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ndividual vulnerable groups have been performed in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libraries with limited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however, all proposed alternatives are difficult to accommodate due to overload and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several alternatives have a logical contradiction and possibility of realistic conflicts. Focusing on these facts,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direction and strategic plan to strengthen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for five vulnerable classes, ie., the disabled persons, multi-cultural families, the elderly, rural residents, basic living subsidies.
최근 국내에서도 취약계층별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인적 및 물적 자원이 제한된 공공도서관 입장에서는 과부하로 인하여 제시된 모든 대안을 수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러 대안이 논리적으로 모순되고 현실적으로 상충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정법이 규정하고 있는 5대 취약계층(장애인, 다문화가족, 노인, 농어촌주민, 기초생활수급자)을 대상으로 지식정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통합형 지향성과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