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dividual, Social Factors, and Experience after School Dropout: Differences between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Dropout Youth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청소년의 개인사회적요인과 중단후 경험에 대한 연구

  • 김선아 (숭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10.09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delinquent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d general dropouts' differences in individual, social factors and experiences after school dropout.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nationwide survey(N=209) from dropout adolescents. Findings reveal that gender, age, disabilities, work experience parent cohabitation, and residential area were significant in the individual factor. Dropout time, social agency, school return experience, and GED exam pass were significant in the social factors.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xperiences after dropout, and self evaluation while the general group had needs for vocational education. Dropouts wanted to go back to school. Implications such as focusing on differences of each group and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are needed.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중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들의 주요 개인, 사회요인들을 비교하고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전국 209명의 남녀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은 성별, 연령, 지적장애, 노동여부, 친부모동거와 거주지역이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사회요인에서는 소속기관, 복학경험, 검정고시합격이 유의미했다. 학업중단후의 경험에는 각 경로, 학업중단 시점, 학업중단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차가 있었는데 비행집단이 더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집단의 직업교육욕구와 비행집단의 복학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비행집단과 일반중단집단에는 개인사회적 요인과 학업중단후의 경험에의 차이에 근거하여 대상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육개입과 정책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과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방청소년에 대한 개입방안과 대응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2. 이숙영, 남상인, 중도탈락생의 사회적응 상담 정책 개발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7.
  3.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225-241, 2010.
  4. 최영신, 비행청소년의 학교재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5. 강석영, 양은주, 이자영,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제148권,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9.
  6. 성윤숙, 박병식, 여성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7. 금명자, 주영아, 이자영, 김태성, 김상수, 신현수, 학교 밖 청소년 평가도구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5.
  8. 한국청소년상담원, 맞춤형 학습클리닉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9.
  9. J. A. Fagan and E. Pabon, "Contributions of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to school dropout," Youth and Society, Vol.21, pp.306-354, 1990. https://doi.org/10.1177/0044118X90021003003
  10. C. Harlow, Education and Correctional Populations.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Special Repor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2003.
  11. 김순규, "청소년의 학업중퇴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논집, 제28권, 제3호, pp.21-39, 2002.
  12. 조아미,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제9권, 제2호, pp.1-22, 2002.
  13. 정연순, 이미경,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업 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 제35권, 제1호, pp.79-102, 2008.
  14. 박재은, 정슬기, "청소년 학교중퇴의도 영향요인: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 한국청소년연구, 제22 권, 제2호, pp.5-29, 2011.
  15. G. Sweeten, S. D. Bushway, and R. Paternoster, "Does dropping out of school mean dropping into delinquency?," Criminology, Vol.471, pp.47-91, 2009.
  16. 박영신, 김의철, 김영희,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심리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3권, 제1호, pp.1-41, 2007.
  17.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중퇴와 비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18. 박창남, 중도탈락 청소년 종합대책, 중도탈락 청소년실태와 대책, 한국청소년개발원공청회 자료집. pp.19-39, 2001.
  19. 성윤숙,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2호, pp.295-343,2005.
  20. 이시형, 박현선, 이세용, 청소년의 학업중퇴에 관한 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
  21. 이경상, 조혜영, 박창남,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 준비 실태분석 및 취업지원 방안,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2. M. D. Newcomb and T. B. Loeb, "Poor parenting as an adult problem behavior: General deviance, deviant attitudes, inadequate family support and bonding, or just bad parents?," J. of Family Psychology, Vol.13, pp.175-193, 1999. https://doi.org/10.1037/0893-3200.13.2.175
  23. 원혜욱, "가출로 인한 청소년범죄의 유형 및 대처방안", 형사정책, 제132권, pp.217-241, 2001.
  24. S. R. Battin-Pearson, M. D. Newcomb, R. D. Abbott, K. G. Hill, R. F. Catalano, and J. D. Hawkins, "Predictors of early high school dropout: A test of five theorie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2, pp.568-582, 2000. https://doi.org/10.1037/0022-0663.92.3.568
  25. J. Staff and D. A. Kreager, "Too cool for school?: violence, peer status and high school dropout," Social Forces, Vol.87, pp.445-447, 2008. https://doi.org/10.1353/sof.0.0068
  26. K. C. Bausch, The Emerging Consensus in Social Systems Theory. Springer, NY, 2001.
  27. 김지혜, 안치민,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영향 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2호, pp.133-157, 2006.
  28. B. S. Rosenthal, "Nonschool correlates of drop-out: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Children & Youth Services Review, Vol.20, No.5, pp.413-433, 1998. https://doi.org/10.1016/S0190-7409(98)00015-2
  29. G. R. Jarjoura, "The conditional effect of social class on the dropout- delinquency relationship," J.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Vol.33, pp.232-255, 1996. https://doi.org/10.1177/0022427896033002004
  30. J. Huisman, and J. Smits, Keeping children in school: Household and district level determinants of school drop out in 322 districts of 30 developing countries. Nimegen Center for Economics (NiCE Working Paper 09-105, 2009.
  31. 유성경, 이소래,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에 대한 개입체제 개발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8.
  32.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3 호, pp.309-330, 2003.
  33. M. D. Newcomb, R. D. Abbott, R. F. Catalano, J. D. Hawkins, S. Battin-Pearson, and K. Hill, "Mediational and deviance theories of late high school failure: process roles of structural strains, academic competence, and general versus specific problem behaviors,"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9, No.2, pp.172-186, 2002. https://doi.org/10.1037/0022-0167.49.2.172
  34. 서우석, 정철영, 이광호, 채영병, 허영준, 김재호, 경기도 실업계 고교 학생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활동 활성화 방안, 경기: 경기도교육청, 2001.
  35.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 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9 권, 제2호, pp.125-154, 2011.
  36. 조영승, 구본용, 신현숙, 경기도 지역 중퇴생 선도․보호방안 프로그램 개발연구, 경기: 경기도교육청, 2001.
  3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38. 최동선, 이상준,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39. 윤철경, 김선아, 학업중단 현황 심층 분석 및 맞춤형 대책 연구, 2010 정책연구개발사업, 교육과학기술부, 2010.
  40. M. D. Newcomb, "Problem behavior theory and perhaps a little beyond. [Review of the book Beyond adolescence: Problem behavior and young adult development]," Contemporary Psychology, Vol.38, pp.895-898, 1993.
  41. R. N. Cassell, "A high school drop-out prevention program for the at-risk sophomore students," Education, Vol.123, No.4, pp.649-658, 2003.
  42. P. Puritz and M. An Scali, "Beyond the walls: Improving conditions of confinement for youth in custody," OJJDP Report, Jan, 1998.
  43. R. W. Rumberger, "Dropping out of middle school: A multilevel analysis of students and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 Vol.32. No.3, pp.583-625, 1995.
  44. 박창남, 도종수,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3호, pp.207-238, 2003.
  45. R. Scragg and M. Laugesen, "Influence of smoking by family and best friend on adolescent tobacco smoking: results from the 2002 New Zealand national survey of year 10 studen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 of Public Health, Vol.31, No.3, pp.217-223, 2007. https://doi.org/10.1111/j.1467-842X.2007.00051.x
  46. 고미숙, 중학생의 중퇴 원인 기작과 원인귀속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7. 한국교육개발원, 학업중단 청소년 및 대안교육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정책보고서, 2002.
  4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0.
  49. 이경상, 박창남, "학업중단이후 첫 번째 아르바이트 참여 실태 및 지원방안: 기관소속 학업중단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2호, pp.265-28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