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s' Opinions on Foodservices in Daycare Centers of Korea'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Institute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의 급식 운영현황과 학부모대상 품질 만족도

  • 김지헌 (근로복지공단 수안들어린이집) ;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2.04.10
  • Accepted : 2012.12.21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al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quality at daycare centers in the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institut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thirty-two attributes of foodservice operations are administered to 598 parents and 23 foodservice supervisors from June 22, 2009 to July 10, 2009. The parents placed a high importance on the need for foodservices, earning 4.70 points out of 5 points. Their perceptions of foodservice quality menu, foodservice ingredients and effects, facilities, sanitation, and service scored even higher than performance.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r foodservice compared to performance was 4.33 and 4.03 points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98.6% of the variance in parents' overall satisfaction scores was explained by six dimensions.

본 연구는 전국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급식에 대한 이용실태, 인식 및 급식에 대한 요구도와 수행도를 조사함으로써 보육시설 급식의 질 향상과 합리적인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부모의 연령대는 30대가 85.8%로 가장 많았으며, 어머니 직업은 직장인이 75.1%, 전업주부가 22.7%로 나타났고, 가정의 월 평균 소득은 350만원 이상이 23.7%, 200~250만원이 18.6%이었다. 재원 중인 유아의 연령은 만 2세가 20.4%, 만 3세가 29.4%, 만 4세가 23.2%이었고, 재원기간은 1년 미만이 37.5%이었다. 영양사가 배치된 곳이 73.9%이었으며, 배치되지 않은 곳이 26.1%이었고 영양사는 모두 상근직이었다. 원아의 식사 장소는 교실이 50.0%, 전용식당과 교실을 동시에 이용하는 곳이 36.4%이었다. 1일 급식인원은 평균 133.3명이었고, 1인당 급식 단가는 평균 1745.43원으로 조사되었다. 급식에서의 식사로 인해 변화된 식습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맛이 없거나 처음 보는 음식도 먹게 됨이 44.8%, 편식이 없어짐이 36.1%, 식사예절이 좋아짐이 29.9%이었다. 급식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수는 평균 4.70점(필요하다)으로 보육시설에서의 급식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급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건강 향상을 위해서가 56.8%, 어린이집 종일제 프로그램 때문이 23.4%,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가 18.2%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급식 질 향상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안전한 식재료가 43.6%, 위생이 35.9%, 간식비 지원확대가 10.2%이었다. 보육시설 식사급식에의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유기농 식품 및 국산재료 사용이 60.9%, 제철재료사용이 9.2%, 조미료 사용 절제가 9.0%이었다. 간식급식에 대한 요구사항은 유기농 친환경 식재료 사용이 40.0%, 오전 간식으로 죽 제공이 35.1%, 오전 간식으로 제철과일 우유 제공이 13.4%이었으며 보육시설급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식급식의 친환경 식재료의 사용 확대가 필요하겠다. 원아의 급식분량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부모(66.4%)는 원아가 일정량을 다 먹도록 지도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급식에 만족하게 되는 판단 기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유기농 국산 식재료 사용이 62.3%, 제철 식품 이용이 54.3%, 위생관리가 52.5%, 편이 식품의 사용제한이 48.4%이었다. 급식 품질특성 32개 속성들을 축소된 영역으로 구분한 것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식단, 급식효과, 시설, 위생, 식재료, 급식서비스 각 영역의 신뢰도 계수는 0.893~0.945로 문항의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타당하게 구분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급식 품질특성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를 분석결과 속성과 영역 모두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평가되어 모든 품질에 대해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적절한 1인 분량' 속성만을 제외한 31개 속성에서 4점 이상(요구한다)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위생영역과 식재료 영역에 속하는 속성들의 중요도 점수가 높았다. 현재의 급식 품질을 평가한 수행도 역시 '적절한 1인 분량 제공' 속성만을 제외한 모든 속성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점수를 나타냈으며 시설영역에 속한 속성들의 수행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메뉴영역의 '영양적 균형', '간식의 영양적 균형'(p<0.01), '간식 종류의 다양성' (p<0.05), '식사하는 장소의 분위기'(p<0.01), '식탁 및 의자의 위생'(p<0.001)과 위생영역의 '위생 및 소독시설 보유'(p<0.01), '음식의 위생', '식수의 위생', '조리실 내부의 청결', '급식종사자의 위생'과 식재료 영역의 '안전한 식재료의 사용', '신선한 식재료의 사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속성이었고 영역 중에는 위생영역과 식재료 영역(p<0.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 점수가 수행도 점수보다 높아 개선이 요구되는 속성과 영역이었다.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 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식사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점수는 평균 4.33점(5점 만점), 간식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03점이었다. 또한 32개의 급식 서비스의 품질속성 중 '영양적 균형(p<0.05)', '간식의 종류의 다양성(p<0.001)', '급식 시 교사와의 의사소통(p<0.05)'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하고 안전한 식재료의 사용과 다양한 제철음식 사용을 위한 급식 단가의 인상과 균형 잡힌 간식 및 급식 제공을 위한 급식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식습관 교정 및 바른 위생습관을 위해 보육시설에서의 영양사에 의한 정기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영유아의 전문적인 급식 관리를 위해 영양사 배치기준 현실화가 필요하겠다. 또한 유기농 식품 및 국산재료 사용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고, 급식 식재료 질 관리가 요구된다. 중요도 점수와 수행도 점수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급식의 영양적 균형과 조화의 수행도 개선을 위해 식단 작성 시 영양소의 균형과 영유아 발달에 따른 기호도를 반영하여 개선시키도록 해야 하며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요구되며 식탁 및 의자의 안전성과 위생의 개선을 위해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전용식당이 없는 보육시설은 영유아기는 면역력이 약하여 세균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고 보육시설에서 장시간 아동들이 같이 생활하기 때문에 급식이 각 반에서의 급식 실시 시 위생 관리상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별도의 식당이 설치되어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위생, 청결, 안전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전용식당 확보를 위한 개 보수 지원이 필요하다. 식단관리에서 식재료의 양 및 질의 관리, 영양가 분석, 맛, 비용관리와 조리원과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 레시피에 의한 식단관리체계를 확립하고,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 특성에 맞는 표준 레시피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근로복지공단 보육시설은 저소득 기혼여성근로자의 육아부담을 해소하여 지속적인 취업활동을 보장하고자 영세 중소기업체 밀집지역에 설치되므로 지원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육시설의 현재 수준을 점검하며 개선하도록 하기 위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평가인증지표 중 조리실과 식자재 관리 및 급식과 잔반관련항목이 3~4 항목으로만 되어 있고 그 항목 또한 구체적이지 않다. 따라서 급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급식품질 속성을 고려한 실질적인 평가 척도로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Park CH. 2004. A Study on selection factors and needs for an attached kindergarten by parent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yeongnam, Korea. p 14-20.
  2. Chae YH. 2008. Double-income parent's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M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p 5-30.
  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05. Survey on the present state of daycare centers. Korea.
  4. Lee YE, Kim HS. 1998.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du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an Ecology 7: 217-233.
  5. Park YJ, Kwak TK, Kang YJ, Chung HK. 2003. Assessment of the child care centers' foodservice facility and development of the kitchen facility model based on the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J Korean Diet Assoc 9: 219-232.
  6. Kim KH. 2006.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Changjis, Seoul, Korea. p 21-40.
  7. Ji SM. 2006.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resence of mother upon children's health condition. MS Thesis. Joo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9-27.
  8. Ch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Korean J Early Child Educ 23: 261-284.
  9. Kim AS. 1999. A study of demand on kindergarten foodservice operatio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10-25.
  10. Chae BS. 2004. Study on the effects of childrens' dining habits with meals offered by children day-care centers. M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Chungnam, Korea. p 13-32.
  11. Park SH. 2007. Study on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 care facilities in young children's par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founder and how to improve child care service. MS Thesis. Joo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3-32.
  12.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2009.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employee-supported child care center. Seoul, Korea.
  13. Choi ES. 2008. An evaluation on the foodservice quality of day-care centers in the Chungbuk province.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p 9-31.
  14. Lee JY. 2009. Quality evaluation on the kindergarten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p 12-42.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Guidance on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Korea.
  16. Nam HS. 2006.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s of the food service management at child-care centers. M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p 11-34.
  17. Lee KH, Park DY, Lee IY, Hong JY, Choi BC, Bae SS. 2001. The survey o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J Korean Diet Assoc 7: 167-174.
  1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he law on education for infants. Korea.
  19. Cho JS. 1999. Pres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12:169-185.
  20. Choi EM, Sin EK, Jung YY, Lee NH, Choi CH, Jung HS, Cho EJ, Sung HN, Lee HY, Lee EJ, Park HK. 2008. Foodservice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practice of the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Korea.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Vol 2, p 173.
  21. Bae SY, Chung MR. 1996.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snack and lunch time in kindergarten. Korean J Child Studies 17: 117-135.
  22. Kwak TK, Cho YS, Lee HS. 1994. Evaluation of implemented computer generated menus for the improvement of food service operation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Soc Food Sci 10: 104-110.
  23. Lee BJ. 1986. Study of the management of snack in preschool.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14-43.
  24. Lee SK, Lee EW, Lee CW, Bae SY. 1991. Planning and administering childrens snack in Korean institute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Korean J Early Childhood Education 11: 43-70.
  25. Chung MR, Lee MY, Lee KW.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Korean J Home Econo Assoc 38: 99-113.
  26. Kim HJ. 2003.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 of the lunch program at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MS Thesis. Joongbu University, Chungnam, Korea. p 7-21.
  27. Ko EY. 2001. Study of facilitativ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MS Thesis. Duksung University, Seoul, Korea. p 12-42.
  28. Shin JK. 2002. Study of preschool lunch program and the research of teachers' awareness on lunch program. MS Thesis. Cheonan University, Cheonan, Korea. p 11-32.
  29. Lim KH. 1992. A study of snack service at childcare centers and hom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1-23.
  30. Baik SS. 2001.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parents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of day nurseries for infants. M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p 9-23.
  31. Namkung Y, Yang IS, Shin SY. 2005. Analysis of the usability and significance of family restaurant websites. J Foodservice Manag Soc Korea 8: 25-44.
  32. Park MK, Kim JC. 2007. Development of LSM (local store marketing) strategy using the IPA analysi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by the location in a theme restaurant. J Korean Diet Assoc 13: 277-294.
  33. Shin JK. 2002. Study of preschool lunch program and the research of teachers' awareness on lunch program. MS Thesis. Cheonan University, Cheonan, Korea. p 11-32.
  34. Choi ES, Lee YE. 2009. Quality evaluation of foodservice with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4: 267-278.
  35. Lee JY, Lee YE. 2010. Parents' satisfaction on foodservice quality of kindergarte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13-623. https://doi.org/10.3746/jkfn.2010.39.4.613

Cited by

  1. Developing A Tool to Execute Children's Food Servic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vol.29, pp.2, 2016, https://doi.org/10.9799/ksfan.2016.29.2.253
  2. An Evaluation of the Food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of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by IPA - Focusing on Parents of Preschoolers in Metropolitan Area of Korea, China and Japan - vol.28, pp.1,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5.28.1.160
  3. Factors Related to Recommended Nutrient Intak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vol.43, pp.4, 2013, https://doi.org/10.21032/jhis.2018.43.4.282
  4. 전북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어린이집 간식메뉴의 유형, 식품 다양성 및 학부모 만족도 연구 vol.52, pp.5, 2013, https://doi.org/10.4163/jnh.2019.52.5.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