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Methods of Energy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2010 and LEED 2009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2010과 LEED2009에서의 에너지평가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 Received : 2012.12.01
  • Accepted : 2012.12.2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Recently, the green building and energy connection system are establishing. But,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is indicated hangup about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 Commissioning, energy conservation, renewable energy, carbon dioxide emissions, it is determined that the energy associated with LEED and GBCC four ite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n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the system after the completion of commissioning of the energy associated with the system completed until after the final performance for secure operation from the planning stage to verify and document systematically how to perform, but the domestic review and verification is incomplete. Second, the use of energy-saving and renewable ener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but GBCC the strengthening of standards on how to evaluate it is deemed necessary. Finally, the evaluation of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LEED Unlike GBCC the life-cycle of the system without considering the global warming index only because a substantial step in the operating efficiency can not be assessed. Based on this study GBCC energy savings through efficiency to actively carry out research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basic guidelines to proceed.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emco.or.kr/building/v2/ 에너지관리공단 건물에너지절약사업
  2. ASHRAE Standard 90.1-2010 Energy Standard for Buildings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ASHRAE, 2010
  3. LEED Reference Guide for Gre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SGBC, 2009
  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31호, 2012
  5. 지식경제부․행정안전부, 09년 지자체 청사 에너지사용량 조사결과 보도자료, 2010
  6. 친환경건축물인증기준, 국토해양부, 2010
  7. 고동환, LEED 2009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건물에너지효율평가기준에 따른 에너지절감률과 연간소비량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5호, 2010
  8. 김미란,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건축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김삼열, 김형보, BREEAM과 LEED를 통해서 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6권 제12호, 2010
  10. 박철용, 인증사례분석을 통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비교, 건설기술 쌍용 v.58, 2011
  11. 안광호, 김형근, 최용석, BIM기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사용자 중심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2012
  12. 윤정은, 임영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가이드라인의 관계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7권 제11호, 2011
  13. 이상진, 이나경, 장현승, 옥종호,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14. 이시내, 강혜진, 이언구,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평가기준의 비교분석을 통한 에너지성능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9권 제1호, 2009
  15. 이현우, 최창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LEED의 평가항목 비교연구-업무시설을 중심으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1 No.1, 2011
  16. 지속가능한 녹색건축물 보급 활성화 방안, 국토해양부, 녹색건축물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술 세미나. 2012.10
  17. 최동호,허민규, LEED인증을 위한 빌딩 커미셔닝의 역할, 설비/공조․냉동․위생 제27권 제7호, 2010
  18. 최명오, 국내 설계기준과 LEED의 요구사항 비교, 설비/공조,냉동, 위생,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