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to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Case Stud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 Jang, Yong-Ch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Geong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cheol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Jeju National University)
  • 장용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건국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민철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2.02.22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An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at College of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s required for all freshmen.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educate the freshmen with basic engineering design concepts and experi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approaches. It provides the students learning opportunities in solving engineering design problems through team efforts and creative approaches. Thus, this course emphasizes creative ideas and thinking, engineering design experiences to students over the course. This study presents the syllabus, the examples of PBL (problem based learning)-related activities as a team, and the results of the course evaluation and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overall this course using PBL method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urse outcomes and the creativity of the engineering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re are still efforts to be needed to improve the PBL-related activities in the course, including students' workload, financial supports, and team work.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운영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PBL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변화와 학습 성과를 심층 학생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1. PBL 학습법을 적용한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습 성과분석 결과, 학생 스스로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워크의 중요성과 팀원으로서의 책임감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울러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과 창의성의 중요성, 팀 협동 능력이 향상되었다. 2.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수강을 통해 학생들이 대체로 매우 만족하고 우수하다는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와 조교의 충분한 의사소통, 역할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BL-문제 제시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동기부여가 되었으며 공학설계 주제에 대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논의하고 이를 실제 설계 제작하였다. 구두발표회와 시연회를 통해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였으며, 학생들이 설계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직접 체험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4. 그러나 향후 PBL 활용창의설계입문 교과목 교육 시 PBL문제 제시의 수, 충분한 예산 확보 방안, 팀원 간 갈등 예방 등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을 종합하여 요약한다면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성과를 거두었다. 향후 이러한 PBL 활용 공학설계입문 교과목이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개선된다면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응용하고 관련 공학 설계 지식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성 배양에 기여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2009). 공학 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BL) 가이드 북. 연세대학교 공학교육센터.
  2. 강소연 ․ 조형희 ․ 홍종일 ․ 김의준 ․ 박성은(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수업의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24-34.
  3. 김인숙 ․ 강태욱 ․ 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4. 백윤수(2006). 대학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5. 백윤수 ․ 이준환 ․ 김은태 ․ 오경주 ․ 박정선 ․ 정지범(2011). 우리나라 STEAM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6. 윤린 ․ 김인선 ․ 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밥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 55-60.
  7. 서두원(2009).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교과목을 위한 PBL 교수 학습모형의 설계와 구현. 공학교육연구, 12(1): 17-23.
  8. 신민희(2009).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공학교육연구, 12(4): 30-37.
  9. 이종수 ․ 민병권 ․ 윤웅섭 ․ 한재원 ․ 정효원(2008).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공학교육연구, 11(2): 32-41.
  10. 이중순 ․ 곽효연(2008). 공학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계획 및 분석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기계공학계열의 학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1): 33-46.
  11. 장용철(2010). PBL 기반 창의설계입문. 동화기술.
  12.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13. 황성호 ․ 권호채 ․ 김용세(2005). 기계공학에서의 PBL적용 교과 과정 개발: 제품해체 설계추론. 공학교육연구, 8(1): 20-30.
  14. 황순희(2011). PBL 기반 토의 수업 모형의 구현과 평가: 부산 대학교 수업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4): 88-96.
  15. 황운학(2010). 실천공학 교수법: ET 헬스기구에 PBL 교수법을 적용한 기초공학(물리학) 교육.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2(2): 42-48.
  16. Alkhasawneh, M. et al.(2008). Problem-based learning (PBL): assessing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using vark. Nurse Education Today, 28: 572-579. https://doi.org/10.1016/j.nedt.2007.09.012
  17. Amador, J. & Peter, C.(2006). The Practice for Problem Based Learning - A Guide to Implementing PBL in the College Classroom.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18. Barrows, H.(1986).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19(3): 481-486.
  19. Barrows, H.(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NY).
  20. Dutson, A. et al.(1997). A Review of Literature on Teaching Engineering Design Through Project-Oriented Capstone Cours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6: 17-28. https://doi.org/10.1002/j.2168-9830.1997.tb00260.x
  21. Frank, M., Lavy, I. and Elata, D.(2003). Implement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in an Academic Engineering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13: 273-288. https://doi.org/10.1023/A:1026192113732
  22. Grant, C. & Dickson, B.(2006). Personal Skills in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s: The Development of Skills Within Degree Programmes to Meet the Needs of Employers. Education for Chemical Engineers, 1(1): 23-29. https://doi.org/10.1205/ece.05004
  23. Harris, A. & Briscoe-Andrews, S.(2008). Deveo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elective in "green engineering", Education for Chemical Engineers, 3: e15- e21. https://doi.org/10.1016/j.ece.2007.12.001
  24. Kristen, G. et al.(2009). The influence of prior industry experience and multidisciplinary teamwork on student design learning in a capstone design course. Design Studies, 30(6): 721-736. https://doi.org/10.1016/j.destud.2009.06.001
  25. Pinar, C., Fatih, O. and Ilhan, S.(2011).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tudents' success in physics course.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8: 656-660. https://doi.org/10.1016/j.sbspro.2011.11.124
  26. Ribeiro, L. & Mizukami, M.(2005). "Problem-based learning: a student evaluation of an implementation in postgraduate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0(1): 137-149. https://doi.org/10.1080/03043790512331313796
  27. Woods, D.(1996). How to get the most our of PBL, http://chemeng.mcmaster.ca/pbl/pbl.htm (accessed April 2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