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valuation of Target Region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Management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선지구 선정연구

  • Jang, Nam-Jung (Green Growth Team,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 Kim, Bo-Guk (Green Growth Team,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 Im, Seoung-Hyun (Regional Development Team,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 Kim, Tae-Kyun (Green Growth Team,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 장남정 (전북발전연구원 녹색성장팀) ;
  • 김보국 (전북발전연구원 녹색성장팀) ;
  • 임승현 (전북발전연구원 지역개발팀) ;
  • 김태균 (전북발전연구원 녹색성장팀)
  • Received : 2011.12.19
  • Accepted : 2012.01.20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Measures against non-point sources pollution in Saemangeum watershed should be established to control water quality of Saemangeum lake, because non-point sources pollution discharge portions of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and TP (Total Phosphorous) in the watershed were 68.4 and 61.4%, respectively. In this study, target regions for the non-point sources pollution control were selected to apply BMP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the agricultural area of Saemanguem watershed in terms of TP that caused eutrophication at the lake. Target regions were selected by the NPSI (Non-point source index) that was calculated by the total 12 indexes at the steps of non-point source production, emission and outflow. Weights of the indexes were determined by the watershed management experts orient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he target region was selected at the unit of Korean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 'Dong/Li'. At the results of NPSI calculations through the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ools, two sets of 5 regions were selected in the Man-kyung River and Dong-gin River. The main reason for the selected target regions was livestock activity in the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implementing the reduction projects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pollution to control water quality in Saemangeum lake.

새만금 유역은 BOD와 TP의 비점오염배출 비중이 각각 68.4와 61.4% (2009년 기준)로 점오염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므로 새만금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수립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최적관리기법 대상지 선정을 위해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부영양화에 주요인자인 총인(TP)을 기준으로 농업비점오염대책 우선지구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우선지구 선정방안은 의사결정에 의한 오염영향 지수를 이용한 정성분석 방법으로 수계에 비점오염원(TP기준)이 작용하는 단계를 크게 발생, 배출, 유출 관련지표로 구분하여 비점오염원 영향지수(NPSI; Non-point Source Index)를 산정하였으며,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해 지표의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NPSI 산정에는 행정구역 745개의 동리단위 기준으로 비점발생특성(해당 지역의 액비살포 면적, 축사 면적, 논면적, 밭면적, 인산질 비료사용량), 비점배출특성(수질오염 총량관리제의 축산계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 토지계 배출부하량), 비점유출특성(토양유실량, 불투수율, 유출곡선지수, 유달거리, 유효강우비)의 총 12개의 지표가 적용되었다.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분석을 이용한 NPSI 산정결과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관리지역 우선지구 후보지로 만경강 5지점과 동진강 5지점을 선정하였다. 우선지구 후보지의 선정원인은 주로 축산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HP 분석결과 축산관련 지표의 가중치가 높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장남정, 김보국, 임승현, 김태균, "새만금 유역 농업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수질대책 우선지구 선정 및 협력체계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pp. 11-12(2010).
  2. 신창민, 최지용, 박철휘, "도시지역에서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6(7), 729-735 (2004).
  3. 김성수, 김종석, 방기연, 권은미, 정욱진,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지, 24(11), 2019-2027(2002).
  4. 조재현, 연제철, "GIS를 이용한 동해안 하천유역의 토양유실량과 오염부하량 평가-사천천을 중심으로-," 대한환경공학회지, 22(7), 1331-1343(2000).
  5. 김보국, 이성재, "GIS를 활용한 오염총량 대비 전라북도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정읍시를 중심으로-," 전북발전연구원, pp. 73-101(2007).
  6. Linxu Song, and Ping Liu, "Study on Agricu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SWAT," Advanced Materials Research, 113-114, 390-394(2010).
  7. 이재용, 장성호, 박진식,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SWMM의 적용-포항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보전학회지, 34(3), 247-254(2008).
  8. 박승우, 김상민, 강민구, 장민원, 장채일, 김학관, 조영경, 최라영, 황세운, 이은정, 신정범, 고재영, 유승환, 정한석, 최진규, 윤춘경, "새만금 유역의 비점오염원 제어와 관리기술 개발," 농림부, pp. 815-845(2007).
  9. 홍성언, 박수홍, "GIS와 AHP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 공원의 입지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5), 849-860 (2003).
  10. 김영, 김경환, 류태창,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응급의료시설의 공간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4), 19-32(2003).
  11. 환경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고시․훈령․규정집," p. 87 (2007).
  12. Shueler, T. R. "First flush stormwater pollutants investigated in Texas," Watershed Protection Techniques, 1(2), 88-90 (1994).
  13. Saaty, T. L. and Kearns, K. P.,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RWS Publications, Pittsburgh (1985).
  14. 조웅현, 송민희, "왕궁 축산배수가 만경강유역에 미치는 영향: 대장균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기술학회지, 9(3), 157-164 (2008).
  15. 박철웅, 박경수, 박정제, 권태혁, 진수영, 김선애, 조창우, 김종신, 김종천, "새만금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전라북도보건환경연구원, pp. 305-325(2011).

Cited by

  1. Simulations of Reduction Effects on Runoff and Sediment for VFS Applications by Considering Uplands Characteristics in Iksan vol.56, pp.5, 2014, https://doi.org/10.5389/KSAE.2014.56.5.089
  2. Determination of Prior Areas for Livestock Excreta Pollution Survey vol.24, pp.8, 2015, https://doi.org/10.5322/JESI.2015.24.8.1085
  3. A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ion of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Saemangeum Watershed vol.37, pp.8, 2015, https://doi.org/10.4491/KSEE.2015.37.8.480
  4. Effects of Controlled Drainage and Slow-release Fertilizer on Nutrient Pollutant Loads from Paddy Fields vol.58, pp.1,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