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Parental Emphasis on Academics and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청소년 영재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과 영재의 상담에 대한 태도가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11.29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While the importance of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as been actively studied, factors tha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in designing counseling programs less have been studied.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counsel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research by investigating factors which impede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and by suggesting structur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al emphasis on academics, personal emphasis on academic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on gifted youths' inten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s of parental emphasis to academics on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are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영재상담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지만, 실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구안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상담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영재 상담을 방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영재 상담 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학업 강조 경향성,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성,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인식이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부모의 학업 강조 경향성은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와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 태도 및 인식을 매개로 영재의 상담의향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영재상담의 실제에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수 (2001).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한국청소년상담원(편),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론 (pp. 63-145).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 남숙경 (2010).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구인타당도 재점검. 상담학연구, 11(3),1007-1020.
  3. 노형진 (2011). Amos로 배우는 구조방정식모형. 파주: 학현사.
  4. 박경빈 (2012). 한국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5. 박형진, 김경식 (2007). 학업성취의 영향 요인 분석. 교육학논총, 28(1), 49-66.
  6. 박정희 (2007).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학급 단위 학교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7. 서우경 (2003). 부적응 영재아 상담에 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2), 65-86.
  8. 성희경, 한기순 (2011). 영재의 고민과 상담요구에 대한 개념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18(9),309-336.
  9. 송의열 (2002). 영재 아동의 사회 정서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이해. 영재와 영재교육, 1(2), 69-95.
  10. 신정이, 박현순 (2010).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낙인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231-256.
  11. 신연희, 안현희 (2005).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서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77-195.
  12. 유성경, 이동혁 (2000). 한국인의 상담에 대한 태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 55-68.
  13. 유순화, 윤경미, 강승희 (2006).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상담학연구, 7(2). 399-415.
  14. 유형근 (2009). 미성취 영재의 상담요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2(1),113-129.
  15.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79-101.
  16. 이민지, 손은정 (2007).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의 관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49-996.
  17. 이상균 (2000). 청소년 도움요청행위와 그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53-175.
  18. 이선혜 (2007). 한국인의 정신건강 도움요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122-151.
  19. 이영주, 류지영, 채유정 (2012).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상담 실태분석. 영재교육 연구, 22(2), 411-426.
  20. 이찬 (2009).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서울: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21. 장미경 (2012). 청소년의 상담추구행동과 사회적지지망의 관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2), 193-208.
  22. 장영임 (1999). 문제의 심각도 및 사회적지지, 상담자에 대한 신뢰가 상담요청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3. 정순이 (2010). 영재상담모형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4. 정은이 (2002). 미성취 영재에 대한 또래 상담의 전략적 개입. 교육방법연구, 14(1), 35-63.
  25. 조석희 (2005).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2004-2018): 2차년도(조사대상자 선정 및 횡단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중앙일보 (2013). 한국 교육 본질은 엄마의 압력.
  27. 최민경, 이경표 (2013).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이론적 제안 및 고찰. 영재교육연구, 23(5), 793-815.
  28. 최민경, 이행은 (2013).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영재교육연구, 23(1), 89-107.
  29. 허난설, 김유미 (2009). 영재아의 정서안정을 위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 36(2), 75-91.
  30. 홍혜영 (2006). 청소년의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7(4), 1203-1219.
  3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32. Andrews, G., Issakidis, C., & Catter, G. (2001). Shortfall in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9(5), 417-425. https://doi.org/10.1192/bjp.179.5.417
  33.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Y: Ballatine Books.
  34. Brinson, K. A., & Kottler, J. A. (1995). Minorities' underutilizaition of counseling centers' mental health services: A case for outreach and consult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7, 371-385.
  35. Capeda-Benito, A., & Short, P. (1998). Self-concealment, avoidance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58-64. https://doi.org/10.1037/0022-0167.45.1.58
  36. Colangelo, N. (1991). Counseling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73-284). Boston: Allyn & Bacon.
  37. Colangelo, N. (2002).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on the Gifted and Talented.
  38. Colangelo, N., & Pfleger, L. R. (1977). A model counseling laboratory for the gifted ar wisconsin. Gifted Child Quarterly, 21, 321-325. https://doi.org/10.1177/001698627702000308
  39. Dabrowski, K. (1964). Positive disintegration. Boston: Little Brown.
  40. Deane, F. P., & Todd, D. M. (1996). Attitudes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for personal problems or suicidal thinking.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10, 45-59.
  41. Eliss, A. (1995). Thinking processes involved in irrational beliefs and their disturbed consequence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9, 105-116.
  42. Fornell, C., & Larcker, D.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43. Greenley, J. R., & Mechanic, D. (1976). Social selection in seeking help for psychological problem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7(3), 249-262. https://doi.org/10.2307/2136546
  44. Hair, J., Black, W., Babin, B., & Anderson, R.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45. Hollingworth, L. S. (1926). Gifted children: Their nature and nurture. New York: Macmillan.
  46. Kushner, M, G., & Sher, K. J. (1991). The relations of treatment fearfulness and psychological service utilization: An overview.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2, 196-203. https://doi.org/10.1037/0735-7028.22.3.196
  47. LG경제연구원 (2013). 한국 소비자들의 7가지 라이프스타일.
  48. Moon, S. M. (2008). 사회적, 정서적 문제, 미성취, 상담 [문은식, 송의열, 최지영, 송영명,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49. Morelock, M. J. (1992). Giftedness: The view from within. Understanding Our Gifted, 4(3), 1,11-15.
  50. Nelson, R. E. (1977). Irrational beliefs in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5, 190-191.
  51. Piechowski, M. M. (199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giftednes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85-306). Boston: Allyn & Bacon.
  52. Sherbourne, C. D. (1988).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in use of uti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1, 167-178.
  53.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needs and programs for the gifted. In K. A. Hellen,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631-647). Oxford, UK: Pergamon Press.
  54. Silverman, L. K. (2008). The measurement of giftedness. In L. V. Shavinina (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pp. 947-970).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5. St. Clair, K. L. (1989). Counseling gifted students: A historical review. Roeper Review, 12(2), 98-102. https://doi.org/10.1080/02783198909553244
  56.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ume 1. CA: Stan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