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the ROK-U.S. Alliance and PSI

한미동맹과 대량무기 확산방지구상에 대한 해석

  • 김주원 (충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2.03.07
  • Accepted : 2012.03.28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s a Korean Peninsula free of all nuclear weapons.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wa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military action to eliminat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alk of military action peaked from mid-1993 through mid-1994. Such an attack might have led directly to a Korean war. At that time the nuclear crisis solutioned by North Korea-United States negotiation and ROK-United States alliance. PSI's purpose is to prevent or at least inhibit the sprea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ir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aterials to and from states and non-state actors whose possession would be a serious threat to global or regional security. The most controversial activity of PSI is interdiction. North Korea has expressed grave concern over the initiative, stating that it has a sovereign right to develop, deploy, and export weapons, and that it would view any interdiction of its ships as a declaration of war. If South Korea is to execute interdiction North Korean ships expect tensions to increase dramatically on the peninsula with North Korea doing something quite provacative in response. South Korea cannot help approaching PSI with great caution, since it has to consider the ROK-United States alliance, and inter-Korean relations.

미국의 한반도 정책은 비핵화이다. 미국정부는 북한의 핵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군사행동의 가능성을 고려했었다. 군사행동 고려는 1993년 중반부터 1994년 중반까지 정점에 달했다. 그러한 공격은 직접적으로 한국전을 일으켰을 것이다. 당시 북핵위기는 북미협상과 한미동맹에 의해 해결되었다. PSI의 목적은 지구적 또는 지역적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일으키는 국가나 비국가행위자에게 대량살상무기, 운반체계, 관련 물질의 확산을 막거나 적어도 억제하는 것이다. PSI의 가장 논쟁의 여지가 있는 활동은 차단이다. 북한은 구상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무기를 개발하고, 배치하고, 수출하는 것은 주권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선박에 대한 차단은 선전 포고로 간주할 것이다. 한국이 북한선박에 대한 차단을 시행하면 북한은 도발로 대응할 것이므로 한반도의 긴장은 극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한국은 한미동맹과 남북관계를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PSI에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하지 않을 수 없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헌경, "신국제안보환경하 미국의 안보정책", 한국동북아논총, 제31집, p.124, 2004.
  2. Michael D. Greenberg, Peter Chalk, Henry H. Willis, Ivan Khilko, David S. Ortiz, Maritime Terrorism: Risk and Liability,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p.143, 2006.
  3. 이태윤, "초국가적 위협 국제테러리즘에 관한 연구-핵테러의 발생가능성: 현황.전망.대안-", 국가위기관리연구, 제3권, 제2호, p.4, 2009.
  4. Joel A. Doolin,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Naval War College Review, Vol.59 Issue 2, p.29, 2006.
  5. Anthony Bergin,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Implications for the Indian Ocean",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ne & Coastal Law, Vol. 20 Issue 1, p.86, 2005.
  6. Robert G. Joseph,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a model for futur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National Institute for Public Policy", Comparative Strategy, Vol. 28 Issue 5, p.397, 2009.
  7. 김영호, "오바마 행정부의 핵군축 정책과 한국 안보", 국방연구, 제53권, 제1호, p.62, 2010.
  8. 장은석, "한국의 확산방지구상(PSI) 정식참여의 의미와 협력방향", 국제정치논총, 제50집, 제1호, pp.208-209, 2010.
  9. 전성훈, 확산방지구상(PSI)과 한국의 대응, 한국언론재단, 2007.
  10. 김동욱, 한반도 안보와 국제법, 한국학술정보, 2010.
  11. Mark J. Valencia,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Making Waves in Asia, New York: Routledge, 2005.
  12. Michael A. Becker, "The shifting public order of the oceans: freedom of navigation and the interdiction of ships at sea",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Winter 2005.
  13. Craig H. Allen, Maritime Counterproliferation Operations and the Rule of Law, Westport, Connecticut, USA: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14. Walter Gary Sharp,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The legacy of Operacion Socotora", Transnational Law & Contemporary Problems, Spring 2007.
  15. Patrick Gibbons, "Proving the point: North Korea and the ratification of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Loyola Maritime Law Journal, 2009.
  16. Michael D. Greenberg, Peter Chalk, Henry H. Willis, Ivan Khilko, David S. Ortiz, Maritime Terrorism: Risk and Liability,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006.
  17. Charles Wolf, Jr., Brian G. Chow, Gregory S. Jones, Enhancement by Enlargement: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008.
  18. 이수혁, 북한은 현실이다: 전 6자회담 수석대표가 말하는 통일외교 전략, 21세기북스, p.235, 2011.
  19. 김재철, "21세기 한미 전략동맹의 안보적 과제와 대비방향", 조선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제17집, 제2호, p.386, 2009.
  20. Jacques L. Fuqua, JR., Nuclear Endgame: The Need for Engagement with North Korea, Wesport, Connecticut․London, USA: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Greenwood Publishing Group, p.10, 2007.
  21.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01-302, 2007.
  22.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Apparent Progress in Negotiations to End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102, No. 4, pp.885-887, 2008.
  23. 박인휘, 박정희, "김대중의 국가이익과 한미관계: 동맹-자주의 분절 혹은 통합", 세계지역 연구논총, 제28집, 제1호, p.23, 2010.
  24. 하영선, 남궁곤, 변환의 세계정치, 을유문화사, p.263, 2007.
  25. 이용준, 북한핵: 새로운 게임의 법칙, 조선일보사, p.222, 2004.
  26. 홍관희, "북핵협상을 통해 본 미국의 대북정 책: 제4차 6자회담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제8집, 제2호, p.84, 2005.
  27. 이헌경,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실태와 미국의 대응: 전략과 시뮬레이션, 통일연구원, p.33, 2001.
  28. Peter C. Y. Chow, Economic Integration, Democratization and National Security in East Asia: Shifting Paradigms in US, China and Taiwan Relations, Northampton, MA: Edward Elgar Publishing, Inc., p.280, 2007.
  29. Marianne Peron-Doise, "Going nuclear in Northeast Asia: a global view", Asia Europe Journal, Volume 3, Number 4, p.509, 2005.
  30. 정욱식, 동맹의 덫, 지독한 역설: 두 개의 코리아와 미국, 삼인, pp.45-47, 2005.
  31. 이경수, "박정희.노무현 정부의 자주국방정책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123, 2007.
  32. Michael J. Mazarr, "Going Just a Little Nuclear: Nonproliferation Lessons from North Korea", International Security, Vol. 20, No. 2, p.113, 1995.
  33. 송대성, 한반도 평화확보: 경험, 방안, 그리고 선택, 한울아카데미, pp.324-325, 2007.
  34. 황성욱, "PSI참여, 전략적 시기 선택 중요", 통일한국, 제26권, 제7호, pp.41-42, 2008.
  35. 박기련.김연철, "PSI와 바람직한 한국의 선택", 전략연구, 통권 제43호, p.131, 2008.
  36. Linus Hagstrom and Marie Soderberg, North Korea Policy: Japan and the great powers,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p.159, 2006.
  37. 외교통상부 군축비확산과, "PSI 바로알기", p.6, 2009.
  38. 전성훈, 제2차 6자회담 이후 북핵문제 해결 전망, 통일연구원, p.85, 2004.
  39. 이서항, "PSI의 최근 동향과 전망", 외교안보 연구원 주요국제문제분석, p.3, 2008.
  40. Charles Wolf, Jr., Brian G. Chow, Gregory S. Jones, Enhancement by Enlargement: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008, pp.47-48.
  41. 김동욱, 한반도 안보와 국제법, 한국학술정보, 2010, pp.390-391.
  42.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for Searching Potential WMD Vessels",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98, No. 2, p.357, 2004. https://doi.org/10.2307/3176742
  43. 미국 국무부, [검색일자 : 2012. 3. 1], .
  44. 안문석, 노무현 정부와 미국, 한국학술정보, p.72, 2007.
  45. 백승주, "집중분석 I PSI 가입 의미와 전망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 (PSI) 전면가입이 한반도 분쟁의 불씨 안 된다", 북한, 7월호, p.120, 2009.
  46. 정서용,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구상(PSI)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서울국제법연구, 제15권, 제1호, p.3, 2008.
  47. 이재민,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조치의 국제통 상법적 함의에 관한 고찰", 서울국제법연구, 제14권, 제1호, p.25, 2007.
  48. Michael Byers, "Policing the High Seas: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98, No. 3, pp.534-536, 2004.
  49. Michael Byers, "Policing the High Seas: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The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98, No. 3, p.528, 2004.
  50. The Bureau of International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U.S. Department of State, Washing, DC,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PSI)", The DISAM Journal of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Management, Vol. 30 Issue 3, p.42, 2008.
  51. 통일부, "PSI 참여에 대한 북한 판문점대표부 성명 관련 참고자료", p.1, 2009. 5. 28.
  52. 신성호, "확산안보구상(PSI)과 한반도", 동아시아 연구원 외교안보센터, 국가안보패널 정책 보고서, 제13호, p.17, 2005.
  53. 신성호, "확산안보구상(PSI)과 한반도", 동아시아 연구원 외교안보센터, 국가안보패널 정책 보고서, 제13호, p.4, 2005.
  54. 안병진, "62년 '쿠바 핵 미사일 위기'의 역사적 교훈과 위기의 한반도-베두인 전설의 역설-", 역사비평, 통권 제71호, p.300, 2005.
  55. 이민효, "해상봉쇄법의 변천과 한반도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논집, 제46권, 제1호, p.178, 2001.
  56. 김한택, 현대국제법-이론과 사례연구-, 지인북스, p.299, 2007.
  57. 고유환, "한미동맹 재조명과 북한 핵실험 이후 한반도 정세", 평화학연구, 제8권, 제1호, pp.119-120, 2007.
  58. Charles Wolf, Jr., Brian G. Chow, Gregory S. Jones, U.S. Combat Commands' Participation in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A Training Manual,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p.28, 2009.
  59. Charles Wolf, Jr., Brian G. Chow, Gregory S. Jones, U.S. Combat Commands' Participation in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A Training Manual,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p.50, 2009.
  60. 전성훈, "PSI와 한국안보: 분석과 제안", 국가전략, 제14권, 제2호, p.57, 2008.
  61. 박창권, "PSI의 개념과 한국의 PSI 전면 참여 의미", 해양연맹지, 바다 30호, p.19, 2009.

Cited by

  1. 공격 원점 타격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전략 vol.21, pp.11, 2012, https://doi.org/10.6109/jkiice.2017.21.11.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