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ignification in 'Poetry Shown in Choe Seung-ja' Poetic Text

최승자 시텍스트에 나타난 ‘시’의 기호작용(Signification) 연구

  • Published : 20120000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into the signification of 'poetry' that appearsin the poetic text, which was record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Vol. 7by a poet Choe Seung-ja. Especially, it discussed by focusing on how asignifier dubbed 'poem' produces a meaning with poetic text andsuggests a poet's desire, by quoting a theory of Lacan, who clarified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scious and language. Summarizing thecontent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A poem is what manifested a desire, which surges up in 'a gap' ofthe imperfect symbolic, as the language. The world of poem is like theworld of soul, which is reached by passing the death that the daily andbodily life finishes. And a poem is just the symbol that soul ofdiscipling with denying oneself is embodied into image, in order toachieve it in addition to a desire for positive and eternal value. Whatwrites such poem is to unite material & heart, mind & body, rationality& sensitivity, and meaning & image according to the circulatingprinciple of nature.Also, a poem is what manifests it as a poet's independent languageby seeking a desire of ego, which is alienated with escaping from theother's desire by destroying fantasy. That is just what seeks a methodof subjective life with enjoying true freedom. As solitude is the stage of spirit that perfectly left from reality, it is a condition that is necessaryfor writing a poem. A poet hints at its part with pointing to the real,which isn't symbolized in the lonely status of moving away fromnegative reality. Accordingly, a poet lives in reality, but can make ajourney freely and quickly in the ideal world with imagination. Its idealworld is the world available for enjoying free and eternal life accordingto a desire of true ego with escaping from reality that is maintainedaccording to the power of capital.

이 논문은 최승자 시인의 시집 7권에 게재된 시 텍스트에 등장하는 ‘시’의 기호작용을 연구하였다. 특히 무의식과 언어와의 관계를 밝힌 라깡의 이론을 원용하여 ‘시’라는 기표가 시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의미를 생산하며 시인의 욕망을 암시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는 불완전한 상징계의 ‘빈틈’에서 솟아나는 욕망을 언어로써 현현한 것이다. 시의 세계는 일상적이고 육신적인 삶이 끝나는 죽음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영혼의 세계와 같다. 그리고 긍정적이고 영원한 가치에 대한 욕망과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자기를 부정하며 단련하는 혼이 이미지로 형상화된 상징이 곧 시이다. 그러한 시를 쓰는 것은 자연의 순환원리에 따라 물질과 마음, 마음과 육체, 이성과 감성, 의미와 이미지를 융합하는 것이다. 또한 시는 환상을 타파함으로써 타자의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소외된 자아의 욕망을 찾아 시인의 독자적인 언어로써 현현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참된 자유를 누리며 주체적인 삶의 방식을 찾는 것이다. 고독은 현실로부터 완전히 떠난 정신의 경지로서 시를 쓰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이다. 시인은 부정적인 현실을 떠나 고독한 상태에서 상징화 되지 않는 실재계를 지향하며 그 일부를 암시해 준다. 따라서 시인은 현실에 살지만 상상으로 이상적인 세계를 자유롭고 빠르게 여행할 수 있다. 그 이상적인 세계는 자본의 힘에 따라 유지되는 현실로부터 떠나 진정한 자아의 욕망에 따라 자유롭고 영원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세계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