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n the Korean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onsumer Attitude of Luxury Good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염동섭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 유승엽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Received : 2012.08.31
  • Accepted : 2012.09.2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Uzzul(Boasting) about th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brand. Elated abou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these Koreans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r luxury consumer attitudes and whether any relationship was confirmed. Firstl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Uzzul(Boasting) were six sub-factors. Second,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luxury factor analysis was the result of two factors. Thi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Uzzul(Boasting)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brand. Arrogant sense and self-esteem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edonic attitudes. In addition, the relative recognition factors had an impact on the quality trust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cover the face of conspicuous luxury-related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hereas Koreans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research in progress by virtue of the fact that it is worth. Offered practitioner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of Uzzul(Boasting)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signer to create ads.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분석을 토대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은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는 요인분석결과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존감의식성 요인과 거만의식성 요인이 쾌락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인정성 요인은 품질신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의 명품관련 연구들에서 주로 다루어 왔던 과시적 체면 이라는 심리적 변인에서 탈피하여, 우쭐 이라는 한국인의 또 다른 심리적 특성 변인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타겟 집단의 우쫄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