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심도 지중열전도도에 의한 지열 응용의 효율성

Efficiency of Geothermal Energy Generation Assessed from Measurements of Deep Depth Geothermal Conductivity

  • 조희남 (지앤지테크놀러지) ;
  • 이달희 (연세대학교 지하수토양환경연구소)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투고 : 2012.05.21
  • 심사 : 2012.06.18
  • 발행 : 2012.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지중열교환기에서 조건별 지중열전도도, 유속, 유량 및 파이프관내 압력을 측정하고, 이들 시험자료들을 분석하여 지열응용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규정에 따라 현장측정 장비를 설치한 후 3가지 다른 경우에서 각각 열전도도를 얻었다. 2차와 3차 경우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암반 지중하에서 다른 깊이(506 m, 151 m), 다른 파이프관경(65 mm, 30 mm)별 얻어진 열전도도는 각각 k=2.9, k=2.8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4차 경우는 2차 경우와 같은 조건의 심도 지중하에서도 이중관일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k=2.5로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열이용 시, 같은 지질일 경우 깊이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이 시험에서 얻은 물의 유속과 물의 유량 측정값 및 열전도도를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지열시스템의 운영 시 심도 506 m 지열공 한개가 심도 151 m 지열공 3개 운영보다 더 경제적임이 확인되었다. 비슷한 지중열전도도 환경에서 0.8 m/sec로 같은 유속일 경우 약 4배의 유량($9.3{\sim}9.8m^3/d$, $2.3{\sim}2.5m^3/d$)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대도시 건물 밀집형 지대 또는 지가가 비싸서 간접비가 많이 발생하는 대도시 지역에서는 훨씬 더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geothermal conductivity (k), water velocity, water quantity, and pipe pressure from a ground heat exchanger in the field, and then to analyze these data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for application of geothermal energy. After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required for field tests, geothermal conductivity values were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cases (second, third, and fourth). The k values of the second case (506 m depth) and third case (151 m depth) are approximately 2.9 and 2.8, respectively. The k value of the fourth case (506 m depth, double pipe) is 2.5, which is similar to the second and third cas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hole depth is a critical factor for geothermal applications. Analysis of the field data (k, water velocity, water quantity, and pipe pressure) reveals that a single geothermal system at 506 m depth is more economically efficient than three geothermal systems at depths intervals of 151 m. Although it is more expensive to install a geothermal system at 506 m depth than at 151 m depth,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geothermal system of the fourth case (506 m, double pipe) is more economically efficient than the system at 151 m depth. Considering the optional cost of maintenance, which is a non-operational expense, the geothermal system of the fourth case is economically efficient. Large cities and areas with high land prices should make greater use of geothermal energ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균, 1984, 한반도 지열류량에 대한 약간의 고찰, 광산지질, 1, 109-114.
  2. (사)한국지열협회, 2010a, 지열설비 시공능력 향상을 위한 시공가이드, 56p.
  3. (사)한국지열협회, 2010b, 한국지열협회 창립 세미나 논문집, 3-40.
  4. (사)한국지열협회, 2011, 공공기관설치 의무화에서 지열냉난방시스템의 고려사항 대응 방안, 44p.
  5. 산업자원부, 2004, 대체에너지기술개발 사업안내, 16p.
  6. 송윤호, 김형찬, 이상규, 2006, 한국의 지열 연구와 개발, 자원환경지질, 39, 485-494.
  7. 심병완, 이철우, 2010, 천부 지열에너지로서의 지하 열에너지 저장 기술 동향, 자원환경지질, 43, 197-205.
  8. 에너지관리공단, 2011, 신재생에너지백서, 134p.
  9. 지식경제부, 2011a,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10. 지식경제부, 2011b,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기준 및 지침.
  11. 한국 에어콘 냉동기기 연구조합, 2010,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및 응용기술전망, 98p.
  12. 한욱, 김영석, 1996,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의 지열류량분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2, 267-275.
  13. 한정상, 한규상, 한혁상, 한찬, 2005, 지열펌프 냉난방 시스템, 도서출판 한림원, 69p.
  14. 한정상, 한찬, 2010, 지열에너지, 도서출판 한림원, 56p.
  15. 환경부, 2010, 지열 설비의 설치.운영 등에 관한 환경관리요령, 23p.
  16. Barbier, E., 2002, Geothermal energy technology and current status: an over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 3-65. https://doi.org/10.1016/S1364-0321(02)00002-3
  1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ome Page, http://www.epa.gov/
  18. Ever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Home Page, http://www.hyy.com.cn/
  19. Geothermal Heat Pump Consortium Home Page, http://www.geoexchange.org/
  20. Kazemann, R.G. and Whitehead, W.R., 1980, The spacing of heat pump supply and discharge wells, Groundwater Heat Pump Journal, 1, 25-36.
  21. Lee, J.Y., 2009, Current status of ground source heat pumps in Kore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 1560-1568. https://doi.org/10.1016/j.rser.2008.10.005
  22. Lund, J.W., Freeston, D.H., L. Boyd, T.L., 2011, Direct utilization of geothermal energy 2010 worldwide review, Geothermics, 40, 159-180. https://doi.org/10.1016/j.geothermics.2011.07.004

피인용 문헌

  1. Study on Efficiency for Underground Heat Transfer of Metal Heat Exchanger vol.25, pp.1, 2015, https://doi.org/10.9720/kseg.2015.1.131
  2. Fluctuation Features and Numerical Model for Underground Temperature in Shallow Subsurface Soil vol.16, pp.5, 2015, https://doi.org/10.14481/jkges.2015.16.5.35
  3. Study on Capacity Alteration of Geothermal Heat Exchanger by Changing Design Condition vol.9, pp.4, 2013, https://doi.org/10.17664/ksgee.2013.9.4.009
  4. Performance Analysis of a Deep Vertical Closed-Loop Heat Exchanger through Thermal Response Test and Thermal Resistance Analysis vol.49, pp.6, 2016, https://doi.org/10.9719/EEG.2016.49.6.459
  5. Determining Design Parameters and an Optimal Design Method for Coaxial Geothermal Heat Exchangers Using Verification Experiments and GLHEPro Numerical Analysis vol.19, pp.2,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9.19.2.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