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On-line Personal Image Consulting Program Contents

온라인 퍼스널 이미지 컨설팅 프로그램의 컨텐츠 현황 분석

  • Kim, Ri-Ra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Chung, Su-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o-Jung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김리라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정수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유정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11.24
  • Accepted : 2012.03.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Personal image concerns a person's talent, expertise, as well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image. It is a core value that differentiates one individual from another. As personal branding via personal image manage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re is a fast-growing number of online systems that provide self-test programs to analyze one's style and habits and also provide expert advice for not only styles but lifestyles as well. This study develops a systematic and objective personal image consulting system and offers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personal image making. For that purpose,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global companies that use online image consulting programs and analyze their digital cont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wo domestic companies, Colorz and Atzine, and seven foreign companies, notably Covet and Boutique, were brisk in business; 2) two types of personal image-diagnosis programs - Visual search and Virtual matching - are now in operation; and 3) mobile applications exist as an evolved personal image-diagnosis program. With an increased interest in such programs, various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are establishing systematic and scientific analysis systems, which are needed for personal image-making online. Under these circumstances, domestic companies are also urged to enhance levels of image-diagnosis content and actual commercialization and utilization, to develop programs that enable objectified, systematic personal image-making.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a helpful tool to consider future directions.

Keywords

References

  1. 정수인 외 (2011), 국내의 이미지 컨설팅 산업과 교육현황, 복식, 61(2), pp. 47-59.
  2. 네이버 영어사전, 자료검색일 2011. 12. 30,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entryId=30916c60a2d34ed3be1f8bf128173ccc
  3. 네이버 국어사전, 자료검색일 2011. 12. 30,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457300
  4. 유평근, 진형준 (2001), 이미지, 경기도: 살림, p. 21.
  5. 김경호 (2005), 이미지 메이킹의 개념 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언영 (2008),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활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조기년, 최정숙 (2004), 직장여성의 Self Image Making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p. 83-95.
  8. 윤소영, 박길순 (2010), 퍼스널 이미지(Personal image)의 형성 요인 및 구성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10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pp. 149-151.
  9. 정의영 (2008), 정치마케팅에 있어 후보자의 퍼스널 브랜드를 위한 표현전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Peter Montoya (2002), 퍼스널 브랜딩 신드롬, 서울: 바이북스, p. 30.
  11. 김경호 (2008), 이미지 메이킹의 이론과 실제, 서울: 높은오름, pp. 33-50.
  12. 김경호 (2006), 이미지 메이킹의 개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청소년학연구, 13(1), pp. 267-289.
  13. 김하정 (2004), 패션을 통한 스타 이미지 메이킹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세영 (2011), 한국 여성의 패션 프레임에 의한 패션 이미지 유형화: 20-30대 여성의 현실적 이상적 패션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1-73.
  16. 이언영 (2008),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활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
  17. 김보배 (2010), 개인의 가치를 높이는 테크닉-퍼스널 이미지 컨설팅, 서울: 경춘사, pp. 10-11.
  18. 김중태 (2010),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서울: 한스미디어, p. 76.
  19. 이진환 (2001), 온라인컨설팅의 동향 및 사례,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년도 e-Biz World Conference 발표집, pp. 149-156.

Cited by

  1. UX Design of Mobile App to Develop of Integrated Fashion Style through Balancing of Personal Image-Making Elements vol.68, pp.2,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