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Working in the Hospit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 장효강 (부산도박중독예방치유센터)
  • 투고 : 2012.01.30
  • 심사 : 2012.02.29
  • 발행 : 2012.03.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Efficient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by stud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working in the Hospital. The study, the area of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more than 30 hospital-grade medical workers engaged in the collection of data aimed at the September 2010 and October 1 days and 1, 794 were used for the analysis,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ackage, SPSS 18.0 was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age, job position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The turnover intention rates were highest among nursing staffs, followed by medical technicians and healthcare supporters and then administrators. Secondly, high degree of autonomy, job skills recognition and less job satisfaction in a positions have been identified to affect the significant. It also has turned out that job suitability and emotional commitment have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장신재(2004),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Vol.20(1);120.
  2. 김찬중, 김용순(2007), 외식업체 비정규직원의 직무특성, 임파워먼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호텔관광연구, Vol.27;74.
  3. 안형기(2003), 호텔주방조직환경에 따른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4. 장효강(2006), 병원 아웃소싱직원과 정규직원의 조직문화인식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53.
  5. 신윤근(2005), '인간존중의 경영', 서울:다산출판사.
  6. Meyer J.P., and Allen N.J.(1984), Testing the side-be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9;372-378. https://doi.org/10.1037/0021-9010.69.3.372
  7. 김연근, 문희자(1998),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정도와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Vol.4(2);470.
  8. Dalton D.R., Kracknarft D.M. & Porter L.W. (1981), Functional Turnover,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6;716-721. https://doi.org/10.1037/0021-9010.66.6.716
  9. 이화용(2004),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8(4);220-235.
  10. 김일수(2010), 조직의 갈등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석사 논문, p.28.
  11. 권오석(2003), 조직외적 요인이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효과 및 재직기간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Vol.41;2370.
  12. 김재희(2003), 직무배태성이 병원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박사논문, p.58.
  13. 임정도(2011),병원종사자들의 조직유효성,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2);64.
  14. Clutterbuck D. & Kernaghan S.(1995), The Power of Empowerment: Release the Hidden Talent of Your Employees, Book Club Associates, London, pp.13-20.
  15. 방희봉(2003),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79.
  16. 박현석, 유영진, 정연국(2010), 외식업체 내부마케 팅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Vol.10(1);54-56.
  17. 양현옥(2008), 여행사 임파워먼트가 종사원 직무 특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경영대학원, p.66.
  18. 송현진(2010), 리조트 종사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p.68.
  19. 임명재(2000), 종합병원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와 노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pp.37-39.
  20. 박상례(2006),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림대보건대학원, p.68.
  21. 박효숙(2009),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 대학원, p.54.
  22. 박명순(2004), 서울시 시립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p.27.
  23. Blau G.J,(1985)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4);277-28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5.tb00201.x
  24. 김계훈(2005),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pp.71-72.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Convenien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ealthcare Service Workers vol.7, pp.1,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1.035
  2.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Affect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Knowledge Sharing of Members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vol.7, pp.4,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049
  3. 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s vol.22, pp.4, 2012, https://doi.org/10.9708/jksci.2017.22.04.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