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eam Project in Calculus for Medicine - Numerical Methods of Integration -

의대생을 위한 미분적분학 팀프로젝트 사례 - 정적분의 수치채산법을 중심으로 -

  • Min, Sook (Department of Mathematics,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2.01.28
  • Accepted : 2012.04.18
  • Published : 2012.05.15

Abstract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actical and essential method of using team projects for calculus. We, specifically, take into account the team project that calculate the volume of lung represented on CT scan images.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mages in a team project encourage studying numerical methods of integration for calculus. Also, we have used various technological programs(MATLAB, MATHEMATICA, MS Excel) to solve the team project.

미분적분학에서 정적분의 수치계산법에 대한 팀프로젝트(Team Project) 문제를 제시한다. 제시한 팀프로젝트 문제는 흉부 CT 사진을 통해서 폐의 부피를 구하는 것으로 특별히 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전문화 및 특성화된 미분적분학(정적분의 수치계산법) 수업이 될 것이다. 또한 프로젝트 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테크놀로지(MATLAB, MATHEMATICA, MS-Excel)를 도입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정 . 김도한 . 서승현 . 안홍주 . 최광석 (2006).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강의 분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20(4), 503-521.
  2. 곽성은 (1997). 컴퓨터 그래픽을 통한 수학교육의 향상.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6(2), 107-117.
  3. 김경원 . 이상구 . 이재화 (2011) Excel Grapher: 역동적 함수 그래프 도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 교육 논문집>. 25(2), 309-321.
  4. 김동화 (1998). 대학수학교수. 학습의 문제점 개선 방안, 교육이론과 실전. 8(1), 185-193
  5. 김병무 (2001). 대학수학에서 Mathematica를 이용한 pie의 계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 307-319.
  6. 김병무 (2007).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 육논문집. 21(3), 467-482.
  7. 김병무 . 윤주한 (2000) . 대학교양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6(1), 101-115.
  8. 김향숙 (2003).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s using Mathematica,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D <수학교육연구>, 7(2), 101-123
  9. 박용범. 박일영 . 김한희 . 임기문 . 허만성 (2001). 수학교육에서 Maple의 활용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2(8), 211-232
  10. 박형빈. 정인철. 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29-341.
  11. 안가영. 권오남 (2002).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및 처치-테크놀러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3, 337-360.
  12.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22(4), 399-416
  13. 최은미 (2009). 미적분학 개혁운동 과 미적분강좌의 방향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1), 47-59
  14. 홍후조 (2005). 대학전공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연구 23(3), 257-288
  15. Barnhard, J., Pierce, A., Joyce, W., & Bates, H. (1960). Roentgenogrnphic detemination of total lung capacity: a new method evaluated in health, emphysema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Am. J. Med. 28, 51-60. https://doi.org/10.1016/0002-9343(60)90222-9
  16. Crawford, K. (1994). The Context of Cognition: The Challenge of Technology. In P. Emest (Ed.), Constructing Mathematical Knowledge: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pp.92-106) London: The Falmer Press.
  17. Ferrini-Mundy, J., & Graham, K (1991). An overview of the calculus reform effort ; Issues for leaming, teaching,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Amer. Math. Monthly 98(7), 627-635. https://doi.org/10.2307/2324931
  18. Friedler, L. (2004). Calculus in the US: 1940-2004, Arcadia University https://doi.org/10.1172/JCI100541
  19. Hurtado, A., & Fray W. W. (1933). Studies of total pulmonary capacity and its subdivisions: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radiologic measurements. J. Clin. Invest. 12, 807-823. https://doi.org/10.1172/JCI100541
  20. Schlesinger, E., White,K, Mallory, B., Hildeboldt, F., & Huddleston, B. (1995). Estimation of total lung capacity from chest radiography and chest radiography and chest CT in Children: Comparison with body plethysmography. AJR 165, 151-154. https://doi.org/10.2214/ajr.165.1.7785574
  21. Stewart. J. (2003). Calculus 5e, Thomson: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