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cience Academic Emo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 Received : 2013.09.26
  • Accepted : 2013.11.0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ience Academic Emo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To make a scale, authors extract a core of 14 emotions related to science learning situations from Kim & Kim (2013) and literature review. Items on the scale consisted of 14 emotions and science learning situations. The first preliminary scale had 174 items on it. The number of 174 items was reduced and elaborated on by three science educators. Authors verified the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item consistenc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second preliminary scale consisted of 141 items. The preliminary scale was reduced to seven factors and 56 items by apply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ice. The seven factors include: enjoyment contentment interest, boredom, shame, discontent, anger, anxiety, and laziness. The 56 items were elaborated on by five science educators. The scale with 56 items was fixed with seven factors and 35 items to get the final scale by apply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wice. Except for Chi-square and GFI (Goodness of Fit Index), other various goodness of fit characteristics of the seven factors and 35 items model showed good estimated figures. The Cronbach of the scale was 0.85. The Cronbach of seven factors are 0.95 in enjoyment contentment interest, 0.81 in boredom, 0.87 in shame, 0.82 in discontent, 0.87 in anger, 0.77 in anxiety, 0.81 in lazine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9 in enjoyment contentment interest, 0.54 in anxiety, 0.42 in shame, and 0.28 in boredom, which were estimated using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Scale and National Assessment System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Kim et al., 1998).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judged that the Science Academic Emo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achieved an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초등학생 정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예비 검사 도구개발은 기존에 연구된 과학 학습정서 분석 내용(김동현, 김효남, 2013)을 이용하였으며 타당화 과정인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쳐 본 검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최초 174개의 예비검사도구 문항은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141개로 수정되었으며, 141개 문항을 초등학교 6학년 765명에 투입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즐거움소(搔)망료흥미(16), 지루함(9), 부끄러움(8), 불만(8), 분노(6), 불안(5), 귀찮음(4)의 7개 정서 56문항으로 축소되었다. 56문항에 대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 후 모형의 부합도 검증을 위해 1,071명 대상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한 결과 최종 모형 수정으로 7개 정서 35문항으로 축소되었다. 이 7개 정서 35문항 모형은 부합도 검증에서 모델 ${\chi}^2$ 통계량과 기초부합지수(GFI)를 제외하고 개략화오차평균제곱(RMSEA), 표준잔차공분산지수(SRMR), Terker-Lewis 부합도(TLI), 비교부합지수(CFI)에서 모두 적합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의 신뢰도는 각 요인별 Cronbach ${\alpha}$ 계수에서 즐거움 만족 흥미 0.946, 지루함 0.813, 부끄러움 0.867, 불만 0.819, 분노 0.871, 불안 0.772, 귀찮음 0.809로 모두 0.7 이상이었다. 또한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와의 상관분석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검증되었다. 타당성을 검증 받은 본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과학 학습상황에서의 학습자 정서와 관련된 수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조금이나마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연, 오희균(2009). 중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과학 학습 불안 및 학업 성적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연구지, 33(1), 35-53.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3. 권치순, 허명, 양일호, 김영신(2004).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56-1271.
  4. 김경식, 이현철(2009).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 33(1), 100-110.
  5. 김계수(2007).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6.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 경기: 학현사.
  7. 김동현, 김효남(2013).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정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444-465.
  8. 김미영, 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9. 김민성(2009). 학습상황에서의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아시아교육연구, 10(1), 73-98.
  10. 김상달, 이상균, 최성봉(2010).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실태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 191-197.
  11.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92-300.
  12. 김운배, 김효남(2000). 질문지법과 문화기술적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19(1), 1-13.
  13. 김은진, 양명희(2011).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 상황의 정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3), 501-521.
  14. 김홍정, 이진우, 임성민(2013).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17-29.
  15.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6.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7. 배정민(2012). 그림으로 이해하는 닥터 배의 술술 보건의학통계.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18. 송영욱, 김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19. 송인섭, 최지혜(2011). 학업정서의 영역성 탐색: 영역일반성, 영역특수성, 영역 복합성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1(4), 227-243.
  20. 양일호, 심현섭, 임성만(2013).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과학흥미도 조사 및 상관관계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40-49.
  21. 양태연, 박상우, 박인호, 한기순(2005).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본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의 관계와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84- 296.
  22.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23. 이미경, 정은영(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24. 이보열, 최승일(2003).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관심과 이공계대학 진학 희망에 대한 조사.탐구 : 사대부고 2학년 김경민.김지혁.조민정 유봉여고 2학년 송남희.임미정.최미 학생과 함께. 강원과학교육연구회지, 8(1), 61-70.
  25. 이은경, 이양희(2006). 아동용 정서경험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4), 93-115.
  26. 이재천(1993).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불안도 측정도구 개발 및 과학불안 경향성 분석. 과학교육논문집, 3(1), 343-343.
  27. 이재천, 김범기(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9(1), 21-34.
  28. 이학식, 임지훈(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서울: 법문사.
  29. 임성만(2010).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에 대한 척도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임성민, 박승재(2000). 중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491-504.
  31. 정재훈, 김영신(2011). 초등교사의 과학과 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0(1), 1-9.
  32. 정진우, 김현정, 문병찬, 김진국, 남궁덕, 김형기(2005). 초등학생의 과학 불안 감소를 위한 개념도 수업 전략의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15(1), 42-50.
  33. 정진우, 정병석, 이명란(1994).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1), 19-33.
  34. 조선형, 유인협(1997).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6 (1), 69-82.
  35. 탁진국(1997).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 서울: 학지사.
  36. 허혜자(1996). 수학불안 요인에 대한 연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1), 161-177.
  38.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Boston, Mass,: Allyn and Bacon, Inc. 변창진, 문수백 공역 (1987). 정의적 특성의 사정-정의적 척도의 개발 절차와 선발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39. Baram Tsabari, A., & Yarden, A. (2009). Identifying meta clusters of students'interest in science and their change with a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99-1022. https://doi.org/10.1002/tea.20294
  40. Barmby, P., Kind, P. M., & Jones, K. (2008). Examining changing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8), 1075-1093. https://doi.org/10.1080/09500690701344966
  41. Clore, G. L.,& Ortony, A. (2010). Apprasial Theories: How cognition Shapes Affect into Emotion. In Lewis, M., Haviland-Jones, J. M., & Barrett, L. F. (2010). Handbook of emotions. The Guilford Press.
  42. Czerniak, C., & Chiarelott, L. (1987). Speaking Out: Science Anxiety: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The Clearing House, 60(5), 202-205.
  43. Ellsworth, P.C., & Scherer, K.R. (2003). Appraisal processes in emotion. In R.J. Davidson, K.R., Scherer, & H.H. Goldsmith (Eds.), Handbook of affective sciences (pp. 572-59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4. Forgas, J. P., & George, J. M. (2001). Affective influences on judgment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s: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6(1), 3-34. https://doi.org/10.1006/obhd.2001.2971
  45. Fraser, B. (1981). TORSA: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Hawthorne, VIC.
  46. Frenzel, A. C., Pekrun, R., & Goetz, T. (2007).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A multilevel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s. Learning and Instruction, 17(5), 478-493.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7.09.001
  47. Frijda, N.H. (1988). The law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3(5), 349-358. https://doi.org/10.1037/0003-066X.43.5.349
  48. Goetz, T., Frenzel, A. C., Pekrun, R., & Hall, N. C. (2006). The domain specificity of academic emotional experienc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5(1), 5-29. https://doi.org/10.3200/JEXE.75.1.5-29
  49.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https://doi.org/10.1037/1089-2680.2.3.271
  50. Gross, J. J., & Thompson, R. A. (2007).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3, 24.
  51. Hall, N. (2005). The structure of students'emotions experienced during a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ZDM, 37(3), 221-225. https://doi.org/10.1007/s11858-005-0012-6
  52.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3. Mallow, J. (1981). Science anxiety: Fear of science and how to overcome it.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54. Martin, M., Mullis, I., Foy, P., & Stanco, G.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55. Meyer, D. K., & Turner, J. C. (2006). Re-conceptualizing emotion and motivation to learn in classroom contex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77-390. https://doi.org/10.1007/s10648-006-9032-1
  56. Misitomu, A. I. (2012). An exploration of year 10 students' motiva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learning chemistr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ikato), 1-160.
  57. Pekrun, R.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https://doi.org/10.1007/s10648-006-9029-9
  58. Pekrun, R., Goetz, T., Frenzel, A. C., Barchfeld, P., & Perry, R. P.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1), 36-48.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0.10.002
  59. Pekrun, R., Goetz, T., Titz, W., & Perry, R. P.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91-105.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2_4
  60. Rea, L. M., & Parker, R. A. (2012). Designing and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John Wiley & Sons.
  61. Sansone, C., & Thoman, D. B. (2005). Interest as the Missing Motivator in self-Regilation. European Psychologist, 10(3), 175-186. https://doi.org/10.1027/1016-9040.10.3.175
  62. Zembylas, M. (2004a). Emotional issues in teaching science: A case study of a teacher's view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4), 343-364. https://doi.org/10.1007/s11165-004-0287-6
  63. Zembylas, M. (2004b). Young children's emotional practices while engaged in long term science investig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7), 693-719. https://doi.org/10.1002/tea.20023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EBS Clipbank in Elementary Science Class vol.34, pp.1,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1.032
  2.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vol.45,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41
  3.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vol.37, pp.2,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4.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vol.41, pp.1,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7.41.1.80
  5.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vol.36, pp.2,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