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Internet Cyber Community Participants on Reconciliation of Divorced Couple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한 인터넷 사이버공동체 참여자들의 인식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10.11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yber community participants on reconciliation of divorced couple and find reasons for pros and cons concerning reconciliation after divor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for website or Internet cafe related to 'reconciliation after divorce' on Internet. The contents of 7 cases for asking for advice on reuniting and opinions of cyber community participants on them were analyzed. Cyber community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approval of divorced couple's reuniting for following reasons: 'strong motive for reunion', 'sexual relation with ex-partner', 'parental responsibility', 'regarding reconciliation as a better choice than remarriage', 'regarding as a good choice for child' etc. But cyber community members were opposed to divorced couple's reuniting for following reasons: 'doubt about real intention to reuniting', 'no self-reflection on previous marriage and ex-spouse', 'concern for recurrence of former marital conflict', 'reuniting only for child not for couple', 'no prior settlement of former marital conflict', 'no forgiveness and tolerance for ex-spouse', 'no reflection and change', 'no effort on ex-spouse's side' etc. Though these results were restrictive, this study identified issues surrounding reconciliation after divorce through asking and giving advices by anonymous members on cyberspace. These findings implied that we should take more interest in reconciliation as an realistic alternative marriage pattern after divorce and consider what is important to successful reuniting after divorce.

본 연구는 이혼한 부부들이 현실적으로 이혼 후 대안의 하나로 고려해보거나 혹은 실행하는 재결합에 대하여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는 이혼 후 재결합과 관련된 논의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혼 후 재결합과 관련된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이혼 후 재결합을 고민 중인 다양한 일곱 가지 사례들을 택하여 각각의 사례들에 대해 사이버공동체 성원들이 재결합을 지지 혹은 반대하는 의견을 중심으로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이버공동체 성원들은 다양한 이유에서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해 지지하였다. 즉, 재결합에 대한 준비나 전배우자의 이혼 후 이성관계의 포용, 이혼이유의 성찰과 전배우자의 약점을 감싸주려는 노력이 전제되었을 때 그리고 혼인 신고 없이 재결합을 해보는 것, 자녀를 위해서는 재혼보다 재결합이 나을 것이라는 생각, 전배우자와의 이혼 후 성적 관계가 이루어진 경우 이혼 후 재결합을 지지하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반면에 사이버공동체 성원들이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반대하는 이유도 있었다. 즉, 시간이 갈수록 재결합의지가 약화될 것이라는 예측과 이혼한 전배우자에 대한 용서가 어려운 점, 전배우자의 무반성적이고 믿을 수 없는 태도, 외도로 인한 이혼의 경우 전배우자의 외도 재발의 우려, 재결합에 대한 전배우자의 진정성 결여, 성급한 재결합 결정으로 인한 후유증에 대한 염려, 이전의 갈등 해결 이 선행되지 않은 재결합으로 인한 재이혼의 문제, 전배우자의 단점 불변에 대한 생각 등으로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아직 재결합을 하지 않고 재결합을 고민 중인 사례들에 대해 사이버공동체 성원들의 찬반 의견과 조언이 다양했던 반면, 자녀를 위해 이미 재결합을 결정한 사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이버공동체 성원들은 재결합을 지지하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한 학문적 논의와 사회적 관심이 미흡한 상황에서 이혼증가로 익명성이 보장된 사이버공간상에서 이혼 후 재결합을 둘러싼 논의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이혼 후 재결합에 대한 사이버공동체 참여자들의 인식을 통해 추후로 이혼 후 재결합의 성패요인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논의를 확장시켜 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현, "대안매체로서의 사이버공간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7-40, 2000.
  2. 금명자, 유정이, 이호준, 이지은, 김수리, 이혼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3. 김미숙, 우리시대 이혼이야기, 양서원, 2005.
  4. 김유정, 조수선,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여성사이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5-38, 2001.
  5. 문화일보,"'아는 사람 많지만 말할 사람이 없다. '페이스북 친구는 늘고... '페이스 투 페이스'줄고", 2011.10.17.
  6. 민가영,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2.
  7. 성정현, 홍석준, 인터넷 자료를 통해 본 한국의 이혼문화와 사회복지, 집문당, 2009.
  8. 윤병섭, 이홍재, "사이버 공동체내에서의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 전략", 한국인간관계학보, 제10 권, 제1호, pp.23-41, 2005.
  9. 장현정, 여성의 재혼경험을 통해 본 결혼의미의구성과정 : 전남지역 중소도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 최정숙,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4.
  11. 통계청, 2011혼인이혼통계 보도자료, 2012.4. 19.
  12.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009년도 사실혼해소 상담통계, 2010.
  13.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사실혼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조사, 2010.
  14. 한국언론정보학회 엮음,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한울아카데미, 2011.
  15. 한국외대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세계의 혼인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16. 宮田加久子. きずなをつなぐメディア-ネット時代の社會關係資本, 2010, 김상미 옮김, 사회관계자본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7. A. Giddens, The Transformation of Intimacy: Sexuality, Lo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1992, 배은경, 황정미 옮김, 현대 사회 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서울: 새물결, 2003.
  18. B. C. Beins, Research methods: A Tool for life, Pearson Educations, Ins, 2009.
  19. C. Ahrons, The good divorce, NY: HarperCollins, 1995.
  20. D. A. Madden—Derdich, S. A. Leonard & F. S. Christopher, "Boundary ambiguity and coparental conflict after divorce: An empirical. test of a family systems model of the divorce process,"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1, pp.588-598, 1999. https://doi.org/10.2307/353562
  21. E. M. Hetherington and J. Kelly, For better or For worse, NY: Norton, 2002.
  22. G. Binstock and A. Thornton, "Separations, reconciliations, and living apart in cohabiting and marital unions," J. of Marriage and Family, Vol.65, pp.432-443, 200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432.x
  23. G. C. Kitson, "Marital discord and marital separation: A country survey," J. of Marriage and Family, Vol.47, pp.693-700, 1985. https://doi.org/10.2307/352270
  24. G. C. Kitson and J. K. Langlie, "Couples who file for divorce but change their minds," American J. of Orthopsychiatry, Vol.54, pp.469-489, 1984.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4.tb01512.x
  25. H. Wineberg and J. McCathy, "Separation and reconciliation in American marriages," J. of Divorce & Remarriage, Vol.25, pp.75-86, 1993.
  26. H. Wineberg, "Marital reconcilia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couples are successful?," J. of the Marriage and the Family, Vol.56, pp.80-88, 1994 https://doi.org/10.2307/352703
  27. K. Adamsons and K. Pasley, "Coparenting following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In M. A. Fine & J. H. Harvey(Eds.),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pp.241-262), NJ: Lawrence Erlbaum, 2006.
  28. M. Masuda, "Perspective on premarital postdissolution relationships: Account-making of friendships between former romantic partners," In M. A. Fine & J. H. Harvey(Eds.),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pp.113-132), NJ: Lawrence Erlbaum, 2006.
  29. R. A. Thompson and P. R. Amato, The postdivorce family: children, parenting, and society, CA: Sage, 1999.
  30. S. A. Anderson and R. M. Sabatelli, Family Interaction, MA: Allyn and Bacon.1999.
  31. T. D. Afifi and K. Hamrick, "Communication processes that promote risk and resiliency in postdivorce families," In M. A. Fine & J. H. Harvey(Eds.),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pp.435-456), NJ: Lawrence Erlbaum, 2006.
  32. T. Arendell, Mothers and Divorce: Legal, Economic, and Social Dilemma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33. Ulich Beck and Elizabeth Beck-Gernsheim, Das ganz normale Chaos der Liebe, 1990, 강수 영, 권기돈, 배은경 옮김,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서울: 새물결, 2002.
  34. http://bbs.moneta.co.kr
  35. http://cafe.daum.net.
  36. http://www.82c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