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upon Microscopic Narrative Structure of Illusion Interactive Media Art

환영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미시 서사구조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2.05.01
  • Accepted : 2012.09.2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llusion played by mutual communication in Interactive Media Art is studied in this thesis from the nar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the entertaining point of view. Microscopic narrations founded in screen changes are analyzed by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such as plot, point of view, narration, time creating the identity of Interactive Media Art.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in consequence have been converted to different forms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features of Interactive Media Art. Plot has been converted to fragmentary plot and creators' point of view in many work pieces has been recreated to the outside participants' point of view. Also, creators' narrations describ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has transferred to participants' narrations based on physically spacious search. Times of the present sharing with the past are observed in Interactive Media Art, too. It is concluded that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makes an influence on the change of essentially traditional narrative factors. Moreover, the factors mentioned in this thesis are regarded as the unique identity of out of various kinds of modern media art.

본 논문은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 종류 중 "상호소통에 의해 변주되는 환영"을 지닌 미디어 아트 유형의 "환영 변화"를 행위성에 의한 유희적, 내용적, 형식적 측면이 아닌, 미시적인 서사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화면의 변화가 발생하며 등장하는 작은 미시 서사들을 전통서사 요소인 플롯, 시야, 서술자, 시간성에서 새롭게 도출된, "해체된 단편적인 플롯", "참여자 중심의 시야", "참여자의 탐색적 서술", "참여자의 불연속적인 공간적 시간성" 요소들로 분석하고 그것의 독립적인 특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독립적인 미시서사들의 화면구성은 해체된 단편적인 플롯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화면을 구성하는 다양한 여타 시점보다 작품 밖 참여자의 중심의 시야가 더 우선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작자가 작품 내에서 치장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서술보다 참여자의 물리적인 공간적 탐색에 의한 서술이 더욱 부각되었으며,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에서의 시간성은 참여자의 공간적 탐색에 의해 현재와 과거가 공유됨을 고찰하였다. 궁극적으로 위 새 서사구조 요소들은 타 미술장르, 그리고 현대 미디어 아트의 다양한 종류 가운데서 "환영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만이 담지하고 있는 독자성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두,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출판사, 1998.
  2. 곤살로 프라스카, 김겸섭 역,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비디오 게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 리처드 헌터, 윤정로.최장욱 역, 유비쿼터스 공유와 감시의 두 얼굴, 21세기북스, 2002.
  4.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외, 도서출판 길, 2007.
  5. 블라디미르 프롭, 황인덕 역, 민담형태론, 예림기획, 1988.
  6. 시모어 채트먼,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7.
  7. 한용완, 서사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8. 김성재, 탈문자 시대의 매체현상학, 한국방송학보, 제19권1호(2005, 봄), pp.76-108.
  9. 김은영, 어린이 텔레비전 단편영화의 서사구조 분석, 미디어,젠더 & 문화, 통권14호(2010), pp.5-42.
  10. 김희현, 장편애니메이션의 플롯구성에 관한 비교분석연구-천년여우 여우비와 원더풀데이즈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Vol.21(2008), pp.151-159.
  11. 심혜련, 디지털 매체 예술에서의 이미지의 문제, 미학, 제39집 (2004), pp.113-141.
  12. 전경란, 컴퓨터 게임의 이야기하기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7권4호(2003.8), pp.320-345.
  13. 최혜실, 게임의 서사구조, 현대소설연구, 제16호(2002,6) pp.365-383.
  14. 송은주, "뉴미디어 아트에서 매체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1,8).
  15. 이재홍, "게임 스토링텔링 연구 : 게임 구성의 4요소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0,2).
  16. 이지영, "게임텍스트의 서사경험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8).
  17. 한혜원, "디지털 게임의 다변수적 서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9,2).
  18. Daum, www.daum.net, 검색어: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후의 심판.
  19. Daum, www.daum.net, 검색어: World of War Craft.
  20. Kuhn, A, Women's picture: Feminism and cinema, Routledge & Kegan Paul, 1982.
  21. Gerard, Genette, Narrative discours: An essay in method,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22. Mine control-Mariposa, http://www.mine-control.com/mariposa.html, 2012,09.18.
  23. Yahoo, www.yahoo.com, 검색어: Robert Morris, Untitled.
  24. Youtube, www.youtube.com, 검색어: 백남준, 참여TV.
  25. Youtube, www.youtube.com, 검색어: 서효정, a blue bird in the cage.
  26. Youtube, www.youtube.com, 검색어, Alvaro Cassinelli, Khronos Projector.
  27. Youtube, www.youtube.com, 검색어: Jeffrey Shaw, The Golden Calf.
  28. Youtube, www.youtube.com, 검색어: Christa Sommerer & Laurent Mignonneau, Trans-plant.

Cited by

  1. Detecting Interactive Elements from a Story for Interactive Animation through Semiotic Analysis vol.37, 2014, https://doi.org/10.7230/KOSCAS.2014.37.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