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Network Theory, Economic Structure and Economic Shocks: The Implications on Technology Economics

네트워크이론과 경제구조 그리고 경제충격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경제적 함의

  • Received : 2013.08.07
  • Accepted : 2013.11.06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generation proces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economic fluctuations are actively discussed. This study describes the economic changes applied to empirical research on economic volatility in Korea under the economic theory of network theory [Acemoglu, et al. 2012, 2010]. For the three years in 2000, 2005, and 2010, the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to industry input-output t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 economic structures in Korea is shifted from a high connectivity among sectors to a lower connectivity. Also, the impact of key industries and the mutual connectivity of input and out among industrial sectors are weaken. Implications for industry and technology policy are derived form the study results.

경제변동의 원인과 발생과정 그리고 발전방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제변동에 대한 설명이론으로 네트워크 이론[Acemoglu, et al. 2012, 2010]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경제변동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도, 2005년도와 2010년도 3개년도 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실시한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우리나라 경제구조는 2000년도에 비하여 2005년도 그리고 2010년도가 1차 상호연결성과 2차 상호연결성의 파레토분포 인자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우리나라 네트워크 경제구조는 과거에 부문사이에 높은 연결성을 갖는 경제구조에서 그 연결성이 낮아지고 있는 경제구조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클리드 놈으로 측정된 우리나라 산업부문사이에 평균 영향력 벡터는 2000년도에 비하여 2005년도 그리고 2010년도에 더욱 낮아졌다. 이 분석결과는 핵심적 산업부문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산업부문사이에 투입과 산출의 상호연결성이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 분석결과는 한 부문의 경제적 충격이 느리게 진행되는 특징이 존재하지만, 전체 경제에 그 부문충격이 2000년대 초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산업 및 기술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