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기술 현황 및 전망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2009년 초반 중국은 물량중심으로 조선분야 수주잔량 부분에서 한국을 추월하였으나, 현재 한국은 조선강국으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IT조선 융합기술 개발을 통하여 디지털선박과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박 제조 과정에서 에너지 및 인력 절감을 통해 고효율화, 안전성 제고 등 신뢰도 향상 또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 수주되고 있는 LNG선, 호화여객선, 석유시추선 등의 쉐이빙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국산화율이 60%가 채 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 선박 관련 IT 기술 확보는 선박 건조 국산화 비율을 높이고 조선산업 수주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고에서는 세계 1위를 지키고 있는 조선산업의 질적성장을 위한 IT+조선 기술현황과 전망에 대해 기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031502010932748002
  2. 안창원, 황승구, "빅데이터 기술과 주요이슈" 정보과학회지 특집원고, pp. 10-17, 2012년 6월
  3. 윤두희, "글로벌 IT 기업들의 위치 추적 기술 동향(실내 항법 중심으로", 한국통신산업진흥원, 2013년 04월 03일
  4. "맞춤형 지역산업발전 지원사업(IP-RID) 최종보고서 (부산 조선기자재 분야)", 부산지식재산센터, 2010년
  5. 손금준, 이장현, 김광식, "선박해양생애주기 정보 생성을 위한 Shipdex 정보 분석 기초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pp. 1318-1326, 2012년 5월
  6. 조정득, 박경원, 오유천, 양희찬,"Ver.2013 ICT 표준화 전략맵",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3년 1월
  7. 조구민, 윤창호, 임용곤, 강충구, " 다중 홉 해양통신망에서 실시간 통합 서비스를 위한 MAC 프로토콜",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8(7), 2013.7, 603-611 (9pages)
  8. 임동선, "해상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의 선박 안전운항 솔루션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010년
  9. 여인국, "2011 산업기술로드맵 주력산업(조선해양)",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2년 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