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스쿨팜 활성화를 위한 체험학습용 프로그램 요구분석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Needs Analysis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Eco-friendly School Farm Activation -Target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 장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오충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바이오환경과학과)
  • 투고 : 2012.05.05
  • 심사 : 2012.09.24
  • 발행 : 2012.09.28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eco-friendly school farm program. To perform these research problems, 167 people from five Elementary School group (A, B, C, D and E). Of respondents of the survey, 160 questionnaires were significant.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with SPSS 17.0 statistics program. Teacher of the need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want to help school farm program by gardening expert, experienced volunteer. Costs of instructor and material must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 Teachers are demanding an integrated program for horticulture. The teachers would have preferred an easy plant to grow and appear in textbooks. Therefore teachers' needs to be a convert-gence in the eco-friendly school farm program manua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임희준․여상인․최선영․신명경․정용재. 2011. 과학 교수-학습 지도 자료에 대 한 초등교사들의 요구. 초등과학교육 30(3): 296-304.
  2. 곽혜란․한승원․김성학. 2006. 원예주제 중심의 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3): 63-78.
  3. 김은정. 2006.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교육 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교사, 학부모의 요구 조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홍기. 2002. 생활용기를 이용한 가꾸기 방안과 장식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농림수산식품부 종자생명산업과. 2011년 6월 8일 보도자료. '농림수산식품부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 농림수산식품부.
  6.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사회과. 2010년 2월 5일 보도자료. '농촌체험학교인 팜스쿨 시범사업 추진 보도자료'. 농림수산식품부.
  7. 문지혜. 2011. 초등학교 스쿨팜 조성 현황 및 추진방향. 서울시 생태도시포럼 2011년 5월.
  8. 서울특별시교육청. 2012. 2012 주요업무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9. 정선옥. 2010. 생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충남 서천군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조현주. 2005. 학교환경을 이용한 체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한기선. 2009.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경기농림진흥재단 홈페이지 http://www.ggaf.or.kr/
  13. 여성환경연대 홈페이지 http://www.ecofem.or.kr/
  14.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홈페이지 http://cafe.naver.com/dosinongup/
  15. 자치법규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elis.go.kr/
  16. 埼玉県․埼玉県教育委員会. 2009. 埼玉県みどりの学校ファーム推進マニュアル. 埼玉県․ 埼玉県教育委員会.
  17. Braun, J. A., M. Kotar, and J. Irick. 1989. Cultivating an integrated curriculum: The school garden. Social Studies Young Learner 1(3): 19-22.
  18. Dobbs, K. D. Relf, and A. McDaniel. 1998. Survey on needs of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 use of horticulture or gardening in the classroom. Hort Technology 8(3): 46-49.
  19. Gwynn, M. L. 1988. A growing phenomenon. Sci. Children 25(7): 25-27.
  20. Hanscom, J. T. and F. Leipzig. 1994. The panther patch: A far north K to 6 gardening project. Green Teacher 38: 10-13.
  21. Graham H., D. L. Beall, M. Lussier, P. McLaughlin, S. Zidenberg-Cherr. 2005. Use of School Gardens in Academic Instructio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7(3): 147-151. https://doi.org/10.1016/S1499-4046(06)60269-8
  22. Monk, S. K. 1995. Integrated curriculum in a tiny Texas garden. Dimensions Early Childhood 23(4): 8-9.
  23. Nelson, C. J. 1988. Harvesting a curriculum. Sci. Children 25(7): 22-24.
  24. Pivnick, J. 1994. Sowing a school garden: Reaping an environmental ethic. Green Teacher 38: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