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ering and Nut Fruit Characteristics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Orchards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밤나무의 개화 및 종실 형질 특성

  • Kim, Choonsi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Cho, Hyun-Se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im, Jong-Taek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조현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임종택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soil amendment treatments [(organic fertilizer: 20 kg $tree^{-1}$; compound fertilizer+wood-char fertilizer: compound fertilizer 4 kg $tree^{-1}$+wood-char 2 kg $tree^{-1}$; lime fertilizer: 3 kg $tree^{-1}$; mixed fertilizer: compound fertilizer 1 kg $tree^{-1}$+organic fertilizer 10 kg $tree^{-1}$+wood-char 1 kg $tree^{-1}$; control (no fertilizer)] on flowering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orchards in Jinju and Sancheong, Gyeongsangnam-do. Diameter of fruiting shoot increased generally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number of leaf, female and male flowers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Nut weight increased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Jinju, but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in Sancheong.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il pH (r=0.91) or exchangeable $Ca^{2+}$ (r=0.99) and nut weight in Jinju and a positive correlation (r=0.97) between organic carbon content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r=-0.92) between exchangeable $Mg^{2+}$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of nuts in Jinju. However, the nut weight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in Sancheong were not correlated with soil proper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nuts in chestnut orchards depend on soil properties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between regions which show better responses on poor sites than on good sites.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와 산청지역 성숙한 밤나무 재배지를 대상으로 토양 개량제 처리[유기질비료 처리구: 20 kg/본; 복합비료 및 목탄 처리구: 복합비료 4 kg/본+목탄 2 kg/본; 석회비료 처리구: 3 kg/본; 혼합비료 처리구: 복합비료 1 kg/본+유기질비료 10 kg/본+목탄 1 kg/본; 대조구(무시비구)]가 밤나무 개화 및 종실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 개량제 처리는 결과지 직경 생장을 촉진하였으나 잎, 숫꽃, 암꽃 수 등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밤나무 종실 무게는 진주지역의 혼합비료 처리구나 석회비료 처리구가 높았으나 복합비료 처리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토양 개량제 종류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산청지역의 종실 무게는 토양 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개량제 처리 후 토양 특성은 진주지역의 경우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 종실 무게와 양의 상관(r=0.91과 0.99), 유기 탄소 함량은 당도와 양의 상관(r=0.97), 마그네슘 함량은 당도와 음의 상관(r=-0.92)이 있었다. 그러나 산청지역의 경우 토양 특성과 종실 무게 및 당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밤나무의 개화 및 종실 형질은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여 토양 특성이 열악한 진주지역은 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산청지역은 토양 개량제 효과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밤나무 품종선택 및 갱신. 산림과학속보 07-08.
  2. 김만조, 이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2003.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 321-332.
  3. 김만조, 이욱, 김선창, 황명수, 권용희, 이문호. 2006. 밤 재배품종의 수확 후 과실품질 및 저온저장중 밤과실의 당도 및 경도변화. 한국임학회지 95(6): 672-676.
  4. 김춘식, 임종택, 조현서, 구관효. 2007. 경상남도 밤나무 임지의 지역별 토양특성. 한국임학회지 96(1): 89-95.
  5. 농림부. 2005. 밤나무 노령임분 갱신 및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pp. 321.
  6. 농림부. 2006. 노령 밤나무림의 갱신효율 증대 및 노령 밤나무 목재의 이용 극대화 기술 개발. pp. 242.
  7.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삼미기획. pp. 202.
  8. 산림청. 2011. 산림과 임업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pp. 327-330.
  9. 안창영, 황명수. 1993. 밤나무 주요품종의 수확기, 과실형질에 대한 연구. 임목육종연구소 연구보고 29: 89-95.
  10. 이경준. 2006.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514.
  11. 이욱, 김만조, 김선창, 이문호, 장용석. 2005. 밤나무 교잡종 과실의 질적 특성.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3(1): 71-78.
  12. 이욱, 권용희, 변광옥, 김만조, 현정오. 2008. 밤나무 절단전정이 개화, 결실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7(2): 221-228.
  13. 이욱, 황석인, 김만조, 김지혜. 2011. 저농도 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과 과실품질. 한국임학회지 100(3): 432-440.
  14. 정인구, 박승걸. 1978. 밤보속, 다수확을 위한 밤나무 비배관리. 가리연구회. pp. 295.
  15. 정인구. 1982. 밤나무 시비시험(II)-일조량 부족과 Mg의 시비효과. 한국임학회지 58: 17-22.
  16. Famiani, F., Proietti, P., Palliotti, A., Ferranti, F. and Antognozzi, E. 2000. Effects of leaf to fruit ratios on fruit growth in chestnut. Scientia Horticulturae 85: 145-152. https://doi.org/10.1016/S0304-4238(99)00132-6
  17. Kainer, K.A., Wadt, L.H.O. and Staudhammer, C.L. 2007. Explaining variation in Brazil nut fruit produc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0: 244-255. https://doi.org/10.1016/j.foreco.2007.05.024
  18. Kim, M.J. 2006. Chestnut cultivation and breeding in Korea; Part II. Journal of the American Chestnut Foundation 20 (1): 26-34.
  19. Ponder, F. Jr, Jones, J.E. and Haines, J. 1998. Annual applications of N, P, and K for four years moderately increase nut production in black walnut. HortScience 33: 1011-1013.
  20. SAS Institute. 2003. SAS/STAT User's Guide, Version 9, Cary, NC U.S.A. pp. 1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