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and Other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 감미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3.11.13
  • 심사 : 2013.12.19
  • 발행 : 2013.12.30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 간의 문화프로그램의 중복 현황을 파악해보고, 이러한 중복을 최대한 줄이고 제한된 지역 자원을 활용하여 문화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효율적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통계 및 현황 데이터 분석, 설문지 분석 등 다양한 조사방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도서관은 다른 기관과는 다르게 인문교양교육 관련 프로그램에 치중하여 운영하고 있었고, 설문결과 이용자들은 '독서 및 문예'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의 경우, 특정 연령대인 노년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하고 있어 그 연령대의 만족도 및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각 기관은 이용자의 선호도나 특정 연령대에 따라 최대의 만족을 이끌어낼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독서, 문예 등의 인문교양교육 분야와 정보화교육 분야에 특성화시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generated the suggestions to minimize the duplicated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various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via promoting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the institutions with the limited local resources while making the public libraries as the center of the partnership. We measured the level of program duplicabilit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ultural program offering; and analyzed program participation statu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surveys. Thi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1) public libraries focused on offering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related programs; 2)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on the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and 3)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ffered programs, which targeted the older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participants had high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stitutions including the public libraries should take into account of the ages and preferences of the potential participants when offering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the public libraries should continue to offer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information use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평생교육진흥원. [online]. [cited 2013.12.18]. .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평생교육백서 2009. 서울: 평생교육진흥원.
  3. 권대현, 박진하. 2011. 공공기관 경영평가 평가지표의 개선방안. 세무와회계저널, 12(3):375-405.
  4. 김영안. 2010. 평생교육관과 공공도서관의 비교조직 연구: 광주?전남교육청 직속기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과.
  5. 김종성, 엄미진.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39-56.
  6.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 매뉴얼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7. 배용수. 2009. 공공기관의 관리체계와 개선과제. 공공행정연구, 9(1): 83-102.
  8. 서울특별시 서울통계. [online]. [cited 2012.10.1]. .
  9. 안인자, 곽철완, 김혜주, 박미영. 2009. 국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활동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197-208.
  10. 오동근, 여지숙, 최성열. 2010.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의 문화교육프로그램의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291-30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91
  11. 이승희. 2005. 부산지역 대학박물관의 사회교육 현황과 과제.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12. 정지웅. 2005. 지역사회발전학의 동향과 과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0(2): 17-24.
  13. 홍승경. 2011.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화성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다문화교육전공.
  14. Cochran, G. William. 1963. Sampling Techniques. NY: John Wiley & Sons, Inc.

피인용 문헌

  1. A Research on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vol.48, pp.4,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173
  2. Analysis of Status and Features for Lecture-type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vol.25, pp.3,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3.119
  3. Analysis on the User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Winter Va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t Daegu Metropolitan City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37
  4.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vol.25, pp.1,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1.131
  5.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탐색 - 에코 세대를 중심으로 - vol.52, pp.3, 2018, https://doi.org/10.4275/kslis.2018.52.3.335
  6. 사례 분석을 통한 도서관의 치유프로그램 및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vol.37, pp.1, 2020,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79
  7. 전문도서관의 문화행사 참가에 따른 이용자들의 도서관 만족도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 K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 vol.31, pp.2, 20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