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행복마을 가옥의 치수계획 특징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전통가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ature of the Dimension Plan at Happy Village - Focused on the Comparative Traditional House in Chonnam Province -

  • 성대철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신웅주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발행 : 2012.11.25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mension feature of the plane about the economic type farming village Korean-style house progressed in the Chonnam province and Longitudinal feature and tries to reveal this feature through the comparing analysis with the traditional house positioned in the Chonnam province. Th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ain feature in plane is the setting up the column interval in front when comparing the house of Happy Village and traditional house. In case house of the Happy Village, after firstly fixed the limited scales, sizes are determined, this is due to control the set up in the post interval in this in range. Second, in the case of the traditional houses, 0.68 ratio of the building height about the side length and 0.19 ratio of the eaves extrusion about the side length are consistent ratio about dimensions. However, there is no consistent ratio or fixed law, the various dimensions show up in case of the house of Happy Village. It will be inevitable that space of the post increases for the convenience of life of the modern people. However, it has to sublate and to disregard as the identity of the morphological shown up in the Korean-style house the more various construction standards will need to b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만호, 정훈, 주석중, 생활한옥 모형개발을 위한 한옥의 의장 요소 선호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3호, 2009.9
  2. 구수영, 박용환, 서울의 도시한옥 LDK화에 의한 공간구성변천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권10호, 2009.10
  3. 김지민, 전남지방 민가의 안채 평면형 연구, 건축역사연구 14권4호, 2005.12
  4. 김지민, 지속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권3호, 2006.3
  5. 김태훈, 이장혁, 김정규, 최근에 지은 전남 농촌한옥의 건축적 특성 및 이용현황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4호, 2009.12
  6. 손세관, 하재명, 양우현, 양용정, 全州市 都市型韓屋의 平面類型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7호, 1996.7
  7. 성대철, 박강철, 사찰주불전의 처마부 치수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2권2호, 2010.6
  8. 이상선, 성대철, 행복마을 한옥의 평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4권2호, 2012.5
  9. 전봉희, 권용찬,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7호, 2008.7
  10. 조원석,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권3호 , 1999.10
  11. 황용운, 이진욱, 1990년 이후 농촌표준주택 배치, 평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4호,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