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 Lee, Han H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Ji He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ong, Jong Ouk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 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eo, Min Suck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eo, Jun 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한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박지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홍종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허준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Received : 2012.01.31
  • Accepted : 2012.02.21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Suncheon, Korea, have been remade in AD 1628 and have been repaired and repainted over several times since then. Therefore, the study of the pigments applied on the statues can provide good chance for investigation about pigments used in the late Chosun Period. Pigments on fragments from Gwang-mok(Virupaksha), one of the Four-guardian statues, have been analyzed by optical microscope, SEM-EDX and XRD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onents and compounds. Six types of materials were found from the fragments, which are soil layer with brown clay band, soil layer containing a lot of fibers, Korean paper with loose texture, Korean paper with dense texture, silk, and hemp textile. Presumably, the soil layer which have brown clay band is basis layer and the other layers are repaired layers. From comparative study for the components of the pigments, applied on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epaired layers, we have concluded that those repaired layers had been applied on the statue by the following order; basis layer ${\rightarrow}$ Korean paper with loose texture ${\rightarrow}$ soil containing a lot of fibers ${\rightarrow}$ silk ${\rightarrow}$ hemp textile and Korean paper with dense texture. In addition, the years that those materials were applied on the statue have been estimated as 1720~1891, 1926, 1946 and 1976, respectively. The distinct features of each age are as the following; lead white and copper chloride hydroxide are major white and green pigments before 1891, zinc white, barium white, emerald green, and ultramarine blue appear after 1926 and titanium white uprises around 1976. Our result presented here, study on pigments applied on traditional statues over several different periods, will provide good database for future study on pigments used for traditional painting in Buddist temples and Dancheong.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파편들로부터 과거에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1628년 중조(重造)된 이래 1720년부터 1976년까지 7차례의 중수개채(重修改彩)가 이뤄졌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시대별 사용안료를 연구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분석은 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에서 이탈된 파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SEM-EDX, XRD를 이용하여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료의 구성성분과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파편들에서는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조직이 성긴 한지, 조직이 치밀한 한지, 견직물, 마직물 등 6종의 재료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은 소지부로 판단되며, 나머지 5종의 재료는 소조불의 중수개체 시 사용된 보수재료로 판단된다. 각 재료의 상 하부에 부착된 채색층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재료들은 '소지부 ${\rightarrow}$ 조직이 성긴 한지 ${\rightarrow}$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rightarrow}$ 견직물 ${\rightarrow}$ 마직물 및 조직이 치밀한 한지'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보수재료들에 적용된 안료와 소조불의 중수개채시기를 고려하면 조직이 성긴 한지는 1720~1891년, 섬유질을 다량 함유한 토층은 1926년, 견직물과 마직물은 각각 1941년과 1976년에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대별 사용 안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1891년 이전에는 백색과 녹색으로 연백과 염기성염화동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1926년 이후에는 화록청, 군청, 바륨화이트와 아연화 등이 등장하고, 1976년을 전후해서는 지당과 합분(패각분)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소조상에 적용된 시대별 안료에 대한 추론 결과는 향후 사찰벽화나 단청 등의 근대 안료연구에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Cited by

  1.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vol.53, pp.2, 2012,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