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 Received : 2012.08.03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Mail and E-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5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lth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AM education, showed average levels of recognition on STEA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AM education was low.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to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AM education.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AM education. La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A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A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A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AM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군집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초등교사 533명을 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었으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STEAM 교육을 적용한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STEAM 교육 적용에 대한 어려움은 STEAM 교육 자료 준비의 어려움이 가장 높았으며,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개발된 STEAM 교육프로그램의 보급 부족, STEAM 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의 교육방향에 대하여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창의적인 사고능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STEAM 교과의 흥미 있는 교육, STEAM 교과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순으로 요구하였다. 넷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에 적합한 통합 방식에 관하여 현실생활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통합, 현실생활과 관련한 주제 중심의 통합, 학생의 필요와 흥미 중심의 통합, 문제 중심의 통합 순으로 요구하였다. 다섯째, 초등교사는 STEAM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능력에 관하여 창의적인 설계, 문제해결 능력, 학업수행능력, 대인관계 능력 순으로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는 STEAM 교육 활성화를 위해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다양한 교수 학습자료 보급, 교사 연수, 교사 협동, 교육과정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저자.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 진입으로 선진인류국가 실현. 2012년 업무보고. 저자
  3. 교육과학기술부(2012). STEAM 교육 정책 설명. 2012년 STEAM 리더스쿨 교사연구회 발대식 자료집.
  4. 금영충(2005). 공업계 고둥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요인과 수준.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5. 김용익(1997). 공업고둥학교 공업교사의 직무능력과 관련 변인.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6. 배선아, 금영충(2010).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 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44-67.
  7. 배선아(2011).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47-64.
  8. 손연아 외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9. 신영준, 한성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4), 514-523.
  10. 안혜령 (2011). 통합교육과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11. 한국교육개발원 (2011).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Available http//std.kedi.re.kr/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