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 박평 (선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Park, Pyeong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Sunmoon University)
  • 투고 : 2013.08.29
  • 심사 : 2013.09.20
  • 발행 : 2013.09.28

초록

본 연구는 일자리특성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내용, 근로환경, 교육 및 서비스환경의 네 일자리특성 변수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급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직무만족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덧붙여, 사회적 지지(자녀지지와 외부지지)는 일자리특성과 직무 만족 및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mong the Senior Job Re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nior Job Re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were used and analyzed employ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found that four out of five job characteristics variables(job requirements, working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and service environ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nts' job satisfaction, whereas pay did not; that job satisfaction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participants' life satisfaction; and that two social support variables(children support and outside support) did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nts'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