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roviding evidence for neural connections between the auditory and somatosensory systems that might be a critical part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certain forms of tinn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movements on tinnitus. Methods: One hundred sixty-three tinnitus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underwent a thorough audi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pure-tone audiometry, tinnitus handicap inventory, and evaluation of tinnitus loudness, frequency and severity on a visual analog scale. Somatic testing consisting of nine forceful jaw muscle contraction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MJ movements on modulation of tinnitus. Results: 66.9% of patients had unilateral tinnitus. Somatic testing modulated tinnitus loudness in 125 ears (57.6 %) of 217 ears tested. An increase in tinnitus loudness was observed more often than a decrease. Loudness was most commonly increased by opening and clenching jaw. Tinnitus could be induced by opening, clenching and deviating jaw to the left. Conclusion: Our study showed evidence that TMJ movements may aggravate and even evoke tinnitus and somatic testing can be used for evaluating if stimulation of the TMJ induces or aggravates tinnitus.
Purpose: 특정한 형태의 이명은 그 발생에 있어서 청각계와 체성감각계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턱의 운동이 이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계획되었다. Methods: 163명 이명 환자의 217귀를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 이명의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이명의 크기, 지속시간 및 괴로운 정도에 대한 시각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조사와 함께 9 항목의 턱관절의 등척성 운동에 따른 이명의 크기 변화를 조사하는 이명의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Results: 체성조절 검사를 시행한 이명 환자의 217귀 중 125귀(57.6 %)에서 이명의 크기가 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측성 이명 109귀중 70귀(64.2%)에서 체성조절에 반응하여 양측성 이명 108귀중 55귀(50.9%)의 반응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5). 검사 항목 모두에서 이명의 크기 증가가 감소보다 더 자주 관찰되었고, 크기 증가의 빈도는 6.7-15.4%로 개구 및 이악물기 항목에서 가장 자주 이명의 크기 증가가 유발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 결과, 턱의 운동은 이명을 악화 혹은 유발시킬 수 있으며, 체성조절 검사는 턱 관절의 자극이 이명의 유발 및 악화요인 인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