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자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본 노인의 의료주거복지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Medical Housing Welfare of the Elderly Focused on Homepage of Municipalities

  • 박남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
  • 최재순 (인천대 소비자아동학과)
  • 발행 : 2013.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cal housing welfare of the elderly focused on homepage of municipalities. Documentary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drawn from internet homepage of each municipalities which were 251 cases, they have conducted various medical c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urrent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constantly but dependent elderly consciousness is dwindling. Specially, the elderly who lives in rural area have health problems compared with urban areas. 2) Community health center of municipalities conduct medical aid, health screenings, dementia management etc.. 3) It is needed that medical service considering aging in place linked in general hospitals and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linkages are provi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2005),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전략.
  2. 권오정(1997),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1).
  3. 김정석(2005), 고령화 사회의 노인인구와 노인가구의 변화와 전망, 국토, 국토연구원, 통권 280호, 6-19.
  4. 박남희, 최재순(2009), 주민자치센터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4), 123-132.
  5. 보건복지부(2011),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6. 송하승(2007), 고령화사회 노인주거실태와 주거의식, 국토, 국토연구원, 통권 280호. 20-31.
  7. 신화경, 이준민(2009), 노인주거환경 평가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73-277.
  8. 윤주현(2005), 고령화사회에 대응한 노인주거정책의 방향 및 과제, 국토, 국토연구원 통권 280호, 45-53.
  9. 이영자, 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월감, 한국노년학, 19(3).
  10. 이지숙(2007), 노인주택 가구 디자인의 지침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243-1250.
  11.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2006),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전략(II).
  12. 조명은, 김현경, 이현수(2001), 웹사이트에 나타난 디지털 라이프의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2(2).
  13. 조성희, 전은정(2009),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5), 113-122.
  14. 조성희, 이태경(2007), 디지털홈 시스템과 웰빙아파트 계획요소에 대한 중년층 의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2).
  15. 주택도시연구원(2004), 고령사회에 대비한 주거환경 개선 방안, 보건복지부.
  16. 주택도시연구원(2006), 고령사회 주거지원 종합대책,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17. 주택산업연구원(2007),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 및 공급 활성화 방안.
  18. 조경욱(2003), 고령화사회 여성노인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샵 자료,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19. 조명희(1999), 자녀 동거노인과 단독가구 노인의 여가 생활비교 분석.
  20. 조인숙, 박남희, 신화경(2007), Aging in Place를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1), 95-102.
  21. 최명규, 고령화사회에 대비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0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9).
  22. 하해화, 권오정(2008), 노년층의 디지털홈 서비스 사용 정도에 따른 생활의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6).
  23.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2005), 고령자를 위한 주거시설치수 표준화 연구,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4. 한국주거학회(2005), 노인가구의 자립생활 증진을 위한 주택 개조기준 개발 및 보급방안 연구.
  25. 한국표준과학연구원(2005), 고령자 등 특화계층 동적치수조사사업
  26. 통계청(2004), 보고서
  27. 통계청(2007), 고령자 통계
  28. 통계청(1995-2005), 각년도 인구 및 주택센서스
  29. 통계청, www.kostat.go.kr
  30. 통계청, 2010. 사회동향 2010. 12. 1 보도자료 p. 2.
  31. 통계청, 2010. 사회조사결과. 2010. 10. 26. 보도자료 p. 30.
  32. 통계청, 2010. 고령자통계. 2010. 9. 30. 보도자료. pp. 20-28.
  33. 통계청, 2011. 사회조사결과
  34. 통계청, 2012. 고령자통계