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이용과 주택유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주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신건강 진료비(F-code)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Urban Land Use and Housing Form on Residents' Mental Health - Focusing on the Ment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Expense (F-code) in Jeonju-city

  • 발행 : 2012.11.25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land use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residents' mental health. Land use and housing types indicators including green areas and park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related environment and health researches. Research database for every variable from 33 neighborhoods in Jeonju city were established through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here is available for getting ment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F code) expenses. The relation between those indexes and mental health were analy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higher price area like apartments and raw houses the residents lived in, the more expenditure of F-code was paid. It could be interpreted by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medical treatment and interests on the health. Second, the more green area except park were there, the more F-code expenditure was given, which could be explicated with the spatial co-relation between location of green area and apartments of Jeonju city. It was very high, and apartment element's affect on the F-code was much more than the green zone. Third, the nearer to park were the residents, the less F-code expenses was pai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주희, 2010,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 출판사
  2. 김진구, 2011,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의 격차, 사회보장연구, 27(3)
  3. 김용진, 안건혁,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2(6), 2011
  4. 김은정 외, 2010,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공간계획 및 정책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5. 김은정, 강민규, 2011,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7(3)
  6. 노병일, 곽현근, 2005, 동네의 맥락적 특성이 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7
  7. 문혜식, 김수봉, 2009, 대구시 공원녹지의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 공간으로서의 이용실태, 한국환경과학회, 18(11)
  8. 박선희, 안득수, 박종민, 2008, 치유 정원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도 분석,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12(2)
  9. 방경식, 2011, 부동산용어사전, 부연사
  10. 성현곤, 2010, 도시환경과 건강과의 연관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1. 성현곤, 2011, 주거지 근린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3)
  12. 안기완 외 4인, 2009, 日本長野縣信濃町치유의 숲 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13(1)
  13. 이경환, 안건혁, 2007,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2(6)
  14. 이경환, 2008, 근린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5. 이경환, 김성길, 2011, 도시재생 과정에서 활용가능한 건강도시 계획지표 개발 및 전문가 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2(5)
  16. 이경환, 안건혁, 2008a, 근린 환경이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3(3)
  17. 이경환, 안건혁, 2008b, 지역 주민의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한건축학회, 24(6)
  18. 이상규, 2002, 사회환경요인이 지역별 사망률과 개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 이석민, 2003, 개인 및 거주 지역 특성이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 이학식, 임지훈, 2008, SPSS 14.0 매뉴얼, 법문사
  21.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사회정책본부, 2010, 한눈에 보는 OECD 보건지표 2009,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사회정책본부
  22.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www.nhic.or.kr (2011.06.18)
  23. 전주시 http://www.jeonju.go.kr (2011.09.25)
  24. 전주시부동산시스템 http://land.jeonju.go.kr (2011.09.26)
  25.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011.06.18)
  26. Dever, G.E.A., 1980, Community health analysis: A holistic approach, Germantown, MD: Aspen Systems.
  27. Lalonde M., 1974,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Ottawa, Ontario, Canada: Minister of Supply an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