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충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식단관리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1) - 식단계획 -

Current and Future Operation of Menu Management in the School Foodservices of Chungbuk (1) - Menu Planning -

  • Ahn, Yoon-Ju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Eun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4.17
  • 심사 : 2012.07.17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는 충청북도 지역 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식단관리 운영실태 및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학교급식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로, 배포된 설문지는 328부이며 이 중 265부(80.8%)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으로 학교유형은 초등학교 55.8%, 중학교 22.3%, 고등학교 21.9%로, 급식유형은 도시형이 54.0%, 농촌형이 46.0%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1일 제공하는 끼니 수에 대해 1식이 80.8%, 2식이 5.3%, 3식이 13.9%로 중식 한 끼를 제공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식단형태는 98.8%가 단일식단을, 0.4%가 선택식단, 0.8%가 단일식단과 선택식단을 같이 사용하였다. 둘째, 학교급식 식단 작성 시 고려요인의 중요도 및 어려운 정도에 대한 조사결과로 중요도 점수가 식품비예산(평균 4.5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중독위해요소(4.42점), 영양기준량(4,42점), 피 급식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4.18점), 조리시간(3.90점), 급식시설 및 기기수준(3.88점), 식재료의 원산지(3.79점), 음식의 색과 모양(3.77점) 순이었으며, 모든 고려요인의 중요도 점수가 3점(보통이다) 이상이었다. 어려운 점은 '식품비예산'(평균 4.27점)에 대한 사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피 급식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4.06점), '식중독위해요소'(3.98점), '급식시설 및 기기수준'(3.90점), '조리시간'(3.82점), '조리종사원 수'(3.68점), '조리종사원의 숙련도'(3.67점), '적온배식'(3.51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고려요인의 어려운 정도 점수가 3점(보통이다) 이상이었다. 셋째, 식단 작성 시 영양관리에 관한 조사결과 식단 작성 시 고려주기에 대해 주별이 63.8%로 가장 높았고, 끼니별 31.3%, 월별 3.8%, 계절별 1.1% 순이었다. 식단 작성 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영양소로 1순위는 에너지가 90.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식단 작성 시 가장 초과되는 영양소는 단백질이 41.9%로 가장 높았고 에너지 36.2%, 칼슘 9.8%, 비타민류 7.9%, 철분 4.2% 순이었다. 반면, 식단 작성 시 가장 부족한 영양소는 칼슘이 37.7%로 가장 높게 응답률을 나타냈고, 철분 33.6%, 비타민류 17.0%, 에너지 10.2%, 단백질 1.5% 순이었다. 에너지 구성 권장비 중 가장 초과되는 영양소는 단백질이 47.2%로 가장 높았고, 탄수화물 29.4%, 지방 23.4% 순이었다. 넷째, 학교급식법령에 제시된 식단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영양관리기준에 대한 인지도, 중요도 및 수행도 점수를 조사결과 학교급식법령에 제시된 식단 작성 시 고려하여할 사항은 '전통식문화의 계승발전을 고려', '곡류 및 전분류, 채소류 및 과일류, 어육류 및 콩류, 우유 및 유제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사용', '염분, 유지류, 단순당류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음', '가급적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사용', '다양한 조리방법을 활용' 모두 5개 항목으로 인지도 점수결과 '전통식문화의 계승발전을 고려'(평균 3.78점) 이외의 항목은 4점(준수한다) 이상이었으며, '곡류 및 전분류, 채소류 및 과일류, 어육류 및 콩류, 우유 및 유제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사용'(4.40점), '가급적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사용'(4.40점)이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 점수결과 '전통식문화의 계승발전을 고려'(3.77점) 이외의 항목은 4점(준수한다) 이상이었으며, '곡류 및 전분류, 채소류 및 과일류, 어육류 및 콩류, 우유 및 유제품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사용'(4.45점), '염분, 유지류, 단순 당류 또는 식품첨가물 등을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음'(4.45점)이 높게 나타났다. 수행도 점수결과 '다양한 조리방법을 활용'(3.71점)과 '전통식문화의 계승발전을 고려'(3.29점) 이외의 항목은 4점(준수한다) 이상이었으며, '가급적 자연식품과 계절식품을 사용'(4.24점)이 높게 나타났다. 5개 항목 중 '전통식문화의 계승발전을 고려'가 인지도, 중요도, 수행도 모든 부분에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교급식법령에 제시된 학교급식 영양관리기준 '학년별 성별 에너지공급기준${\pm}10%$ 이내', '탄수화물(5~70%) : 단백질(7~20%) :지방(15~30%) 비율', '단백질 상한 비율(20%) 이내', '칼슘 등 미량영양소 기준'에 대한 인지도, 중요도 및 수행도 점수를 분석하였다. 인지도, 중요도 및 수행도 조사 결과 모든 항목에서 4점 이상(5점 만점)이었다. 인지도는 '탄수화물(55~70%) : 단백질(7~20%) :지방(15~30%) 비율'과 '단백질 상한 비율(20%) 이내'가 각각 평균 4.59점, 4.56점이었고, '칼슘 등 미량영양소 기준'은 평균 4.33점이었다. 중요도는 '학년별 성별 에너지공급기준${\pm}10%$ 이내'와 '탄수화물(55~70%) : 단백질(7~20%) :지방(15~30%) 비율'이 각각 평균 4.39점, 4.38점이었고, 칼슘 등 미량영양소 기준'은 평균 4.16점이었다. 수행도는 '탄수화물(55~70%) : 단백질(7~20%) :지방(15~30%) 비율'과 '학년별 성별 에너지공급기준${\pm}10%$ 이내'가 각각 평균 4.34점, 4.27점이었다. 다섯째, 학교급식 식단 작성 시 영양관리기준 적용실태에 대한 조사결과 1일 영양기준량(아침:점심:저녁) 적용 비율은 1:1.5:1.5가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영양기준량을 탄력으로 적용하는 이유로는 '아침 결식률을 고려해서'가 59.2%로 가장 높았고, 1일 영양기준량(아침:점심:저녁)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실태조사 없이 임의자료로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적용'이 49.4%로 가장 높았다. 여섯째, 학교급식법령에 제시된 영양관리기준량에 따른 급식 제공시 어려운 정도를 조사한 결과 '피 급식자의 기호도 반영이 어렵다는 점'(평균 4.19점)과 '실제 공급량과 급식일지의 불일치한다는 점'(4.07점), '급식단가에 따라 적절한 영양소 공급이 어렵다는 점'(4.03점), '미량 영양소나 에너지 균형의 어려운 점'(3.94점), '새로운 메뉴개발의 업무가 소홀해진다는 점'(3.89점), '학교특성에 맞는 요구량을 맞출 수 없다는 점'(3.62점), '영양기준 비적용대상이 함께 급식수혜자가 된다는 점'(3.28점)으로 조사되었다. 일곱째, 학교급식에서의 표준조리법 작성실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 표준조리법 작성방법에 대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요리관리'가 8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행정정보시스템과 개인 소장표준조리법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9.1%이었다. 작성 중인 표준 조리법 구성항목은 '음식명', '식품명', '1인 분량'은 조사 대상 전체인 100%가 작성하고 있었고 '영양가 분석'은 73.6%, '조리방법'은 71.3%이었으나 '이용 배식도구'는 4.9%로 낮았다. 표준조리법 용도는 '생산되는 음식의 양을 균일성 있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30.4%이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an efficient improvement plan for school food services by investigating the operating situation and recognition of menu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s for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Chungbuk. A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Chungbuk by e-mail in September, 2010. A total of 265 questionnaires (80.8%)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highest allocation of nutrients and calories per day in school food services was 1:1.5:1.5 (breakfast : lunch : dinner) (38.5%). The reasoning for applying a flexible allocation of nutrients and calories per day was 'considering the ratio of students who do not eat breakfast' (59.2%). And the way to apply the flexible allocation for nutrients and calories per day was 'by agreement from the school operating committee in arbitrary data without situation surveys' (86 respondents, 49.4%), and 'by agreement from the school operating committee in analysis data through situation surveys' (80 respondents, 46.0%). The operational method of standardized recipes was 'cooking management site of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s' (87.5%) and the items included in standardized recipes were menu name, food material name, portion size, cooking method, nutrition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in HACCP. The main reason for not utilizing all items of a cooking management site of the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was 'no big trouble in menu management even though it is used partly (29.1%). In addition, the highest use of standardized recipe was for 'maintaining consistency of food production quantity' (74.0%).

키워드

참고문헌

  1.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03. Materials on operations of nutrition management model. Korea. p 2-42.
  2.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Materials o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 p 1-2.
  3.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04. A study on improving school foodservice. Korea. p 1-30.
  4. Kinder F, Geen NR, Harris N. 1984. Meal Management. 6th ed. Macmillan, New York, NY, USA. p 4-20.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Special Act on Children Eating Habit Safety Management. Korea.
  6. Kang JH, Kim KJ. 1996. A study on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2: 1-9.
  7. Kim EK, Kang MH, Kang EM, Hong WS. 1997. The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3: 74-89.
  8. Kim HA, Park HJ. 1999. A study on the school lunch program served by the elementary schools in Muan. Korean J Community Nutr 4: 74-82
  9. Kim JE, Ko SH, Kim JY, Kim HY. 2000. A study on plate waste and nutrient intake of school lunch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Food Culture 15: 29-40.
  10. Lee YJ. 2008. A study on the school lunch program served by the middle schools in Muan. M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11. Jung HJ. 1997. Evaluation of menus planned in school foodservice based on nutrient contents and the diversity of foods serve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11-42.
  12. Jung KI. 1999. Research of foodservice and menu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area. M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p 21-43.
  13. Lee KA. 1998. A Study on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ementary schools-focusing on schools in Busan area. Korean J Nutr 31: 192-205.
  14. Lee KH, Yoon HS. 2001. Study on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ementary schools in Kyungnam and Ulsan. J Korean Diet Assoc 7: 227-247.
  15. Yim KS, Lee TY, Kim CI, Choi KS, Lee JH, Kweoun SJ, Kim MO. 2004.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al management in primary school lunch program. J Korean Diet Assoc 10: 235-345.
  16. Bae YM, Song DH, Ahn HS. 2011.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levels toward school foodser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of schools serving traditional Korean menu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7: 118-129.
  17. Ryu SH, Yeoh YJ, Choo YJ, Yoon J. 2011. Middle school boys' and their parents' preference on menu types of school breakfast in Gyeo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948-955.
  18. Chang SO, Bae SK. 2009. Development of high calcium dishes for elementary school lunch and perception on calcium supply by school dietiti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73-180. https://doi.org/10.3746/jkfn.2009.38.10.1373
  19.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07. Manual on school foodservice regulations. Korea. p 3-23.
  20. Paek MH. 2008. Evaluation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for NEIS program and nutrition standard. MS Thesis. Sangji University, Kangwon, Korea. p 17-38.
  21. Ryu MJ. 2003. Nutritional management and a foodstuff use for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rea.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p 21-35.
  22. Lee MH. 2008. Food purchasing and its quality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by type of foodservice in Jeonbuk Area. M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Korea. p 8-21.
  23. Kim GM, Lee YH. 2003. A study on nutrition management of dietitia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Seoul and Incheon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9 : 57-70.
  24. Chun JH, Choe EO, Hong SY, Woo KJ, Kim YA. 1999. A study on food service administr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Korean J Food Culture 14: 417-429.
  25. Koo NS, Park JY, Park CI. 1999. Study on foodservice management of dietitia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aejon and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5: 117-127.
  26. Park PH, Jung KI. 2000. Research of foodservice and menu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area. Korean J Home Econo Assoc 3: 25-39.
  27. Lim KS, Kim CI, Choi KS, Lee JH, Kwon SJ, Kim MO, Lee TY, Lee HJ, Cho HY. 2002. A study on development of nutritional management model on foodservic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 4-47.
  28. Yim KS, Lee TY. 1998. Assessment of school foodservice menu: a comparative analysis on food serving frequency and students' meal preference in elementary school menus. J Korean Diet Assoc 4: 188-199.
  29. Kim JY. 2000. This study of high school lunch program and menu development analysis for provided food.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 7-23.
  30.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in 2009. Korea. p 1.
  31. Chang SO, Lee KS. 1995.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children who avoid to eat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1: 2-9.
  32. Lee NY. 2004. Investig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nu preference and nutrient intake for improving nutrition man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3-32.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Korea. p 7-23.
  34. Lee JS. 2010. Consumption pattern and perception on r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p 25-32.
  35. Park HS. 2010.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preference and perception for rice food of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11-21.
  36.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2010. The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milk program. Korea. p 1.
  37. Lee HM. 1998.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od habit and meal preference in Po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3: 818-829.
  38. Kwak DK. 1996. Quality management in foodservice industry. Nutrition and Dietetics 166: 18-23.
  39. Kwak DK, Ryou ES, Lee HS, Ryou K, Choi SK, Hong WS, Jang MR, Park SJ, Choi EH, Lee KE. 2008.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Shinkwang, Seoul, Korea. p 10-32.

피인용 문헌

  1. The use Frequency and Amount of Food Sources of Sodium and Knowledge Requir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in Busan vol.19, pp.2,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4.19.2.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