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 정진숙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자연치료요법학과 임상언어치료 전공) ;
  • 이숙향 (원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programs for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acoustic analysis of their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 The results showed that immigrant women showed some differences in most of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from a Korean women's group: Immigrant women realized the first word of a sentence in an intonational phrase while Korean women did in an accentual phrase. They also haven't yet correctly learned the tone type of the first of an accentual phrase which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its first segment yet. As a result, they showed many diverse intonation patterns compared to Korean women. Furthermore, the immigrant women's groups show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 few prosodic characteristics. Philippine women, whose residence duration in Korea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Vietnamese women, were more similar to Korean women: Vietnamese women read a sentence with a larger number of intonational phrases than Philippine women did. And they realized sentence-final boundary tone of a yes-no question not only in 'H%' but also in 'HL%' while, like Korean women, Philippine women did only in 'H%'.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운율 특성에서 이주집단이 한국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한국집단은 첫 어절을 100% 강세구로 읽은 반면, 이주집단은 거의 억양구로 실현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은 첫 분절음에 따라 달라지는 강세구의 첫 음조의 패턴 습득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집단보다 훨씬 다양한 첫 어절의 억양패턴들을 보였다. 몇몇 운율 특성에서는 이주집단 간에도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필리핀집단이 베트남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집단에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문장 내 평균 억양구수는 베트남집단이 필리핀집단보다 많았으며 가부의문문의 문미 경계음조는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처럼 'H%'로만 실현한 반면, 베트남집단은 'H%'뿐만 아니라 'HL%'로도 실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결혼이민자 및 자녀의 지역별 현황," 서울: 통계청, 2008.
  2. 황상심,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3. 강금화, 황보명, "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 읽기,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19권, 1호, pp. 143-158, 2010.
  4. 배소영, 김미배,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언어청각장애연구, 15권, 2호, pp. 146-156, 2010.
  5. 구효진, 박경란, 최진선,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4권, 3호, pp. 355-374, 2009.
  6. 권미지,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조음음운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7. 박지윤, 박상희, 석동일,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학적 특성 - 형태론적 분석," 언어치료연구, 16권, 2호, pp. 131-145, 2007.
  8. 이정민, "어머니의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운율 발화의 음향적 특징,"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9. 최자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화속도와 쉼의 음향적 특성,"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0. 류현주, 김향희, 김화수, 신지철,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음성과학, 15권, 3호, pp. 133-144, 2008.
  11. 황지성, 이숙향,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한국음향학회지, 31권 2호, pp. 63-72, 2012.
  12. S.-A. Jun, "K-T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Version 3.0.," unpublished manuscript, UCLA, 2000.
  13. 이주희, "어머니의 국적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단모음 산출에 대한 음향적 특성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Cited by

  1. A Study of Intonation Curve Slopes in Korean Spontaneous Speech vol.6, pp.1, 2014, https://doi.org/10.13064/KSSS.2014.6.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