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 Ha, Kyoung Poon (Undergraduate of Liberal Studies Teaching, Hoseo University) ;
  • Joo, Min Kyoung (Undergraduate of Liberal Studies Teaching, Hoseo University)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rural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group of the rural elderly people investigated took part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the public good. The biggest group engaged in activitie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he grea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se programs to earn their livelihood. Second,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king-level employees of the institutions that were in charge of these programs, and they were least contented with their own pay. Third, the rural elderly people perceived that in terms of senior education for employment, customized education should primarily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and diversity of senior citizens, and they faced the most difficulty due to traffic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se program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bolster the self-support of rural elderly people.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혁신. (2006). 고령자주거안정법안 제정배정과 목적, 고령자주거안정법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자료,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 고수현, 윤선오. (2006). 새로운 노인복지론. 파주: 양서원.
  3. 김익균, 김인수, 이형진, 정용민, 최윤신. (2008). 노인복지론. 파주: 교문사.
  4. 남기철. (2009). 노인일자리사업 1기의 쟁점과 2기의 과제. 노인인력개발포럼. 2. 5-30.
  5. 남기철. (2013).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서울경제. 통권 94호. 3-11.
  6. 박광준. (2004).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서울: 현학사.
  7. 변재관. (2006). 한국에서의 고령자 고용정책의 현황과 정책방안. 서울: 한국노인인력개발원.
  8. 보건복지가족부. (2009a). 2009년도 노인일자리사업안내.
  9. 보건복지가족부. (2009b). 2008년도 전국노인실태조사 및 복지 욕구조사.
  10. 이경순. (2012). 농촌 노인의 무망감 영향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문국. (200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가구의 탈빈곤 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호선. (200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13. 장유미. (2011).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통계청. (2006),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
  15. 통계청. (2010), 2009농업조사보고서.
  16. 통계청. (2011), 고령자통계.
  17.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2012 노인일자리 통계동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18. Naegele G., & Kramer, K. (2001). Recent developments in the employment and retirement of older workers in Germany. Journal Aging Social Policy. 13(1). 69-92.
  19. Wolcott, I. (1999). Older workers, families and public policies. Family Matters. 53. 7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