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change in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Kidney Transplant in Renal Failure Patient

신부전환자의 신장이식 전후 골밀도변화 분석

  • 박형후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옥치상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박영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이진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대학원 방사선학과) ;
  •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대학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2.06.01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Disease, such as osteopenia, osteoporosis, etc caused by reduced bone density are common to women after menopause and as the social medical cost increases due to osteoporosis fractures the medical interest in bone density reduction has increased. The bone density reduction is observed even for renal failure patients, due to their decreased ability to synthesize vitamin D which leads to bone fibrosis because of deficiency in calcium absorption. Thus renal failure patients not only suffer from kidney dysfunction, but also are exposed to complications, such as osteoporosis, due to reduced bone density. This research observed the change in bone density of patients receiving renal failure treatment and analyzed the change in bone density before an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s. Subjects were 214 renal failure 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nephrology Busan B General Hospital. The change in bone density was studied for subjects with and without kidney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ir age and sex. The research showed improvement or maintenance of bone density for subjects that received kidney transplantation, but showed a tendency of consistent decrease in bone density for subjects without kidney transplantation. Kidney transplanta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best cure for renal failure patients, and this researched confirmed that bone density can be improved through kidney transplantation. Thus, this study can also be used as data for preventing complications due to renal failures.

골밀도 감소에 의해서 발생되는 골감소증, 골다공증 등은 폐경 후 여성에게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며, 골다공증 골절에 따른 사회적 의료비 상승으로 의학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신부전환자는 체내에 비타민D 합성 능력이 저하되어 칼슘 흡수가 감소하여 뼈의 섬유화가 발생되고, 골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신부전환자는 신장 기능 장애로 그치지 않고, 골다공증과 같은 골밀도 감소에 따른 합병증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중에 있는 신부전환자들의 골밀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신장이식 전후에서 발견되는 골밀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 B종합병원 신장내과 내원환자 중 신부전환자 214명을 신장이식의 유무에 따라 골밀도의 변화를 세대별, 성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분석결과 신장이식 환자군에서는 골밀도가 유지되거나 개선되었지만, 비신장이식 환자군에서는 골밀도가 꾸준히 나빠지는 결과를 보였다. 신부전환자는 신장이식을 받는 것이 최선의 치료책으로 사료되며, 신장이식을 통해서 골밀도의 개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추가적으로 예상되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명애, 이경숙, 정재심, 안경주, 채영란, 신기수, 전미양, 최정안, 조미경, 이경숙, 병태 생리학, 계축문화사, pp.109-130, pp.379-397, 2010.
  2. Available at: http://www.paik.ac.kr/new/newsletter: Accessed February 10, 2012.
  3. 류익태, 신부전증 치료 생활요법, 태웅출판사, pp.4-12, 1991.
  4. 대한골다공증학회, 골밀도측정가이드, 청운출판사, pp.5-25, 2009.
  5. 고석봉, 이광희, 곽양수, 이두진, 박윤기, 이승호, "폐경기 증상과 양측 난소제게술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37권, 제10호, pp.2037-2046, 1994.
  6. 장준섭, 강군순, 박희완, 한명훈,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요추부의 골밀도 측정",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62-269, 1990.
  7. Y. I. Kim, J. H. Park, J. S. Lee, J. W. Kim, S. O. Yang, and D. J. Jeo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osteoporosis of perimenopausal women in the community population," Korean J Med, Vol.62, pp.11-24, 2002.
  8. H. K. Yoon, S. W. Kim, C. H. Yim, H. Y. Chung, H. J. Oh, and K. O. Han, "Metabolic characteristic and prevalence of osteoporosis among women in Tae-An area," J Korean Med Sci, Vol.16, pp.323-327, 2001. https://doi.org/10.3346/jkms.2001.16.3.323
  9. C. H. Kim, Y. I. Kim, C. S. Choi, J. Y. Park, M. S. Lee, and S. I. Le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ow quantitative ultrasound values of calcaneus in Korean elderly women," Ultrasound and Med Biol, Vol.26, pp.35-40, 2000. https://doi.org/10.1016/S0301-5629(99)00126-X
  10. 모은희, 조정근, 이상호, 임청환, 최지원, "40세 이후 남성의 골밀도 관련 요인과 골다공증의 유병률", 한국콘텐츠학회지, 제8권, 제9호, pp.242-247, 2008.
  11. 김기범, 안성민, 이귀원, 김성철,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법과 정량적 초음파법에 의한 골밀도 측정비교",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8호, pp.198-202, 2011.
  12. 최희정, 이득주, "여성에서 연령에 따른 척추 골밀도의 변화와 누적 골 소실률", 대한폐경학회지, 제9권, 제2호, pp.171-177, 2003.
  13. 정용준, 박정원, 이근미, 정승필, "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와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63-270, 2001.
  14. H. K. Rho, E. S. Lee, and H. M. Park, Perception level of Vitamin D and calcium on osteoporosis treat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Vol.14, No.2, pp.115-129, 2008.
  15. Ethel S. Siris, Ya-Ting Chen, T. A. Abbott, E. Barrett-Connor, P. D. Miller, L. E. Wehren, and M. L. Berger, "Bone mineral density thresholds for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prevent fractur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4, No.10, pp.1108-1112, 2004. https://doi.org/10.1001/archinte.164.10.1108
  16. R. C. Hamdy, S. M. Petak, and I. Lenchik, "Which central dual X-ray absorptiometry skeletal sites and regions of interest sh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 Clinical Densitometry, Vol.5(Supplement), pp.11-17, 2002. https://doi.org/10.1385/JCD:5:1:011
  17. 변영순, 신공범,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정담, pp.57-64,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