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orean Medicine Market and Strategies after the conclusion of a Korea-China FTA through the Scenario Planning Approach

시나리오 플래닝기법을 활용한 한.중 FTA 체결이후의 한의서비스 시장 분석 및 대응전략

  • Kim, Jung-Mi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im, Byung-Mook (Division of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hin, Mi-Sook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정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임병묵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
  • 신미숙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재활의학과)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08.29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undamentals of a Korea-China FTA and suggest strategies for Korean medicine market that correspond with each scenario selected from foreseen circumstance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FTA through the scenario planning, which is one of management techniques. Methods : Four scenarios have been established by means of key questions : the scope of FTA, health care policies, and the combination of western medicine(WM) and Korean medicine(KM). Each scenario is defined as the Maximized Competitive Market, Neutral Market, General Completive Market, and Conservative Market. This study suggests brand marketing, extending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launching local network, and strategy for Korean medicine 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Results and Conclusions : Although Korean medicine could be prompted by the trade policies between countries, related studies are very limited. Therefore, more research is needed to suggest the detailed strategies for change of Korean medicine market through various strategic analysis tools.

Keywords

References

  1. 이근영. 한국의 FTA 추진 정책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009 ; 14(7) : 169-175.
  2. 양평섭, 이장규, 박현정, 여지나, 배승빈, 조현준. 한.중 교역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 5-7.
  3. 구기보, 홍정륜. 중국의 한중 자유무역협정 추진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무역상무학회지. 2007 ; 35(5) : 223-247.
  4. 한국무역협회. FTA 포털. 한국의 FTA 체결 현황. http://fta.kita.net/
  5. 정인교. FTA 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17-20.
  6. 강문성.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2009 : 6-8.
  7. 박재곤. 자유무역지역 정책의 추진 방향. KIET 산업경제. 2008 : 35-47.
  8. 외교통상부. http://www.fta.go.kr/new/ftakorea/ftakorea2010.asp.
  9. WTO. http://www.wto.org/english/tratop_e/serv_e/cbt_course_e/c1s3p1_e.htm.
  10. 썬쟈. 중국의 FTA 추진 배경과 전략 해부. LG 주간경제. 2007 : 26-31.
  11. 이대섭. 중국과 뉴질랜드의 FTA 주요 내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 1-5.
  12. 한의학 정책연구원. 중국.뉴질랜드 FTA. 2008 : 5-6.
  13. 성한경, 강준구, 배승빈. 한.중 FTA 보건의료 서비스 예상 쟁점 및 기대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 48-52, 61-63.
  14. 최항섭, 강홍렬, 장종인, 음수연. 미래 시나리오 방법론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05 : 15-37.
  15. 박정석, 류경석.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활용한 MVNO 시장 시나리오 및 사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2004 : 481-490.
  16. J. Gausemeier, A. Fink, O. Schlake. Scenario Management : An Approach to Develop Future Potential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998 ; 59(2) : 111-130. https://doi.org/10.1016/S0040-1625(97)00166-2
  17. 보건복지가족부. 한의약 R&D 중장기 육성.발전 계획(2008-2017). 2008 : 39-57.
  18. 조재국. 보건의료 환경변화와 의료일원화. 2010 ; 27(10) : 1-8.
  19. 정영호, 권순면, 서영준, 이견직, 고숙자. WTO 도하개발아젠다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부문의 협상쟁점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 162-171.
  20. 김준동, 정영호, 최병호, 안덕선. DDA 서비스협상 보건의료 분야의 주요 쟁점 및 정책 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93-101
  21. 임금자. 영리법인 도입의 장단점 및 정책 대안. 대한의사협회지. 2010 ; 53(2) : 169-174.
  22. 송영관. 보건의료서비스시장 개방과 주요 쟁점의 이해. 2005 ; 5(16) : 1-15.
  23. 서영준. 의료시장 개방관련 정책 전망 및 과제. 대한병원협회지. 2005 ; 20(2) : 51-61.
  24. 제6차 보건의료미래위원회 안건: 공공의료 확충 방안. 보건의료미래기획단. 2011 : 1-12.
  25. 임환열, 황인경, 서원식. 지방의료원 의료소비자의 서비스가치, 브랜드이미지, 재이용의도간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 10(11) : 304-317.
  26. 유종향, 이준혁, 박기현, 진희정, 장은수. 전통의료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조사연구: 한의원을 중심으로. 경락결혈학회지. 2010 ; 27(1) : 143-150.
  27. 조재국, 김남순, 도세록, 이연희, 윤강재, 박진한, 장동현, 천재영, 김화영, 이난희, 유형석, 서성우. 한방 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487-490.
  28. 김정아. 병원코디네이터의 직무 역할과 핵심 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4-73.
  29. 정희태. 병원 코디네이터도입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2010 ; 11(4) : 5-23.
  30. 정인숙, 신병철, 이원철. 한․양방협진 코디네이터의 현황 및 발전방안.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0 ; 14(1) :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