 329-335, 1983.
  26. Pruessner JC, Hellhammer DH, Kirschbaum C: Burnout, perceived stress, and cortisol responses to awakening. Psychosom Med 61(2): 197-204, 1999. https://doi.org/10.1097/00006842-199903000-00012
  27. Besser GM, Thorner MO: Comprehensive clinical endocrinology. 3th ed. Elselvier Science, pp.19-34, 2002.
  28. Speroff L, Frotz MA: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6th ed. philade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401-451, 2005.
  29. Young E, Akil H: Changes in releasability of ACTH and beta-endorphin with chronic stress. Neuropeptides 5(4-6): 545-548, 1985. https://doi.org/10.1016/0143-4179(85)90075-7
  30. Gunnar MR, Vazquez DM: Low cortisol and a flattening of expected daytime rhythm potential indices of risk in human development. Dev Psychopathol 13(3): 515-538, 2001. https://doi.org/10.1017/S0954579401003066
  31. 라기용: 하지 마사지가 중증 경련성 뇌성마비 학생의 생리적 반응, 면역반응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창원, 2008.
  32. 오영택: 균형조절치료가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스트레스 인식정도와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부산, 2008.
  33. 유정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5.
  34. 오선영: 미용업종사자들의 업무수행 관련 근골격계 부담작업과 직무스트레스 부하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경산,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