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s of Korean Pop Music through Digital Music Industry

디지털음악시장을 통해 살펴본 국내 대중가요의 변화

  • 박병규 (경기대학교 전자디지털음악학과)
  • Received : 2012.04.05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research considers growth of digital music industry and the consequential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usic consumption, and how environment of purchasing digital music has influenced music's length and forms. Meaningful data such as average length of music, average time taken to chorus, appearance of intro, interlude, outro, and precedence of chorus has been collected from K-Pop of 2000 to 2011 through this research. Result has shown music sample streaming service in internet music industry has brought changes in music's length and formation, which leaded to birth of hook songs. Through this case of consumer's environmental influence on music, research predicts music industry will look forward to achieving techniques to deliver music more effectively by adopting the content's download-based internet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음악시장 성장에 따른 음악소비 환경을 고찰해 보고, 디지털음악 구매환경이 국내 대중가요에 미친 영향을 음악길이와 음악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00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대중가요의 항목별 연구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조사항목은 연도별 대중가요의 평균 연주시간과 후렴구까지의 평균 도달시간, 전주, 간주, 후주 출현여부, 그리고 후렴구 선행여부를 다루고 있다. 조사결과 인터넷 음악시장에서의 미리듣기 서비스는 음악길이와 음악구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의 결과물로서 후크송의 등장을 낳았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환경이 음악에 영향을 준 사례로, 향후 대중가요는 다운로드 환경에 따른 효과적인 음악 전달기법에 더 집중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앙일보, "K-POP 유튜브 동영상 작년 235개국 23억번 조회", 2012.1.2.
  2. 중앙일보, 퀸시 존스, "한국 뮤지션, 음악 본질 안다.", 2011.4.9.
  3. 양정환, 김태훈, 소리바다는 왜, 현실문화, 2010.
  4. 문화체육관광부, 2011콘텐츠 산업통계, 2012.
  5. 동아비즈니스리뷰, "멜론은 고객을 즐겁게 했다.", 2008.2.14.
  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음악 소비자 실태조사.
  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음악 소비자 실태조사.
  8. John E. Forsyth, Johanne Lavoie, Tim McGuire, Segmenting the e-market, McKinsey Quarterly, 2000.11.
  9. 함봉진, 주윤황, 인터넷 마케팅, 두남, 2006.
  10. 김평수, 윤홍근, 장규수, 문화콘텐츠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1. 최원일, 김상조, 인터넷마케팅, 대명, 2002.
  12. 황재연, 뮤직 비즈니스, 시유시, 2004.
  13. Roy Shuker, Key Concepts in Popular Music, Routledge, 2002.
  14. Daryl Runswick, Jazz and Pop Arranging, FABER MUSIC, 1998.
  15. Stuart Borthwick, Ron Moy, Popular Music Genres, Routledge, 2004.
  16. Leon Stein, Structure and Style: The Study and Analysis of Musical Forms, Summy-Birchard, 1979.
  17. Christopher P. Gordon, Form and Content in Commercial Music, Scarecrow Press, 1992.
  18. Jimmy Kachulis, The Songwriter's Workshop, Berklee Press, 2003.
  19. 김민주, 2010 트렌드 기워드, 미래의 창, 2009.

Cited by

  1.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MIDI Player that Supports DRM for Musical Instrument Practice vol.21, pp.4, 2015, https://doi.org/10.5626/KTCP.2015.21.4.275
  2. 디지털 음악 시장을 통해 본 한국 대중가요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vol.18, pp.6, 2012, https://doi.org/10.9728/dcs.2017.18.6.1025
  3. 콘텐츠 플랫폼의 수익모델 혁신 전략에 대한 고찰 vol.18, pp.7, 2012, https://doi.org/10.9728/dcs.2017.18.7.1267
  4. 국내 음원 시장의 수직계열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분석 vol.18, pp.1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267
  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Music Industry in Korea vol.21, pp.11, 2012, https://doi.org/10.9728/dcs.2020.21.11.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